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 없는 사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llang|en -> 영어 변환)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동전 없는 사회'''({{llang|en|Coinless Society}}, {{llang|zh|无硬币社会}}, {{llang|ja|コインのない社会}})란 여러 방법들을 통해 국민들의 동전 사용을 최대한으로 축소시킨 사회를 뜻한다.
{{Youtube|y5UT04p5f7U}}
'''동전 없는 사회'''({{영어|Coinless Society}}, {{중국어|无硬币社会}}, {{일본어|コインのない社会}})란 여러 방법들을 통해 국민들의 동전 사용을 최대한으로 축소시킨 사회를 뜻한다.


== 동전 없는 나라 ==
== 동전 없는 나라 ==
5번째 줄: 6번째 줄:
2016년 1월 12일에 [[한국은행]]이 동전 없는 사회의 도입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이후로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
2016년 1월 12일에 [[한국은행]]이 동전 없는 사회의 도입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이후로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소액 결제망이 잘 구축되어 있고, 거의 모든 국민이 금융기관에 결제 계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인프라를 잘 이용하면 동전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현금 10,000원으로 9,800원짜리 상품을 구입한다고 치면, 거스름돈 200원을 받지 않고 송금 단말기를 이용해 자신의 계좌로 송금하거나 교통카드에 충전되게 하는 것.<ref>혹은 [[OK캐쉬백]] 등의 제휴 포인트나 마일리지로 충전되게 하는 것.</ref> 이런 식으로 동전의 사용을 최소화시킬 계획이다. 현재 한국은행도 이 시스템을 집중적으로 노리고 있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소액 결제망이 잘 구축되어 있고, 거의 모든 국민이 금융기관에 결제 계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인프라를 잘 이용하면 동전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현금 10,000원으로 9,800원짜리 상품을 구입한다고 치면, 거스름돈 200원을 받지 않고 송금 단말기를 이용해 자신의 계좌로 송금하거나 교통카드에 충전되게 하는 것.<ref>혹은 [[OK캐쉬백]] 등의 제휴 포인트나 마일리지로 충전되게 하는 것. [[네이버페이]]는 [[세븐일레븐]]과 제휴해 잔돈 전환을 지원한다.</ref> 이런 식으로 동전의 사용을 최소화시킬 계획이다. 현재 한국은행도 이 시스템을 집중적으로 노리고 있다.


동전 없는 사회의 실현은 2020년에 가능할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동전 없는 사회의 실현은 2020년에 가능할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s>그리고 당연히 예상은 빗나갔다.</s>


그러나 아직 일부의 재래시장이나 지방의 점포 등에서 카드 결제가 힘들다는 것을 미루어 볼 때, 이런 곳에서까지 제대로 송금 단말기가 지급될 수 있느냐는 게 문제점으로 다가온다. 게다가 아직 인터넷 뱅킹에서의 [[액티브X]] 문제도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고, 모바일에서까지 보안 앱을 요구하는 대한민국 금융망 특성상 이에 대해 스트레스와 불편함을 겪는 사용자들이 많아지게 될 것이다. 결국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동전 없는 사회 추진은 너무 이른 게 아니냐는 것.
그러나 아직 일부의 재래시장이나 지방의 점포 등에서 카드 결제가 힘들다는 것을 미루어 볼 때, 이런 곳에서까지 제대로 송금 단말기가 지급될 수 있느냐는 게 문제점으로 다가온다. 이에 대해서 [[금융IC카드]] 전환과 맞물려 영세 상인을 대상으로 단말기 보급 사업을 진행중이며, [[재래시장]]이 기피되는 이유 중 하나가 "카드 결제"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카드 중심의 결제 문화가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 북유럽 ===
=== 북유럽 ===
15번째 줄: 16번째 줄:


=== 중국 ===
=== 중국 ===
[[알리페이]], [[위챗페이]] 양대 간편결제 업체가 잘 정착되었다. 대도시부터 중소도시, [[백화점]]부터 [[재래시장]], 심지어는 [[노점상]]까지 휴대폰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중국은 아예 "동전 없는 사회"라는 개념 없이 바로 "현금 없는 사회"(无现金社会)를 향해 가는중이다.<ref>http://ppss.kr/archives/122184</ref>
하도 위조지폐가 돌아다니다 보니 사람들이 현금보다 전자결제를 더 선호한다. 이 때문에 [[알리페이]], [[위챗페이]] 양대 간편결제 업체가 잘 정착되었으며, 대도시부터 중소도시, [[백화점]]부터 [[재래시장]], 심지어는 [[노점상]]까지 휴대폰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중국은 아예 "동전 없는 사회"라는 개념 없이 바로 "현금 없는 사회"(无现金社会)를 향해 가는중이다.<ref>http://ppss.kr/archives/122184</ref>
 
다만 그 특수성으로 인해 핀테크 기업이 별다른 제도적 장치없이 고속으로 성장했기에, 중앙은행이 고삐를 걸기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니고 있다.<ref>[http://www.etnews.com/20170811000397?mc=em_011_00003 '노캐시 사회'에 'No'외친 중국...핀테크 규제 신호탄 될까], 전자신문, 2017.08.12.</ref>


=== 기타 지역 ===
=== 기타 지역 ===

2022년 3월 6일 (일) 00:58 기준 최신판

동전 없는 사회(영어: Coinless Society, 중국어: 无硬币社会, 일본어: コインのない社会)란 여러 방법들을 통해 국민들의 동전 사용을 최대한으로 축소시킨 사회를 뜻한다.

