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호단문도

오호단문도(五虎斷門刀)는 실존하는 무술이자 무협 장르에 나오는 무공이다.

무술[편집 | 원본 편집]

실존하는 오호단문도는 소림사에 전해지는 병기술인 소림팔법에 속하는 투로다.

무협물의 오호단문도[편집 | 원본 편집]

무협 소설을 비롯한 무협물에서 이 도법은 소림사가 아니라 다른 문파의 무공으로 설정된다.

특히 대한민국의 무협 소설에서 오호단문도는 주로 무림세가 중 하나인 하북팽가가전무공으로 설정하는 것이 관례화되었는데, 이는 고룡의 작품(《검현록》과 《원월만도》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고룡의 작품에서 오호단문도는 팽씨의 성명절기로 등장했고, 한국의 무협에 나오는 하북팽가는 여기에 영감을 얻어 도법을 쓰는 무림 명문이 된 것으로 짐작된다.

팽가의 무공이 아닐 경우에는 산적, 즉 녹림의 무공으로 나올 때도 있다. 이는 김용의 《천룡팔부》에서 오호단문도가 진가채(秦家寨)의 무공으로 나온 것이 원인으로 짐작된다. 진가채의 채는 산채(山寨), 요컨대 산적의 본거지를 뜻하는 문자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작품별 오호단문도[편집 | 원본 편집]

  • 고룡의 《원월만도》에서는 팽가의 비전 도법으로 나온다. "일도단문(一刀斷門), 일도단혼(一刀斷魂)"이라는 문구로 표현되는, 강렬하고 패도적인 도법이다.
  • 김용의 《천룡팔부》에서는 모용복이 익힌 도법 중 하나로 나온다. 여기서 오호단문도는 운주(雲州) 진가채(秦家寨)의 진채절학으로, 본래 64초로 이루어졌으나 전래되면서 5초가 유실된 것으로 나온다. 유실된 5초는 백호도간(白虎跳澗), 일소풍생(一嘯風生), 전박자여(剪扑自如), 웅패군산(雄霸群山), 복상승사(伏象勝獅)다. 덧붙여서 오호단문도에서 가장 강력한 절초는 왕자사도(王字四刀)로, 일초에 가로로 세 번, 세로로 한 번 베는 수법이다.
  • 김용의 다른 작품인 《녹정기》에서도 모십팔이 익히고 있는 도법으로 나온다. 《녹정기》의 오호단문도는 강북 태주(泰州)에서 전래되는 무공이다. 덧붙여서 극중에서 나오는 초식은 맹호하산(猛虎下山)와 악호난로(惡虎攔路)뿐이다.
  • 백발마녀전》 등 양우생의 작품 속에서도 오호단문도는 자주 등장한다.
  • 백상의 《하북팽가》에서는 오호단문도가 하북팽가의 가전무공 중 하나로 나오며, 《천룡팔부》에서는 오호단문도에 속한 초식이던 왕자사도가 별도의 도법으로 등장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