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사과의 뜻을 담은 글. 고의든 실수든 잘못을 저지른 사람·단체가 스스로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을 인정하고, 왜 잘못을 벌어졌는지에 대해 해명하며, 잘못으로 인해 피해를 본 사람·단체 등<ref><s>[[팝콘]]을 먹고 있는 </s>제3자는 우선순위에서 제외해야 한다. 관련도가 낮은 사람한테 먼저 사과하면 '지금 누구한테 사과를 하는 건가' 하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ref>에 사과하고 그러한 행위가 잘못이라는 것을 인정함과 동시에 다시 잘못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반성과 다짐이 들어간다. <s>가장 못 쓰는 글</s> 물론 이렇게 쓰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행동이 없다면 의미는 없다.
고의든 실수든 잘못을 저지른 사람·단체가 스스로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을 인정하고, 왜 잘못을 벌어졌는지에 대해 해명하고, 잘못으로 인해 피해를 본 사람·단체 등<ref><s>[[팝콘]]을 먹고 있는 </s>제3자는 우선순위에서 제외해야 한다. 관련도가 낮은 사람한테 먼저 사과하면 '지금 누구한테 사과를 하는 건가' 하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ref>에 사과하며 그러한 행위가 잘못이라는 것을 인정함과 동시에 다시 잘못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반성과 다짐이 들어간 글. <s>한국인이 가장 못 쓰는 글</s>


공적인 글쓰기에 해당하는 만큼 기본적인 맞춤법을 잘 지켜야 하고, 손글씨로 쓸 경우에는 정자체로 또박또박 써야 뒤탈이 없다.
공적인 글쓰기에 해당하는 만큼 기본적인 맞춤법을 잘 지켜야 하고, 손글씨로 쓸 경우에는 정자체로 또박또박 써야 뒤탈이 없다.


==표현==
== 주요 표현 ==
===들어가야 하는 것===
===들어가야 하는 것===
* 나는 누구인가
* 발화자는 누구인가
* 본인이 언제 어디서 무슨 잘못을 어떻게 저질렀는가
* 본인이 언제 어디서 무슨 잘못을 어떻게 저질렀는가
* 그래서 누구에게 피해를 끼쳤는가
* 그래서 누구에게 피해를 끼쳤는가
13번째 줄: 12번째 줄:
* 앞으로 어떻게 이 일을 책임질 것인가
* 앞으로 어떻게 이 일을 책임질 것인가


===[[4과문|들어가지 말아야 하는 것]]===
=== 들어가지 말아야 하는 것 ===
주로 [[변명]]이나 책임회피성 발언, [[물타기]], [[적반하장]]인 태도가 여기에 해당된다. 이런것을 사과문에 넣었다가는 상대방의 분노만 더 키울수 있으니 안넣느니만 못하다. 이런 요소로 작성된 사과문을 [[4과문]]이라고 비꼬아 말한다.
주로 [[변명]]이나 책임회피성 발언, [[물타기]], [[적반하장]]인 태도가 여기에 해당된다. 실제로 잘못한 상황에서 이런 것을 사과문에 넣었다가는 화만 더 키울수 있으니 안 넣느니만 못하다.  
* 본의 아니게
* 본의 아니게
* 오해
* 오해
20번째 줄: 19번째 줄:
* 억울합니다.
* 억울합니다.
* 하지만 저만 잘못한 것은 아닙니다.
* 하지만 저만 잘못한 것은 아닙니다.
* 그럴 의도는 아니었지만,
* 됐다, 잊자.
* 됐다, 잊자.
* 미안하다. 됐지?
* 미안하다. 됐지?
* 유감이다.


==예시==
==예시==
42번째 줄: 39번째 줄:
==바깥 고리==
==바깥 고리==
* [https://www.facebook.com/dbqudwo/posts/449508251771036 방송작가 유병재의 '공적영역 언어 해석']
* [https://www.facebook.com/dbqudwo/posts/449508251771036 방송작가 유병재의 '공적영역 언어 해석']
* [https://twitter.com/phantasist/status/592968401561104384 사과문을 올바르게 적는 방법], 트위터
* SM ATM. (2015.4.5.). [https://twitter.com/SM_ATM/status/584380914609696768 사과문을 올바르게 적는 방법], 트위터
{{주석}}
{{각주}}


[[분류:사회]]
[[분류:사회]]
[[분류:문서]]
[[분류:문서]]

2022년 5월 31일 (화) 02:51 판

사과의 뜻을 담은 글. 고의든 실수든 잘못을 저지른 사람·단체가 스스로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을 인정하고, 왜 잘못을 벌어졌는지에 대해 해명하며, 잘못으로 인해 피해를 본 사람·단체 등[1]에 사과하고 그러한 행위가 잘못이라는 것을 인정함과 동시에 다시 잘못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반성과 다짐이 들어간다. 가장 못 쓰는 글 물론 이렇게 쓰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행동이 없다면 의미는 없다.

공적인 글쓰기에 해당하는 만큼 기본적인 맞춤법을 잘 지켜야 하고, 손글씨로 쓸 경우에는 정자체로 또박또박 써야 뒤탈이 없다.

주요 표현

들어가야 하는 것

  • 발화자는 누구인가
  • 본인이 언제 어디서 무슨 잘못을 어떻게 저질렀는가
  • 그래서 누구에게 피해를 끼쳤는가
  • 실제 상황과 다르게 알려진 사실이 있는가
  • 얼마나 반성하고 있는가
  • 앞으로 어떻게 이 일을 책임질 것인가

들어가지 말아야 하는 것

주로 변명이나 책임회피성 발언, 물타기, 적반하장인 태도가 여기에 해당된다. 실제로 잘못한 상황에서 이런 것을 사과문에 넣었다가는 화만 더 키울수 있으니 안 넣느니만 못하다.

  • 본의 아니게
  • 오해
  • 그럴 뜻은 없었지만,
  • 억울합니다.
  • 하지만 저만 잘못한 것은 아닙니다.
  • 됐다, 잊자.
  • 미안하다. 됐지?

예시

잘못된 사과문의 예시

바람직한 사과문의 예시

추가바람바람직한 예시를 찾는 것이 힘든 건 기분 탓이다.

바깥 고리

각주

  1. 팝콘을 먹고 있는 제3자는 우선순위에서 제외해야 한다. 관련도가 낮은 사람한테 먼저 사과하면 '지금 누구한테 사과를 하는 건가' 하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2. 소개팅에서 만난 상대방에게 폭언과 '업계에서 매장시켜버리겠다'는 협박을 한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