동전 없는 나라[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1월 12일에 한국은행이 동전 없는 사회의 도입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이후로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소액 결제망이 잘 구축되어 있고, 거의 모든 국민이 금융기관에 결제 계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인프라를 잘 이용하면 동전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현금 10,000원으로 9,800원짜리 상품을 구입한다고 치면, 거스름돈 200원을 받지 않고 송금 단말기를 이용해 자신의 계좌로 송금하거나 교통카드에 충전되게 하는 것.[1] 이런 식으로 동전의 사용을 최소화시킬 계획이다. 현재 한국은행도 이 시스템을 집중적으로 노리고 있다.

동전 없는 사회의 실현은 2020년에 가능할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그리고 당연히 예상은 빗나갔다.

그러나 아직 일부의 재래시장이나 지방의 점포 등에서 카드 결제가 힘들다는 것을 미루어 볼 때, 이런 곳에서까지 제대로 송금 단말기가 지급될 수 있느냐는 게 문제점으로 다가온다. 이에 대해서 금융IC카드 전환과 맞물려 영세 상인을 대상으로 단말기 보급 사업을 진행중이며, 재래시장이 기피되는 이유 중 하나가 "카드 결제"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카드 중심의 결제 문화가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북유럽[편집 | 원본 편집]

현재 스웨덴 등의 북유럽 국가들은 동전 없는 사회가 제대로 정착되었다. 스웨덴은 실생활에서의 현금 결제비중이 20%밖에 되지 않는다. 현금 대신 사용하는 건 신용카드직불카드, 아니면 금융 거래 앱. 대형 시중은행 지점 상당수가 현금을 보유하거나 예금 받지 않고 있으며, 농촌 지역을 시작으로 ATM도 상당수 폐쇄되었다.[2] 현재 스웨덴은 동전 없는 사회를 넘어서 아예 현금 없는 사회(Cashless Society)로 가는 과도기에 위치해 있다.[3]

중국[편집 | 원본 편집]

하도 위조지폐가 돌아다니다 보니 사람들이 현금보다 전자결제를 더 선호한다. 이 때문에 알리페이, 위챗페이 양대 간편결제 업체가 잘 정착되었으며, 대도시부터 중소도시, 백화점부터 재래시장, 심지어는 노점상까지 휴대폰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중국은 아예 "동전 없는 사회"라는 개념 없이 바로 "현금 없는 사회"(无现金社会)를 향해 가는중이다.[4]

다만 그 특수성으로 인해 핀테크 기업이 별다른 제도적 장치없이 고속으로 성장했기에, 중앙은행이 고삐를 걸기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니고 있다.[5]

기타 지역[편집 | 원본 편집]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선진국들은 동전 없는 사회를 긍정적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온라인 구축망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개발도상국들이나 후진국들에게는 실현화되기 힘들다.

장점[편집 | 원본 편집]

모든 금융 거래를 온라인으로 전산화할 수 있기에 투명성이 높아진다는 것. 지하 경제 축소로 정부 세수 확보에도 더 유리해지면서 체납자나 조세회피자를 찾아내기 쉬워진다. 은행들도 비용 절감 및 수수료로 인한 수입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일반 시민들의 입장에서는 동전을 사용하면서 일어나는 불편함들이 한 번에 해결된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예를 들어서 지갑이나 주머니가 무거워지는 걸 걱정할 필요가 없다.

국가 입장에서도 손해를 보지 않는다. 1센트 동전을 만드는 데 1센트가 넘게 들어서 주조할 때마다 손해를 보는 미국 달러의 예가 대표적. 소액권 동전은 액면가보다 제조비가 더 많이 드는 경우가 전 세계적으로 왕왕 존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10원짜리 동전들을 녹여서 동괴로 판 사건이 있다는 게 대표적이다.

한국은행이 동전 없는 사회를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이유는 동전을 만들어 사용하는 데 드는 사회적 비용 때문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100원짜리 동전 2억 5000만개를 포함, 동전 6억 개를 제조하는 데 든 비용은 539억원이다. 동전을 적게 쓰면 제조 비용을 상당 부분 아낄 수 있다. 또한 동전의 경우 워낙 소액이다 보니 만약 분실할 경우 잘 찾지 않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은데, 한은 관계자는 “지폐의 환수율은 60% 이상인데 비해, 동전의 환수율은 10%대에 불과해 해마다 신규 발행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고 증언했다. 그리고 동전 특성상 지폐보다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서 이를 거래하고 보관, 유통하는 데에도 적잖은 비용이 든다.[6]

단점[편집 | 원본 편집]

부득이하게 동전이 필요할 경우에는 곤란해질 가능성이 많다.

일단 국가적으로 시행되는 금융 정책이니만큼 실현시키는 데 돈과 시간이 많이 드는 것도 단점이다. 특히 이 부분은 선진국 반열에서 멀어질수록 더 심해진다.

일단 동전을 아예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은행에서도 이를 인정했다. 제대로 정착되지 않으면 정착되나 마나 한 성과를 낼 수도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