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내용 추가 및 정리)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Web + Log = Blog<br />
Web + Log = Blog<br />
위의 어원에서 볼 수 있듯이 블로그는 에초에 합성어이다. 웹에서 기록을 남기는 개인 공간을 보통 블로그라고 부른다.<br />
웹에서 기록을 남기는 개인 공간을 블로그라고 부른다.<br />
카페와 상반되는 인터넷 공간. 카페가 같은 취미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이라면 블로그는 그러한 사람들을 불러들이기 위한 모음집 같은 느낌이다. 주로 아기자기한 것들을 게시하기 좋은 공간이기에  여성들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물론 불순한 의도를 노리고 접근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다.<s>[[잡았다 요놈!|당신 해봤구나!!!]]</s>
인터넷 카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카페가 같은 취미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이라면 블로그는 그러한 사람들의 개별적인 공간이다.  


== 한국 블로그의 역사 ==
아기자기한 것들을 게시하기 좋은 공간이기에 여성들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물론 불순한 의도를 노리고 접근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다.<s>[[잡았다 요놈!|당신 해봤구나!!!]]</s>
초창기 웹 서비스의 게시판, 체팅 서비스가 발전하면서 체팅은 메신저로 게시판은 동호회나 카페나 미니홈피로 발전하게 되었다.<br />
여기서 폐쇠적인 미니홈피 서비스에서 좀 더 개방적으로 서비스 되는 해외의 블로그 서비스를 한국에서 포털 네이버가 페이지라는 서비스로 소개하면서 한국에도 블로그 서비스가 생겨났다.<br />
이후 포털등을 중심으로 블로그 서비스가 생겨나고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던 페이지라는 이름의 서비스도 블로그로 개명하면서 블로그라는 명칭으로 블로그 서비스가 퍼져나가기 시작했다.<br />
블로그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다루는 전문 기업이 생겨났고 그들이 운영하는 블로그 서비스가 생겨났다.<br />
그러던 중 웹 컨텐츠 저작권 부분이 이슈가 되면서 네이버 블로그 등의 약관상 블로그 내의 컨텐츠 저작권을 회사에게 귀속한다는 조항등이 알려지면서 개인 저작권 이슈와 기업이나 국가, 종교, 단체 등을 상대로한 민감한 사항을 다룬 글들이 법적인 책임까지도 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재기되면서 블로그를 해외 서비스로 이주하는 사이버 망명이 잠시 유행했었다. 이 당시 많은 해외 블로그 서비스가 소개된 개기가 되었다.<br />
이후 저작권 이슈에 대한 부분은 각 기업들의 약관을 수정하면서 일단락되었고 사이버 망명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법적 책임을 회피할수는 없다는 결론으로 논란이 종식되었다.<br />
지속될 것 같은 블로그의 인기는 바이럴마케팅을 위주로 하는 산업형 블로거들의 등장과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트위터, 미투데이등)들이 등장하면서 점차 하락했다. 페이스북등 전문 SNS 서비스가 대두되면서 더 인기가 하락했다.<br />
그러다 대표적 SNS인 트위터의 한정된 글자수로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없다는 이슈가 나오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블로그가 다시금 관심을 받고있다.(여전히 인기는 줄어들고 있는 중이다.)


