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랑진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 +<br/>))
편집 요약 없음
115번째 줄: 115번째 줄:
[[분류:밀양시의 철도역]]
[[분류:밀양시의 철도역]]
[[분류:밀양관리역]]
[[분류:밀양관리역]]
{{리브레 맵스 마커|35.39899419262709|128.84368658065796|10|삼랑진역}}

2021년 3월 25일 (목) 14:22 판

[[파일:황은영20150403삼랑진벚꽃길사진1.jpg
Copyright 황은영 / 경남이야기|336px|alt=]]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72
노선 경부선 394.1 km
경전선 0.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밀양관리역
개업일 틀:날짜/출력

개요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72에 위치한 철도역이자 경부선경전선의 분기가 되는 분기역이다.

야간열차 편성을 제외하고 삼랑진역을 지나는 대부분의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역이 위치한 삼랑진읍은 철도 초강세 지역이다.

승강장

경부선 상행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경전선이 분기하기 때문에, 경전선에서 합류하는 열차는 경부선 상행열차 지장으로 삼랑진에서 다소 길게 정차한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미전 1.5 km
삼랑진 부산 방면
원동 9.1 km
(기점) 삼랑진 광주송정 방면
낙동강 1.7 km

경유열차

일반열차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서울-부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대전-부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순천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부전-목포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승하차량

  • 철도통계연보 출처.
삼랑진역
연도 승차량 하차량 월평균
승차량 하차량
2017 204,378 207,359
2016 209,087 213,179
2015 218,914 223,802
2014 219,218 225,175
2013 222,921 228,894
  • 철도 이외의 교통이 불편하고 철도가 대부분의 행선지를 커버하기 때문에 철도강세인 밀양시 중에서도 삼랑진읍은 철도가 초강세이다. 따라서 인구 수에 비해 철도이용객이 대단히 많은 편이다. 유가변동과 배차감편에 의한 영향력이 타 철도역에 비해 매우 적다. 오히려 고유가 시기에도 이용객 수는 감소하였다.
  • 경전선의 기점역이지만 경전선 방면 수요 및 배차는 거의 없으며, 경전선 무궁화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경부선 경유 동대구 ㅡ 마산(진주) 무궁화호가 무정차 통과한다. 그나마 정차하는 경전선 경유 무궁화는 부전ㅡ목포,포항ㅡ순천 전역정차 근성열차 뿐. 경전선 방면 배차는 김해시 소재의 바로 다음 정차역인 한림정역이 더 많다.
  • 삼랑진읍에서 두각을 보이는 개발이 없어 이용객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