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Gyeongbu.svg|180px]]<br />노선도
|그림    = [[파일:Korail Gyeongbu Line.png]]
|나라    = {{국기|대한민국}}
|나라    = {{국기|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ref>서울~용산, 조치원~대전조차장, 구미~경산</ref>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ref>서울~용산, 조치원~대전조차장, 구미~경산</ref>

2022년 1월 4일 (화) 17:33 판

{{{이름}}}
[[파일:Korail Gyeongbu Line.png|336px|alt=]]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광역철도[1]
번호 302
구간 서울 ~ 부산 (441.7 km, 90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05년 1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6 (서울 ~ 구로)
4 (구로 ~ 두정)
2 (천안 ~ 부산)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S, ATP

대한민국의 철도에서 가장 중요한 노선으로,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 서울특별시부터 제2의 도시이자 항구 도시, 대표적 물류 관문인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경부선이라는 명칭은 서울[2]을 뜻하는 경(京)과 부산의 부(釜)를 합친 것이다.

과거 공식문서에서는 경부본선(京釜本線)으로 부르고, 경부선을 본선과 지선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

역사

운행

높은 이동 수요 탓에 전 구간에 걸쳐서 여객 · 화물 가릴 것 없이 많은 열차가 운행된다. 여기서는 여객 열차 위주로 서술한다.

대한민국 철도의 특성상, 서울로 들어갈 수 있는 경로가 제한되어 있어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 간을 잇는 열차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의 열차도 사용한다. 이외에도 경전선 방면 열차 역시 말단부에서 경부선을 사용하여 운행한다. 때문에 들어오는 계통이 상당히 다양하며, 여기서는 경부선 열차로 불리는 노선들에 대해서만 기재해둔다.

고속철도

KTX는 최초 운행 시부터 경부선 기존선을 활용하고 있다. 서울 ~ 금천구청의 경우 모든 서울 · 용산 경유 고속열차가 사용하며, 이 외에도 접근성으로 인한 기존선 경유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열차에 대해서는 KTX를, 병행 고속선은 경부고속선을 참조하기 바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다음과 같다.

또, 경전선 경유 열차 역시 동대구 ~ 밀양 구간에서는 경부선을 이용해 운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마찬가지로 KTX 문서를 참조.

ITX-새마을 · 새마을호

ITX-새마을새마을호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현재 경부선 열차는 전부 ITX-새마을로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는 장항선 경유 열차로만 운행된다.

  • ITX-새마을 (10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약 2시간에 1대 정도 운행)
  • ITX-새마을 (1020): 서울 - (1000호대와 동일) - 구포 (→ 동해선 경유 신해운대 발착) (1일 1왕복, 주말 1왕복 증편)

무궁화호

무궁화호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운행되는 경부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ITX-새마을 (1000)의 정차역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나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 무궁화호 (1200, 1300일부 구간만 운행):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약 1시간에 1대 정도 운행)

수도권 전철

최초에 수도권 전철이 개통할 당시부터 서울과 수원간의 지역 통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간 거리를 좁혀 역을 신설하여 국철로써 운행된 것이 경부선에서의 수도권 전철 운행의 시작이었다. 대한민국이 발전하면서 서울과 부산간의 이동 수요가 크게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호남선, 전라선 등의 열차도 이 노선을 쓰는 탓에 서울부터 천안까지의 선로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때문에 1990년대부터 수도권 전철을 천안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2005년부터 해당 구간에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관광열차

경부선 열차 외에도 직결 열차가 많다보니 많은 관광 열차가 경부선을 경유한다.