== 블로그 서비스의 변화 ==
== 역사 ==
블로그하면 정형화되어 있는 틀이 존재하는 데 근래에는 상당히 이런 틀 자체가 바뀌고 있다.<br />
2000년대 초반까지 일부에서 개인 웹 사이트를 운영하던 것이 블로그의 시초다. 한국에서는 2002년 8월 에이블클릭을 시작으로 2003년 6월 네이버가 '페이퍼'를, 온네트가 [[이글루스]]를 열며 서비스형 블로그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SNS와 블로그의 중간형태인 미니 블로그(텀블러, 미디움 등)<br />
PC의 레이아웃보다 상당히 심플하고 직관적인 포스트만 꾸밀 수 있는 모바일 전용 블로그 서비스(플레인 등)<br />
아예 블로그를 구성하는 포스트만 따로 모아서 스넥컬쳐로 사용하는 블로그 서비스(네이버 포스트, 스토리볼, 빙글, 포스타입)<br />
간단 홈페이지 구축 서비스(HTML등 전문기술 필요없이 홈페이지를 만드는 서비스)에서 일종에 공지사항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한된 형태의 블로그 서비스(WEEDLY 등)<br />
SNS의 기능 중 일부를 블로그 형태로 서비스(페이스북 노트 등)<br />
으로 블로그 서비스도 정형화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 블로그의 분류 ==
2010년대에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영향으로 인터넷에서 블로그가 차지하는 입지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장문의 글을 보관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소라는 점에서는 블로그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중심이 되는
블로그는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많은 분류법이 존재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류법은 서비스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이다.<br />
서비스형 블로그는 블로그 서비스를 기업에서 운영하고 유저가 해당 기업에 가입등을 통해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블로그 서비스를 말한다.<br />
설치형 블로그는 블로그 툴 자체를 기업이나 기관, 단체에게서 제공 받아서 자신의 서버나 기업에서 서버공간을 구입 또는 얻어서 운영할 수 있는 블로그를 말한다.<br />
서비스형 블로그는 블로그 툴에 관한 자유도가 적은 대신 안정성과 많은 비용이 들지 않거나 무료로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설치형 블로그는 그와는 반대의 성격을 가진다.


=== 우리나라의 서비스형 블로그 ===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7년 시작된 서비스형 블로그인 [[텀블러 (블로그)|텀블러]]는 태그와 리블로그 기능을 통한 블로그간의 연결과 공유를 특징으로 삼았고, 각각 2012년과 2015년 시작된 [[미디엄]]과 [[브런치]]는 글쓰기에 특화된 온라인 글쓰기·발행 플랫폼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 포털의 블로그 서비스 ====
== 분류 ==
일반적으로 서비스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로 분류된다. 서비스형 블로그는 사용자가 블로그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서 가지게 되는 블로그로, 사용이 쉽지만 테마 편집의 자유도나 용량 등의 제약이 있다. 설치형 블로그는 소프트웨어를 [[호스팅]] 서비스나 자신의 [[서버]]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블로그이며, 서비스형 블로그와 달리 자유로운 반면 유지·관리의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지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블로그 서비스 목록 ==
=== 서비스형 블로그 ===
==== 한국 ====
* [[네이버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 [[다음 블로그]]
* [[다음 블로그]]
* [[티스토리]] - 블로그 전문 기업인 태터앤컴퍼니(현제 구글 코리아로 인수 통합)와 다음에서 지분을 반반씩 소유하여 포탈과 관계가 별로 없었으나 태터앤컴퍼니에서 다음으로 모든 지분을 인수하여서 포털 다음에서 서비스하는 2번째 블로그 서비스가 되었다.
* [[티스토리]] - 블로그 전문 기업인 태터앤컴퍼니(현제 구글 코리아로 인수 통합)와 [[다음]]에서 지분을 반반씩 소유하여 포탈과 관계가 별로 없었으나 태터앤컴퍼니에서 다음으로 모든 지분을 인수하여서 포털 다음에서 서비스하는 2번째 블로그 서비스가 되었다.
* [[이글루스]]
* [[브런치]] - [[카카오]](구 다음카카오)의 글쓰기 위주의 블로그 서비스. 2016년 8월 1일 기준 베타 서비스 중.
* [[포스타입]] - 콘텐츠를 유료로 판매할 수 있다.  
* [[네이버 포스트]] - 네이버 블로그의 포스트 부분만 뽑아서 미디엄처럼 만든 블로그 서비스
* [[네이버 포스트]] - 네이버 블로그의 포스트 부분만 뽑아서 미디엄처럼 만든 블로그 서비스
* [[플레인]] - 카카오(구 다음카카오)의 모바일 블로그 서비스
* [[플레인]] - [[카카오]](구 다음카카오)의 모바일 블로그 서비스.
* [[브런치]] - 카카오(구 다음카카오)의 창작물에 대한 가치를 알리기 위한 작가 위주의 블로그 서비스(아직 배타)


