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통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File:Alstom serie 300 (4).jpg|thumb]]
두 공간을 잇는 통로를 말한다.
두 공간을 잇는 통로를 말한다.
== 건물에서 ==
== 건물에서 ==

2019년 3월 16일 (토) 22:50 판

Alstom serie 300 (4).jpg

두 공간을 잇는 통로를 말한다.

건물에서

두 건물 사이를 실외로 나가지 않고 고가 또는 지하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말한다.

지하철역과 인근의 다른 건물을 잇는 연결통로, 정부세종청사에서 여러 동을 도로를 건너며 줄줄이 잇는 연결통로 등의 사례가 있다.

차량에서

열차, 굴절버스 등 차체가 두 개 이상으로 연결된 차량에서 두 차체 사이를 사람이 다닐 수 있게 만든 통로를 말한다.

런던 노스 웨스턴 철도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1887년 조지 M. 풀먼은 오늘날처럼 복도와 연결통로를 통로막으로 둘러싸 건너는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객차를 개발했다.

통로연결장치의 구성

  • 발판
    승객이 건널때 안전하게 발을 디딜 수 있는 부분이다.
  • 통로문
    수동문인 경우가 대부분이였으나 2000년대 후반부터는 자동문으로 도입하고 있다. 수동문일 경우에는 외미닫이문인 경우가 대다수이며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일부 차량과 같이 쌍미닫이문인 경우는 드물다. 자동문인 경우에는 코레일에서는 외여닫이문을 쓰고 있고 서울교통공사에서는 쌍여닫이문을 쓰고 있다.
    전동차 편성 전두부의 관통문을 제외하면 신차에는 개방감, 베리어프리 등을 위해 설치하지 않는 추세다. 한국에서는 관통문 자체가 드물어 통로문이 사장되는 추세.
  • 통로연결막
    추락을 방지하고 비바람을 막아 안전하게 연결통로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설비다. 무궁화호 구형 객차까지만 해도 주름이 없는 통고무를 썼지만 현재는 아코디언처럼 주름이 져 있는 통로막을 쓰고 있다. 뉴욕 지하철은 통로막이 없고 쇠사슬로만 되어있어서 주행 중에 통로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

전두부에서

복합열차와 같이 두 편성 이상의 동차병결운행할 때 승객이 편성 사이를 건너갈 수 있게 평상시에는 열차의 맨 앞이 되는 전두부에도 통로연결장치를 다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전두부에 통로연결장치가 달린 철도차량은 현존하지 않는다.

병결운행할 때를 위한 통로문은 아니지만 그와 비슷하게 비상시 탈출할 때만 쓰는 비상구를 전두부에 다는 경우가 있다.

없는 경우

의정부경전철의 전동차에는 없다. 통로막과 발판이 없고 문은 있긴 하나 잠가두고 있다.

각주

Wikipedia-ico-48px.png이 문서에는 영어판 위키백과의 Gangway connection 문서 881188741 판을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