역 목록

서울 ~ 천안

  • : 수원 경유 KTX, : ITX-새마을 및 새마을, : 무궁화호, : 1호선 급행열차 (청량리~천안·신창)
  • 수도권 전철 1호선 일반열차 모든 역에 정차
  • : 경부선, 경전선 계통
  • :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계통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0.0 서울 경의선 (연결): 경의·중앙선
1호선, 4호선, 공항철도
GTX A노선 (예정)
용산구
- (분기점) 도시철도 1호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134 1.7 남영
135 3.2 용산 용산선, 경원선: 경의·중앙선
4호선 (신용산역, 수도권 전철간 환승 할인 없음)
4.0 (분기점) 용산삼각선 (연결)
136 5.8 노량진 9호선 동작구
137 7.3 대방 신림선 (예정) 영등포구
138 8.1 신길 5호선
139 9.1 영등포 신안산선 (예정)
140 10.6 신도림 2호선 본선 · 신정지선 구로구
141 11.7 구로 경인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구로기지선 (연결)
13.0 (분기점) 구로삼각선 (연결)
P142 14.1 가산디지털단지 7호선 금천구
P143 16.1 독산
P144 17.3 금천구청
17.7 (분기점) 시흥연결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P145 19.6 석수 신안산선 (예정) 안양시
P146 21.5 관악
P147 23.9 안양 경강선 (예정)
P148 26.1 명학
P149 27.5 금정 과천선 · 안산선: 4호선 군포시
P150 29.7 군포
P151 31.3 당정
P152 33.9 의왕 남부화물기지선 (연결) 의왕시
P153 36.8 성균관대 수원시
P154 39.4 화서
P155 41.5 수원 분당선 · 수인선: 수인·분당선
P156 44.4 세류
P157 48.7 병점 병점기지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화성시
P158 51.1 세마 오산시
P159 53.8 오산대
P160 56.5 오산
P161 60.5 진위 평택시
P162 64.3 송탄
P163 66.5 서정리 평택고속연결선 (연결) (예정)
P164 71.3 평택지제 수서평택고속선: SRT
71.8 (분기점) 평택삼각선 (연결)
74.7 (분기점) 평택직결선 (연결)
P165 75.0 평택 평택선 (연결)
P166 84.4 성환 천안시
P167 89.8 직산
P168 93.6 두정 천안직결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P169 96.6 천안 천안직결선 · 장항선: 1호선

천안 ~ 추풍령

  • : 수원 경유 KTX,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96.6 천안 천안직결선 · 장항선: 1호선 충청남도
천안시
107.4 소정리 세종특별자치시
114.9 전의
122.6 전동
126.1 서창 오송선 (연결)
129.3 조치원 충북선 (연결)
134.9 내판
139.8 부강 부강화물선 (연결)
144.4 매포
151.9 신탄진 대덕구
157.5 회덕
161.6 대전조차장 경부고속선, 호남선 (연결)
166.3 대전 1호선
경부고속선, 대전선 (연결)
동구
173.6 세천
경부고속선 직결운행
182.5 옥천 옥천군
190.8 이원
196.4 지탄
200.8 심천 영동군
204.6 각계
211.6 영동
226.2 황간
234.7 추풍령

추풍령 ~ 부산

  • : 밀양 경유 KTX,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234.7 추풍령
경부고속선 직결운행
충청북도
영동군
240.7 신암 김천시
246.2 직지사
253.8 김천 경북선 (연결)
263.5 대신
269.2 아포
276.7 구미 구미시
281.3 사곡
289.5 약목 칠곡군
296.0 왜관
302.2 연화
305.9 신동 신동화물선 (연결)
308.2 연결선 (분기) 대구북연결선 (연결)
313.3 지천 서구
318.9 서대구
323.1 대구 1호선 북구
326.3 동대구 1호선
경부고속선 (연결)
동구
331.8 고모 수성구
333.4 가천 대구선 (연결)
338.6 경산 경산시
345.7 삼성
353.1 남성현 청도군
361.8 청도
367.4 신거
372.2 상동 밀양시
381.6 밀양
392.6 미전 미전선 (연결)
394.1 삼랑진 경전선 (연결)
403.2 원동 양산시
412.4 물금 양산화물선 (연결)
421.8 화명 북구
425.2 구포 3호선
430.3 사상 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사상하단선 (예정)
가야선 (연결), 경전선 (예정)
사상구
439.9 부산진 동해선, 우암선, 1호선 (연결) 동구
441.7 부산 1호선
경부고속선 (연결)

폐역

지선

제1간선이다보니 아무래도 지선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몇몇 지선은 꽤 긴 수준이다.

일반 지선
화물선
연결선
역과 역간을 연결하는 노선들로, 주로 입체교차를 위해 만든 노선들이다.
삼각선
일제시대에 건설된 경부선의 지선은 모두 부산 방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서울에서 출발한 열차가 지선을 이용하려면 방향을 돌려야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송선, 오정선(폐지), (구)대전선, 미전선이 건설되었다.
기지선

천안직결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7
구간 두정 ~ 천안 (3.1 km, 2개)
개통일 1979년 6월 15일
시설 정보
선로 2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두정역천안역을 잇는 노선으로, 경부선을 입체교차해 장항선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원래 천안역 분기로, 경부선과 장항선 방면으로 직결할 계획이 있었으나, 장항선 방면으로 직결할 계획만 남아있던 탓에, 장항선 구간은 개통하지 않았지만 장항선 천안역 구내를 사용하도록 배선이 잡혔다. 이 때문에 고빈도로 운행되는 경부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는 입체교차 전철 노선이 필요했고, 연결선을 이설 신설하게 된다.