==== 블로그 전문 기업의 블로그 서비스 ====
==== 외국 ====
* [[이글루스]]
* [[텀블러 (블로그)|텀블러]] - '마이크로 블로그'로 분류되곤 한다. [[야후!|야후]]가 인수했으나 Tumblr, Inc.의 이름으로 운영된다.
* [[포스타입]]
* [[블로거]] - 블로그 스팟이라고도 하며 구글의 블로그 서비스.
* [[워드프레스닷컴]]
* [[Ghost]]
* [[미디엄]]
* [[라이브저널]]
* [[livedoor]] Blog (라이브도어 블로그) - [[라인 (기업)|라인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종합 포털 사이트 [[livedoor]]의 블로그 서비스.
* [[Ameba]]
* [[FC2]] 블로그
* [[Hatena]] 블로그
* [[페이스북 노트]] - 페이스북 내의 하나의 소규모 서비스이지만 현재는 블로그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 우리나라의 설치형 블로그 ===
=== 설치형 블로그 ===
==== 한국 ====
* [[텍스트 큐브]]
* [[텍스트 큐브]]
* [[텍스타일]]
* [[텍스타일]]


=== 외국의 서비스형 블로그 ===
====외국====
 
==== 포털의 블로그 서비스 ====
* [[블로거]] - 블로그 스팟이라고도 하며 구글의 블로그 서비스
* [[텀블러]] - 미니 블로그의 시초이며 야후의 블로그 서비스
 
==== 블로그 전문 기업의 블로그 서비스 ====
* [[워드프레스 닷컴]]
* [[미디엄]]
* [[라이브저널]]
 
=== 외국 설치형 블로그 ===
* [[워드프레스]]
* [[워드프레스]]
* [[고스트]]
* [[고스트]]
=== 기타 블로그 서비스 ===
* [[페이스북 노트]] - 페이스북 내의 하나의 소규모 서비스이지만 현제는 블로그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분류:웹 사이트]]
[[분류:웹 사이트]]
[[분류:블로그]]
[[분류:블로그]]

2016년 8월 1일 (월) 03:22 판

개요

Web + Log = Blog
웹에서 기록을 남기는 개인 공간을 블로그라고 부른다.
인터넷 카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카페가 같은 취미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이라면 블로그는 그러한 사람들의 개별적인 공간이다.

아기자기한 것들을 게시하기 좋은 공간이기에 여성들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물론 불순한 의도를 노리고 접근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다.당신 해봤구나!!!

역사

2000년대 초반까지 일부에서 개인 웹 사이트를 운영하던 것이 블로그의 시초다. 한국에서는 2002년 8월 에이블클릭을 시작으로 2003년 6월 네이버가 '페이퍼'를, 온네트가 이글루스를 열며 서비스형 블로그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2010년대에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영향으로 인터넷에서 블로그가 차지하는 입지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장문의 글을 보관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소라는 점에서는 블로그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중심이 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7년 시작된 서비스형 블로그인 텀블러는 태그와 리블로그 기능을 통한 블로그간의 연결과 공유를 특징으로 삼았고, 각각 2012년과 2015년 시작된 미디엄브런치는 글쓰기에 특화된 온라인 글쓰기·발행 플랫폼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분류

일반적으로 서비스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로 분류된다. 서비스형 블로그는 사용자가 블로그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서 가지게 되는 블로그로, 사용이 쉽지만 테마 편집의 자유도나 용량 등의 제약이 있다. 설치형 블로그는 소프트웨어를 호스팅 서비스나 자신의 서버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블로그이며, 서비스형 블로그와 달리 자유로운 반면 유지·관리의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지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블로그 서비스 목록

서비스형 블로그

한국

  • 네이버 블로그
  • 다음 블로그
  • 티스토리 - 블로그 전문 기업인 태터앤컴퍼니(현제 구글 코리아로 인수 통합)와 다음에서 지분을 반반씩 소유하여 포탈과 관계가 별로 없었으나 태터앤컴퍼니에서 다음으로 모든 지분을 인수하여서 포털 다음에서 서비스하는 2번째 블로그 서비스가 되었다.
  • 이글루스
  • 브런치 - 카카오(구 다음카카오)의 글쓰기 위주의 블로그 서비스. 2016년 8월 1일 기준 베타 서비스 중.
  • 포스타입 - 콘텐츠를 유료로 판매할 수 있다.
  • 네이버 포스트 - 네이버 블로그의 포스트 부분만 뽑아서 미디엄처럼 만든 블로그 서비스
  • 플레인 - 카카오(구 다음카카오)의 모바일 블로그 서비스.

외국

설치형 블로그

한국

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