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피디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위키백과'''(Wiki百科)는 [[위키위키]] 형태의 [[백과사전]]이다.<ref>백과사전이기는 하지만 위키백과에서 활용하는 집단지성 자체의 한계 때문에 공신력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http://sgsg.hankyung.com/apps.frm/news.view?nkey=13638&c1=01&c2=01]</ref> 영문 명칭을 음차해 '''위키피디아'''(Wikipedia)라고도 한다.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각 언어별로 다른 판이 있으며, [[한국어]]<ref>[[표준어]] 뿐만 아니라 [[문화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ref> 위키백과 또한 존재한다.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그렇기에 당연히 [[미디어위키]] 기반이다. 사진이나 기타 콘텐츠 파일은 [[위키미디어 공용]]에 업로드된 것을 주로 사용하며, 외부 콘텐츠의 [[저작권]]에 엄격한 편이다.
'''위키백과'''(Wiki百科)는 [[위키위키]] 형태의 [[백과사전]]이다.<ref>백과사전이기는 하지만 위키백과에서 활용하는 집단지성 자체의 한계 때문에 공신력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http://sgsg.hankyung.com/apps.frm/news.view?nkey=13638&c1=01&c2=01]</ref> 영문 명칭을 음차해 '''위키피디아'''(Wikipedia)라고도 한다.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각 언어별로 다른 판이 있으며, [[한국어]]<ref>[[표준어]] 뿐만 아니라 [[문화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ref> 위키백과 또한 존재한다.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그렇기에 당연히 [[미디어위키]] 기반이다. 사진이나 기타 콘텐츠 파일은 [[위키미디어 공용]]에 업로드된 것을 주로 사용하며, 외부 콘텐츠의 [[저작권]]에 엄격한 편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 ==
== 각 언어별 위키백과 ==
=== 영어 위키백과 ===
{{참조|영어 위키백과}}
=== 한국어 위키백과 ===
{{참조|한국어 위키백과}}
{{참조|한국어 위키백과}}



2017년 2월 13일 (월) 19:23 판

Wikipedia-ico-48px.png위키백과
Wikipedia-logo-v2.svg
웹사이트 정보
종류 위키위키
언어 275개 언어. (중단을 포함하면 285개 언어)
시작일 2001년 1월 15일

개요

위키백과(Wiki百科)는 위키위키 형태의 백과사전이다.[1] 영문 명칭을 음차해 위키피디아(Wikipedia)라고도 한다.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각 언어별로 다른 판이 있으며, 한국어[2] 위키백과 또한 존재한다.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그렇기에 당연히 미디어위키 기반이다. 사진이나 기타 콘텐츠 파일은 위키미디어 공용에 업로드된 것을 주로 사용하며, 외부 콘텐츠의 저작권에 엄격한 편이다.

각 언어별 위키백과

영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

리브레 위키와의 관계와 저작권

위키백과 편집시 뜨는 저작권 안내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당신은 위키백과의 이용 규약에 동의하며, 기여한 내용을 CC-BY-SA 3.0과 GFDL로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또한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위키백과 이용 약관
7. 콘텐츠 라이선스
a. 사용자가 저작권을 갖는 글: 사용자가 저작권을 갖는 글을 올릴 때, 사용자는 다음 조건에 따라 이용허락을 하는 데 동의합니다.
(재사용자는 둘 중 하나의 라이선스나 둘 모두를 따를 수 있습니다.)
https://wikimediafoundation.org/wiki/Terms_of_Use/ko

재사용자는 둘 중 하나나 둘 모두의 라이선스를 따를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CC BY-SA 3.0을 사용하는 리브레 위키는 원저작자를 표시(편집 내역에 위키백과의 해당 문서의 역사 페이지 링크)하면 위키백과의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모니위키 기반의 리그베다 위키를 이용하다가 넘어온 대다수 리브레 위키의 기여자들은 과 같이 기술적인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그럴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위키백과의 틀을 전용할 때는 {{퍼온문서}} 틀을 써서 표시하면 된다.

미러

위키백과의 미러로 Wikiwand 등이 있다.

바깥 고리

각주

  1. 백과사전이기는 하지만 위키백과에서 활용하는 집단지성 자체의 한계 때문에 공신력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1]
  2. 표준어 뿐만 아니라 문화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틀:위키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