도남항 동방파제등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등대 정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등대
{{등대 정보
|명칭=도남항동방파제등대(도남항등대, 연필등대)
|등대이름 = 도남항동방파제등대(도남항등대, 연필등대)
|그림=연필등대.JPG
|원어이름 =
|그림설명=
|그림     = [[파일:연필등대.JPG|150px]]
|위치=[[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도남항 동방파제 끝단)
|그림설명 =
|인접항구=[[도남항]]
|번호    =  
|높이=
|위치     =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도남항 동방파제 끝단)
|점등일자=[[1986년]] [[12월 30일]]
|경위도  =
|광파표지/광달거리=4초 1녹색섬광(좌현표지)
|등고    =
|음파표지/음달거리=
|높이    =
|전파표지/통달거리/주파수=
|관할기관 = [[마산지방해양항만청]]
|관할기관=[[마산지방해양항만청]]
|점등일자 = [[1986년]] [[12월 30일]]
|광파표지 = 4초 1녹색섬광(좌현표지)
|음파표지 =  
|전파표지 =  
|비고    =
|하위 틀  =  
}}
}}
==개요==
==개요==

2022년 4월 10일 (일) 18:04 기준 최신판

도남항동방파제등대(도남항등대, 연필등대)
연필등대.JPG
등대 정보
위치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도남항 동방파제 끝단)
관할기관 마산지방해양항만청
점등일자 1986년 12월 30일
광파표지 4초 1녹색섬광(좌현표지)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통영의 도남항은 일반적인 항구와 마찬가지로 방파제 등대가 좌현표지, 우현표지 이렇게 2개의 등대가 자리하고 있다. 이 중 동방파제에 위치한 좌현표지 등대를 통상 도남항등대라고 한다.우현표지등대 지못미 이 등대는 일종의 문학기념비를 상징하는 조형물 역할의 등대로 등대의 형상은 멀리서 보면 연필을 거꾸로 세워놓은 것 같다고 하여 연필등대라고 불리기도 하며, 등대의 형상은 설계공모를 통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기타사항[편집 | 원본 편집]

  • 이 등대는 조형물 정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등대로 전망탑과 같은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니 등대 안에 들어가 볼 생각은 하지 말자. 점검 이외에는 딱히 방문객을 위한 편의시설 같은 것은 없다. 다만 워낙에 튀는 형상이라 오히려 멀리서 사진찍기에 좋은 등대이다.
  • 이곳 리브레위키에는 본래 방파제등대 문서는 따로 기재하지 않고 해당 항구 문서에 내용을 적는 것이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등대는 워낙에 튀는(...)모양의 등대인 관계로 별도 문서를 가지게 된 등대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