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백단심_무궁화.JPG|섬네일|백단심 무궁화. 단심계에 속하는 품종의 무궁화로 꽃잎이 희고 가운데 붉은 꽃심이 있다.]]
{{한국의 자생식물
|제목 = 무궁화
|그림 = [[파일:백단심_무궁화.JPG|섬네일|백단심 무궁화. 단심계에 속하는 품종의 무궁화로 꽃잎이 희고 가운데 붉은 꽃심이 있다.]]
|과명= 아욱과
|학명 = Hibiscus syriacus L.
|영문명 = Korean Dendropanax
|중국명 = 木槿花
|분류 =
|분포 = 전국에서 재배
|주성분 =
}}
*Hibiscus syriacus / 無窮花
*Hibiscus syriacus / 無窮花
==개요==
==개요==

2015년 12월 18일 (금) 13:53 판

틀:한국의 자생식물

  • Hibiscus syriacus / 無窮花

개요

쌍자엽식물강-아욱목-아욱과-무궁화 속에 속한 꽃나무로 대한민국의 국화(國花)이다. 다만 법적으로 지정된 것이 아니라 관습법적으로 당연히 나라꽃으로 여기고 있는 국화이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민족의 상징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 관념은 구한말 외세의 침탈이 강했을 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영어로는 rose of Sharon인지라 성경과 엮는 환빠성 개독들이 많다(...)샤론의 꽃보다

원산지는 인도중국 내륙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아주 정확하지는 않다. 18세기 이전에는 시리아쪽을 비롯한 중동지방으로 알려졌고, 학명의 syriacus와 영문명의 Sharon은 이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물론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으로 시리아설은 거의 사장된 수준이다. 여담으로 한반도의 경우 원산지급에 준하는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형태

특성

번식

병충해 예방법

무궁화는 다른 꽃들에 비해 병충해에 매우 강한 편이지만 생육 초기에 진딧물이 더럽게 많이 꼬이기 때문에 벌레 싫어하는 분들이 심기 싫어하는 꽃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밑의 방법으로 구제를 해주어야 한다.

진딧물

가장 대표적인 해충이며 진딧물 때문에 무궁화가 죽는 일은 없으나 5월의 무궁화 싹이 갓 나올 무렵은 아주 지저분하다. 진딧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무궁화에 붙은 것은 목화진딧물로 각종 식물에 해를 끼친다.방제법은 매우 간단하여 싹트기 전후 2, 3차례 디프테렉스메타시스톡스 1,000배액을 고루 뿌려 주면 거의 다 없어진다. 토양침투성 살충제 테믹(Temik) 입제를 뿌리 주위에 10㎝ 깊이로 비료 주듯이 뿌리고 묻어주면 50∼70일 동안 진딧물을 방제할 수가 있어 편리하다. 실제로 무궁화의 진딧물은 이른봄 싹틀 때 많이 끼고 그 이후는 자연히 없어지는 것으로 큰 해를 주는 것이 아니고, 또 이른봄에도 약제로 쉽게 구제할 수 있다. 최근 진딧물에 아주 강한 품종들이 개량되었다.

사실 무당벌레를 좀 풀고 개미만 박멸해 주면 의외로 진딧물 구제는 쉽다.

박쥐나방

박쥐나방의 유충이 무궁화 나무에 꼬일 경우 나무 줄기 속으로 파먹어 들어가서 나무가 말라 죽기도 하고 먹은 부분이 부러지기도 한다. 파먹어 들어간 구멍에서 반드시 똥이 나오므로 철사를 구멍으로 쑤셔 넣어 유충을 죽이거나 침투성 약제를 뿌려서 구제한다. 그러나 실제로 박쥐나방의 피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지 않다.

자벌레

8월 이후에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한참 자라고 있는 무궁화 잎을 몽땅 갉아먹으므로 앙상한 가지만 남게 된다. 초기에 잎이 없는 부분을 잘 관찰하여 집게로 잡아주면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무궁화 나무가 적은 경우이고 대부분의 경우는 메타시스톡스나 디프테렉스와 같은 살충제를 살포하여야 한다. 제때 방제하지 못하면 앙상한 가지만 남게 된다. 그러나 무궁화가 아주 죽거나 하는 경우는 없다.

입고병

토양온도 15°∼21℃에서 토양에 물이 빠지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발병 초기에 곧 뽑아서 태워 버리거나 캡탄 500배액을 산포하여 방제해야 한다. 무궁화는 상술한 해충들 때문에 죽는 경우는 전혀 없지만, 입고병으로 죽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무궁화가 죽고 흙 표면 무궁화 줄기 밑부분의 껍질이 쉽게 벗겨지면 이는 입고병으로 죽은 것이다. 입고병에 걸리고 안 걸린 것은 육안으로 쉽게 구분하기가 곤란하여 근본적 대책은 배수를 잘 하고 나무를 건강하게 가꾸는 길밖에 없다.

품종

무궁화의 품종은 꽃의 색에 따라 크게 셋으로 구분된다.

  • 단심계 : 꽃입 가운데 붉은 꽃심이 있는 계열의 품종으로 분홍빛 꽃잎에 붉은 꽃심이 있는 홑꽃 계열을 정부에서 보급 품종으로 지정하였다.
    • 백단심계
    • 홍단심계
    • 청단심계
  • 배달계
  • 아사달계

유사종

  • 부용 : 무궁화와 동일한 과에 속한다. 다만 이쪽은 줄기의 형태가 목본보다는 초본에 더 가깝다. 꽃만 봐서는 대형 무궁화라는 생각이 들 정도.

용도

  • 관상용 :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용도이다. 가정 내의 관상용 이외에 울타리 형태로 식재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약용 : 무궁화의 꽃이나 줄기, 뿌리를 말려서 달인 물은 두통이나 혈액순환 등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또한 이뇨작용에 도움이 되고 붓기를 내리는 효과가 있다. 특히 흰색의 무궁화가 효과가 더 좋다고 한다.
  • 한지의 원료 : 한지 제조에는 닥나무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무궁화의 껍질도 섬유질이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하여서 한지의 원료로 사용된다.

무궁화의 이름을 딴 것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