경부선을 따라 천안역 북쪽에서 내려와 장항선으로 가는 모든 열차는 이 노선을 이용한다. 경부2선에서 분기하기 때문에, 장항선 일반열차는 반드시 두정역 초입에서 감속하여 선로전환기를 건너야만 하는 난점이 있다.

옛 천안직결선은 천안 서부 성정동 부지를 크게 맴돌아 천안역 구내로 들어가는 노선이었으며, 이는 안성선과 직결하기 위했던 구조물로, 장항선의 전신이 사철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는 개량되어 경부선 바로 옆에 붙어서 분기하고 있으며, 해당 부지는 천안축구센터 부지로 전용되어 사용 중이다.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경부선 직결운행 ( 1호선)
P168 0.0 두정 경부선 (연결)
P169 3.1 천안 장항선 (연결)
경부선
장항선 직결운행 ( 1호선)

용산삼각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1
구간 경부선 분기점 (한강철교 인근) ~ 경원선 분기점 (한강대교 밑) (0.5 km, 0개)
개통일 불명
시설 정보
선로 1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경부선 3선(전동급행) 하행과 경원선 하행 방향을 잇는 삼각선으로, 단선 평면교차 삼각선이다. 한강철교(A/B선) 북단에서 분기하며, 아주 좁은 곡선반경을 그리며, 경원선 한강대교 밑 절연구간으로 이어진다. 경원선 쪽은 공간도 모자라서 곡선부 통과 싱글슬립 분기기를 사용할 정도며, 때문에 운전에 여러모로 애로사항이 꽃피는 노선. 하지만 수도권 철도가 너무 빈약한 나머지 중앙선과 경부선을 직접 잇는 선로는 충북선까지 내려가야 있고, 다행히도 경부선 접속이 그나마 중요성이 조금 떨어지는 3선이다보니 어쩔 수 없이 이 노선이 사용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자주 있다. 현재는 과감하게 분기를 이설해서 싱글슬립 및 장대 절연구간 문제가 해소되었다.

km 역명 연계 노선
0.0 삼각선 (경부선) 경부선 (연결)
0.5 삼각선 (경원선) 경원선 (연결)

구로삼각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2
구간 경부선 분기점 (구로기지 옆) ~ 경인선 분기점 (구일역 직전) (1.2 km, 0개)
개통일 불명(1992년~1996년 사이)
시설 정보
선로 1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경부선과 경인선을 이어주는 삼각선이다. 경부선의 구로역가산디지털단지역 사이에서 분기하여 경인선의 구로역과 구일역 사이에서 경인선과 합류한다.

구로삼각선이 합류하는 경부선은 그야말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열차빈도가 높은 지점으로, 정시성을 크게 개의치 않는 화물열차만 정기적으로 운행하며 그나마도 반드시 경부선을 경유해야만 하는 화물 위주로 소수만 설정되어 있다. 경인선 화물열차들 다수가 운전에 애로사항이 많은데도 용산삼각선을 경유하는 경로로 잡히는 이유가 이 구간을 통과하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여객열차는 경인선 임시열차가 극히 드물게 설정된다. 역시 경부선 통과가 어렵기 때문.

km 역명 연계 노선
0.0 삼각선 (경부선) 경부선 (연결)
1.2 삼각선 (경인선) 경인선 (연결)

오송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8
구간 서창 ~ 오송 (4.6 km, 2개)
개통일 1978년 5월 1일
시설 정보
선로 2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경부선 상행과 충북선 하행을 잇는 삼각선. 최초 개업시에는 서창선이라고 불렸으며, 동시에 서창신호장이 개설되었다. 조치원 방면의 충북선이 단선인데도 불구하고 삼각선이 복선이다. 미전선과 비슷한 케이스지만, 미전선은 그래도 여객 열차가 더 자주 다니는 경로니 그렇다 쳐도, 이 쪽은 여객열차가 별로 다니지 않음에도 복선이다. 그도 그럴 것이, 충북선은 중앙선 · 태백선 방면의 화물열차가 경부선에 도달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경로고, 오송선은 수도권 방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긴 노선이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화물열차가 상당히 많이 다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노선.

km 역명 연계 노선
0.0 서창 경부선 (연결)
4.6 오송 충북선 (연결)

각주

  1. 서울~용산, 조치원~대전조차장, 구미~경산
  2. 서울의 명칭을 따져보면 엄밀히는 경성부의 영향으로 남은 것이기는 하다.
  3. 철도청 고시 제37호
  4.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구로삼각선 문서의 339836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