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평

서서평
서서평.jpg
인물 정보
본명 엘리자베스 요한나 셰핑
(Elisabeth Johanna Schepping)
출생 1880년 9월 26일
독일 제국 헤센주 비스바덴
사망 1934년 6월 26일 (54세)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군
국적 미국
직업 종교인, 간호사, 사회활동가
종교 개신교

서서평(徐舒平, 1880년 9월 26일 ~ 1934년 6월 26일)은 독일 출신의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이다. 본명은 엘리자베스 요한나 셰핑(Elisabeth Johanna Schepping)이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유년[편집 | 원본 편집]

1880년 9월 26일 독일 헤센주 비스바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안나 셰핑(Anna Schepping, 혼인명 Schepping Schneider)이 세 살 때 서서평을 친정에 맡기고 미국 뉴욕으로 이민을 떠나면서 외가에서 자란다.

아홉 살에 할머니를 잃고, 주소가 적힌 쪽지 한 장을 들고 어머니를 찾아 미국으로 떠난다. 어머니를 만나 뉴욕에서 중학교·고등학교와 간호전문학교를 다녔다. 졸업을 앞두고 뉴욕시립병원에서 실습하다가 동료 간호사에게서 권유를 받고 가톨릭에서 개신교로 개종했다. 유대인 요양소, 이탈리아 이민자 수용소 등에서 봉사하였으며 간호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브루클린주 이시병원에서 근무한다.

1904년 뉴욕 성서교사훈련학교의 '여행자를 돕는 선교회'에서 1년 동안 봉사하였다. 1911년 졸업하고 동료 선교사에게서 매우 열악한 한국의 형편을 전하여 듣고 한국 선교를 지원한다. 1912년, 미국 남장로교 해외선교부 모집에 지원하여 간호선교사로 파송을 받는다.

선교사 생활[편집 | 원본 편집]

1912년 2월 20일 여객선 S.S.Korea호를 타고 20여 일 동안 여행하여 한국에 도착한다. 처음 일한 곳은 광주제중원(원장 로버트 윌슨, 한국명 우월순)이었다. 이곳에서 간호사로서 환자를 돌보고 주일학교를 돕는다. 기미독립운동 일어날 당시 서울에 있었는으며 부상자를 돕다가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일제에게 서울에서 활동하는 것을 금지당하여 다시 호남으로 내려간다.

1923년 오늘날 대한간호협회의 전신인 조선간호부회를 결성하였다. 이는 서서평의 가장 훌륭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이에 그치지 않고 국제간호협회에 가입하려 하였으나 일제가 방해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초대 회장으로 취임하여 10년 동안 직분을 다하며 《간호교과서》, 《실용간호학》, 《간호요강》, 《간이위생법》 등의 교재를 펴내고 《간호사업사》 등 외국 서적을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1926년에는 미국의 친구 로이스 닐(Lois Neel)에게서 후원을 받아 오늘날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에 학교를 세우고 후원자 이름을 따서 이일(李一)학교라 명명하였다. 아울러 학교 근처에 있는 양림산에 뽕밭을 가꾸어 여성들에게 양잠, 직조, 자수 기술을 가르치고 이로써 만든 손수건과 보자기 따위를 미국에 팔아 이일학교 학생들의 학비로 썼다.

1934년 영양실조, 골수염, 간염 등으로 사망하였으며 시신을 의학용으로 기증하였다. 남긴 재산은 동전 7닢, 옥수숫가루 두 홉, 담요 반 장뿐이었다. 나머지 반 장은 더 가난한 이에게 찢어서 준 것이었다. 침대 근처에 있던 종이에는 좌우명인 '성공이 아니라 섬김이다'(Not success, but service)란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장례식에 이일학교의 학생들이 운구를 옮기고 그 뒤로 수많은 여성들이 소복을 입고 뒤따랐다 전한다. 1934년 7월 7일 광주 최초의 사회장으로 치러져 양림동 선교사 묘역에 안장되었다.

1912년부터 1934년에 53세로 소천하기까지 22년 동안 주로 호남 지역을 돌며 간호선교사로 활동하였다. 고아, 미혼모, 노숙인, 나병자 등 가난하고 병쇠한 뭇사람을 보살폈다. 당시 선교사에게 지급되는 하루 식비가 3원이었는데 서서평은 10전만 쓰고 남는 돈은 모두 불우한 사람들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선행으로 '조선의 마더 테레사', '조선의 작은 예수', '나환자의 어머니' 등으로 불린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미국 남장로회 해외선교부가 1930년대에 파송된 '가장 위대한 선교사 7인'을 선정하였는데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로는 유일하게 포함되었다.

관련 작품[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