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호항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새 철도역 정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역이름  = 묵호항역
|이름    = 묵호항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강원도]] [[동해시]] 향로봉길 91 (부곡동 2-1)
|주소    = [[강원도]] [[동해시]] 향로봉길 91 (부곡동 2-1)
|번호    =  
|번호    =  
|노선    = [[묵호항선]] <small>5.1 km</small>
|노선    = [[묵호항선]] <small>5.1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동해역|동해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 [[1940년]] [[7월 31일]]
|개업일  = [[1940년]] [[7월 31일]]
|폐지일  =  
|폐지일  =  
19번째 줄: 18번째 줄:
|참고    =  
|참고    =  
|비고    =  
|비고    =  
|하위 틀  =
}}
}}
==개요==
 
[[묵호항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영동선]]의 원형인 철암-묵호항 구간 개통 당시에는 여객취급도 하였던 역이지만 [[동해역|동해]]에서 [[옥계역|옥계]]까지의 철도가 개통되면서 화물취급역으로 용도전환 되었다.
[[묵호항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영동선]]의 원형인 철암-묵호항 구간 개통 당시에는 여객취급도 하였던 역이지만 [[동해역|동해]]에서 [[옥계역|옥계]]까지의 철도가 개통되면서 화물취급역으로 용도전환 되었다.


37번째 줄: 37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동해시의 철도역]]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영동선]]
[[분류:영동선]]

2023년 9월 19일 (화) 11:20 기준 최신판

묵호항
주소 강원도 동해시 향로봉길 91 (부곡동 2-1)
노선 묵호항선 5.1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1940년 7월 31일
코드 722

묵호항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영동선의 원형인 철암-묵호항 구간 개통 당시에는 여객취급도 하였던 역이지만 동해에서 옥계까지의 철도가 개통되면서 화물취급역으로 용도전환 되었다.

역할[편집 | 원본 편집]

이 역은 1930년대 당시 묵호항을 통한 강원도 삼척탄전 일대의 무연탄을 취급하는 역할로 시작하였다. 또한 삼척선북평선을 통한 양회수송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 당시는 지금처럼 강원도 영동지방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교통이 영 좋지 않았고, 영동지방에서 수도권으로 화물이 넘어가는 가장 효율적인 운송경로는 묵호항을 통해 포항까지 해상운송을 한 뒤, 포항에서 다시 서울로 가는 철도로 환적하는 방법이었기 때문이었다. 물론 철도는 어찌어찌 영서지방과 연결이 되긴 했지만, 문제는 통리재를 넘어가는 황지본선 구간이 1963년이 되어서야 개통이 되었다는 것. 즉, 그 이전에는 통리재를 그 악명높은 인클라인으로 넘어야만 했던 것이다. 물론 인클라인으로 여객은 어찌어찌 수송하겠는데 문제는 이 인클라인의 용량 자체가 시멘트 물량을 소화하기에는 택도없는 용량인데다 간혹 고장이 나 버리면 수도권 일대의 시멘트 가격이 폭등하는 문제점을 늘 안고 있었다. 거기에 태백선 철도 전구간의 개통이 1975년이니까 그 이전에는 철로를 통해 영동지방에서 화물운송을 하려면 영주까지 빙빙 돌아가야 하는데 이 당시 철도가 효율이 좋을리가.... 결국 제대로 된 철도 운송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상황이었다. 때문에 이 묵호항으로 몰려드는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서 아예 묵호항선까지 별도로 개통하여 당시 영동선의 부족했던 선로용량까지 증대시키는 작업까지 하였던 것.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동해 방면
동해 5.1 km
묵호항 묵호 방면
묵호 0.8 k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