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가요

Horne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6월 13일 (화) 07:59 판 (Hornet님이 NK-POP 문서를 북한 가요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NK-POP보다는 북한 가요가 한국인에게 저명성이 높은 단어이므로 이 쪽으로 옮깁니다.)

NK-POP = North Korean Pop song (혹은 DPRK-POP)

개요

NK-POP(엔케이팝)이란 K-POP(케이팝, 한국 노래)이라는 단어에 북녘을 뜻하는 'N'을 붙여 '북한 노래'를 의미한다.

다만 이 단어는 일본의 인터넷 계층이 만들어낸 단어로, 한국에서는 국가보안법이적물이라는 장벽으로 인해 접할 기회가 매우 적어[1] 그냥 '북한 노래' 정도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북한에서는 '조선 노래' 혹은 '조선 가요'라고 칭한다.) 어차피 K-POP이라는 단어 자체도 한국에서 만든 것이 아닌지라 도긴개긴.

상세

조선 시대 이전부터 전해내려온 민속음악이 아닌 이상, 거의 90% 넘게가 조선로동당김씨 왕조(...)를 찬양하는 내용이며, 이를 가장 큰 특징으로서 여기고 있다. 오히려 찬양 내용이 빠지면 뭔가 심심하다고 느낄 정도이니...

북한 현지에서는 주로 텔레비죤 방송 사이사이 틀어주거나 선전대라고 불리는 합창단이 협동농장에 찾아가 부르는 용도로 쓰인다. 북한에서는 김일성 시대부터 음악을 사상교육의 한 방식으로 여겨왔기에 포크송 마냥 반복적인 음색으로 중독성을 갖게 하면서 자연스레 기분을 고양(高揚)시킬 수 있도록 군가(특히 행진곡)의 선율을 많이 차용하고 있다. 또한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합창이나 성악 기법을 많이 사용한다.

그렇지만 모든 노래가 위 방식을 따르는 것은 아니고, 북한에서 새롭게 창조된 노래 중에서도 정치색이 전혀 없는 노래가 간간히 존재한다. '간간히'라는 부분이 포인트이다. 대표적인 예로 북한 드라마(텔레비죤 련속극)의 삽입곡이 그 주류이다.

NK-POP이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2010년대 초반경부터, 북한측에서 북한의 노래들을 유튜브에 대량으로 업로드하여 공개한 것을 시발점으로 본다. (북한에서는 '화면음악'이라 부른다.) 희대의 그 곡 또한 이런 경로로 알려진 것이다.

NK-POP 일람

김씨 왕조 찬양가

조선로동당 찬양가

정치색이 없는 희귀한 노래들

각주

  1. 극히 일부가 정상적인 경로로 유통되고 있기는 하지만, 민감한 표현을 모두 수정시킨 편집판만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