캉딩급 호위함

캉딩급 호위함(康定級巡防艦)은 중화민국군이 운영 중인 호위함으로 프랑스가 운영 중인 라파예트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무장을 탑재한 함이다. 6척 모두 프랑스 로리앙 해군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대만에게 인도 되었다.

도입 배경[편집 | 원본 편집]

중화민국(대만)은 1980년대 10년간의 장기 해군 건설계획인 광화 2호를 수립하고 1,500톤급 호위함 16척을 조달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미국, 독일, 아르헨티나, 프랑스 등 각국에 제안서를 발행하였다. 이중에서도 가장 유력한 후보는 예상외로 한국군이 운영 중이던 울산급이었는데 당시 대만과 한국간의 돈독했던 우호관계와 울산급의 저렴한 가격이 주요 원인이었고 1988년 한국의 해군 함대가 대만에 방문함으로 도입 직전까지 가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대잠, 대공 능력의 부족함이 지적 되었고 결정적으로 한국이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맺음에 따라 대만과 단교하게 되면서 울산급의 도입은 백지화되었다.

이후 대만의 일부는 당시 베스트셀러 호위함인 독일의 MEKO 200의 도입을 주장하였으나 독일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중시하였기에 도입 가능성이 없었으며 미국의 경우 1,5000톤급의 군함을 운영하지 않았기에 제공할만한 군함이 존재하지 않았다. [1] 이에 대만은 당시 외교 정책을 변경하여 대대적으로 무기 수출을 홍보하고 있던 프랑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989년 프랑스 현지를 방문한 대만의 관계자들을 한눈에 사로잡은 라파예트급은 울산급과 비교하기 민망할 정도로 선진적인 스텔스 설계와 우수한 첨단 설계의 호위함이었기에 결국 라파예트급의 도입을 최종 결정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선택에 대한 부담도 커서 원래 저렴한 로우급을 8척 도입할 계획이던 광화 2호 계획은 라파예트급이 6척 건조 비용이 70억 프랑이라는 높은 가격에 이후 160억 프랑으로 가격이 수직 상승함에 따라 하이엔드급인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보다도 적은 6척만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고 이후 옵션으로 4척의 도입의 옵션도 있었지만 높은 가격과 함께 이후 뇌물 수수 등의 비리 문제가 드러나면서 사실상 도입 가능성은 없게 되었다. 캉딩급은 가격 외에도 무장도입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중국은 대만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본격으로 프랑스에 압력을 행사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프랑스제 무장의 탑재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도입가격 역시 대만의 무기 도입선이 제한되어 무기를 공급할 만한 국가가 없다는 것을 프랑스가 악용하여 바가지를 씌운 것은 이미 유명해진 이야기며 중요한 정보를 중국에도 제공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무장[편집 | 원본 편집]

프랑스제 무기를 장착하지 못함에 따라 캉딩급은 미국제 무기를 장착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라파예트급과 차이점이 생기게 되었다. 무장을 살펴 보자면 우선 함포는 오토메라 Mk75 62 구경 76mm을 장착하였으면 함미 헬기 격납고 상단 측면에 각각 1기식 포보스 40mm 단장 기관포 2기를 장착하였다. 대함 미사일은 국내에서 개발된 슝펑2 4연장 2기를 장착 하였다. 개함 방어를 위한 대공 시스템은 근접 방어를 위해 20mm 팰렁스 CIWS를 헬기 격납고 중심에 장착하였고 대공 미사일은 4연장 시 채퍼럴을 탑재하였다. 시 채퍼럴의 경우 사인드 와인더을 이용 레이더의 도움이 필요 없는 적외선 유도 방식이나 사거리가 고작 3km 수준이고 성능면에서도 떨어져 대공 방어 능력을 기대하기 힘들다. 수색 레이더는 Triton-G (G 밴드)와 DRBV-26D (D 밴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탈레스사 제품이다. DRBV-26D는 2차원 장거리 대공 수색 레이더로 분당 최대 회전 속도는 15회 이며 탐지 거리는 360km, 64개의 목표를 동시에 추적 할 수 있다. Triton-G는 중거리 대공 대 수상 수색 레이더로 최대 탐지 거리는 60km, 동시 목표 추적 수는 32개 미며 분당 회전 속도가 40회로 빨라 고속으로 이동하는 미사일 등의 목표를 ​​탐지·추적하는데 뛰어나다. 화기 관제 레이더도 탈레스 사의 Castor-IIC (I / J 밴드)로 76mm 함포와 40mm 기관포를 통제한다. 캉딩급은 우수한 레이더를 탑재하였지만 시 채퍼럴 수준의 대공 무장으로 인해 이러한 장점을 살리지 못하게 되었다. 대잠 무장으로는 Mk46 324mm 어뢰를 탑재한 Mk32 3 연장 발사관 2기를 장착하고 있으며 헐 마운트 소나로 Spherion-B 중주파 소나 (탐지 거리 약 32km, 5개의 목표 추적)를 예인 소나로 ATAS(v)2(탐지 거리 약 100km, 10개의 목표 추적)를 각각 1기식 장착하고 있다.

캉딩급의 무장은 모두 매립 형태가 아니거 돌출 되어 있으며 함포를 포함하여 모두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터보트 다음으로 낮은 RCS을 자랑하던 라파예트급의 스텔스 성능은 크게 떨어지게 되었다. 또한 프랑스제 전자 장비와 무기들의 통합 수준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서 대만 해군의 다른 함선에 비해 가동률이 낮은 편이고 심지어 6척 모두가 항구에 머물러 있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각주

  1. 당시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은 하이 엔드급 도입 계획인 광화 1호 계획을 통해 도입을 진행 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