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애니메이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class="wikitable" |+TV 애니메이션의 플랫폼 |지상파||케이블(애니메이션 전문 채널)||IPTV...)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있음|지상파 애니}}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TV 애니메이션]]의 플랫폼
|+[[TV 애니메이션]]의 플랫폼
8번째 줄: 9번째 줄:
*유료 방송에 가입하지 않고 안테나만 달아도 볼 수 있다.
*유료 방송에 가입하지 않고 안테나만 달아도 볼 수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 투자에 적극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애니메이션 제작, 투자에 적극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TV 애니의 최속 방영을 여기서 많이 한다. 하지만 케이블에서 먼저 방영한 [[다이노코어]], [[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처럼 꼭 그렇지만은 않다.
== 단점 ==
== 단점 ==
*[[암흑 시간대]]에 편성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파페포포]]처럼 다시보기도 안되고 케이블에 진출하지 않았다면... [[망했어요]].
*[[암흑 시간대]]에 편성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파페포포]]처럼 다시보기도 안되고 케이블에 진출하지 않았다면... [[망했어요]].
13번째 줄: 15번째 줄:
== 국가별 역사 맟 현황 ==
== 국가별 역사 맟 현황 ==
=== 한국 ===
=== 한국 ===
[[KBS]], [[SBS]], [[MBC]], [[EBS]]에서 방송하고 있다. 특히 EBS는 준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이라고 말해도 될 정도로 애니를 많이 방송하고 있다.
[[KBS]], [[SBS]], [[MBC]], [[EBS]]에서 방송하고 있다. 특히 EBS는 준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이라고 말해도 될 정도로 애니를 많이 방송하고 있다. [[DMB]] 방송은 [[KBS1]](KBS STAR), SBS(SBS U)에서만 하고 있다.
 
현재 KBS, SBS, MBC 애니의 존재는 전체 방송시간 중에서 국산 애니를 1% 이상 편성해야 하는 [[애니메이션 총량제]]에 근간을 두고 있다. 이 제도의 영향으로 예전에는 외국 애니도 방송했지만 2008년 [[메이플스토리]]를 마지막으로 해서 더 이상 방영하지 않고 총량제만큼 국산 애니만 방송하고 있다.
=== 일본 ===
=== 일본 ===
이쪽은 특이하게 [[심야 애니메이션]]이란 게 있다.
[[분류:지상파 방송]]
[[분류:지상파 방송]]
[[분류:애니메이션]]
[[분류:애니메이션]]

2016년 9월 2일 (금) 22:01 판

틀:넘겨주기 있음

TV 애니메이션의 플랫폼
지상파 케이블(애니메이션 전문 채널) IPTV

개요

지상파 방송에서 방송하는 애니메이션을 말한다. 전통적인 TV 애니메이션의 플랫폼이였다.

장점

  • 유료 방송에 가입하지 않고 안테나만 달아도 볼 수 있다.
  • 애니메이션 제작, 투자에 적극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 TV 애니의 최속 방영을 여기서 많이 한다. 하지만 케이블에서 먼저 방영한 다이노코어, 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처럼 꼭 그렇지만은 않다.

단점

  • 암흑 시간대에 편성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파페포포처럼 다시보기도 안되고 케이블에 진출하지 않았다면... 망했어요.
  • 케이블에 비해 심의가 빡센 편이다.

국가별 역사 맟 현황

한국

KBS, SBS, MBC, EBS에서 방송하고 있다. 특히 EBS는 준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이라고 말해도 될 정도로 애니를 많이 방송하고 있다. DMB 방송은 KBS1(KBS STAR), SBS(SBS U)에서만 하고 있다.

현재 KBS, SBS, MBC 애니의 존재는 전체 방송시간 중에서 국산 애니를 1% 이상 편성해야 하는 애니메이션 총량제에 근간을 두고 있다. 이 제도의 영향으로 예전에는 외국 애니도 방송했지만 2008년 메이플스토리를 마지막으로 해서 더 이상 방영하지 않고 총량제만큼 국산 애니만 방송하고 있다.

일본

이쪽은 특이하게 심야 애니메이션이란 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