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좌파

Zilyuki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0월 24일 (수) 21:12 판

영어 : New left

개요

2차세계 대전 이후 기존의 서구를 뒤덮고 있었던 근본적 이성중심주의, 각종 차별과 경직되며 권위적인 사회, 정치, 문화 그 자체에 대한 회의감과 반향이 생겨났다.

이들로 인하여 해체주의포스트 구조주의를 기반으로 한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생겨났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영향을 받고 탄생한 신좌파는 1960년대 68혁명이 일어나면서 여성, 성소수자, 인종과 같은 소수자 차별, 주입식 교육, 개인과 개별 집단을 존중하지 않는 획일적인 사회에 대해 비판했다.

그리고 신좌파 운동이 생겼났을 당시에 뉴에이지 열풍이 불었고 당시 신좌파 지식인들이 힌두교, 불교, 조로아스터교에 관심을 갖고 유대교, 기독교를 비판하곤 했다.[1] 게다가 무한동력, 초능력, UFO, 심령학, 대체의학을 내세우는 신과학(New age science) 운동과 위카, 사탄교, 라엘리안 무브먼트같은 신흥종교도 신좌파 운동이 아니었으면 없었을 것이다.[2]

80년대 이후로 뉴에이지는 쇠퇴했고 주류 신좌파는 시장자본주의 체제에 타협했기 때문에 70년대보다 신좌파가 약해진 상태이다.[3]

한계

1970년대 신좌파 운동은 체제반항적이었지만 80년대에 신우파의 공작에 따라 체제타협적으로 변질되었다.

자본주의 체제를 사회주의 체제로 전환하여 사회악을 일소하려고 했던 구좌파와 달리 신좌파는 체제 안에서 정체성 정치를 내세우고 카를 마르크스가 비판했던 관념론으로 사회악을 판단했다. 신좌파의 이런 특징은 미국의 민주당이나 유럽의 사회민주주의 정당같은 친자본주의 정당의 이용거리가 되었으며 신좌파는 여성, 성소수자, 장애인, 유색인종, 비기독교를 대변하고 그 반대 정체성을 가해집단으로 판단했다.

신좌파 정당의 행태는 모순이 드러났기 떄문에 대안우파의 까임거리가 되었다. 게다가 이미지메이킹을 해야하는 대기업 집단은 신좌파의 구호를 내세워 자신의 존재를 정당화하고 있다.

특징

  • 정치적 올바름 수용
  • 다문화주의
  • 포스트모더니즘 영향을 받음
  • 자유, 평등, 박애를 옹호
  •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 차별을 반대
  •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선동, 루머, 음해를 반대[4]
  • 보수주의처럼 전통을 근본주의적으로 고수하기 보다는 자유, 평등, 박애에 알맞게 전통을 변화시키고 계승하거나 혹은 부정하려고 함

각주

  1. 70년대 신좌파 운동가들은 이슬람교에 거의 관심이 없었다. 단지 몇몇 흑인민족주의자들이 흑인을 차별하는 기독교 우파에 대항해 이슬람교에 관심을 보였을 뿐이다. 신좌파가 이슬람교에 대대적인 관심을 갖게 된 것은 9.11 테러 이후이다.
  2. 오컬트는 원래 산업혁명 당시였던 19세기 초부터 있었지만 이 것이 양지화된 것은 20세기 후반인 신좌파 운동 시작시기부터이다.
  3. 사회주의를 내세우는 구좌파가 신좌파를 까는 대표적인 이유이다. 게다가 2008년 경제 공황으로 인해 이들의 입지는 줄어들고 극좌 혹은 극우 성향의 포퓰리즘 정치인들 입지가 커진 것도 한몫한다.
  4. 극우파들이 이런 짓으로 자신의 입지를 유지해왔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