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메이너드 케인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인용문|장기적으로 볼 때, 우린 모두 죽는다.<ref>장기적으로 경기는 저절로 안정된다는 경제학자들의 말에 장기적으로는 어차피 사람은 다 죽는다라고 한 말</ref>}}
{{인용문|장기적으로 볼 때, 우린 모두 죽는다.}}
{{인용문|자본주의는 인간의 가장 이기적인 특성이 전체 다수의 최대 이익을 위해 가장 이기적인 것들을 행하게 하리라는 놀라운 믿음이다.}}
{{인용문|자본주의는 인간의 가장 이기적인 특성이 전체 다수의 최대 이익을 위해 가장 이기적인 것들을 행하게 하리라는 놀라운 믿음이다.}}
{{인용문|경제학자와 정치철학자들의 사상은 그것이 옳을 때에나 틀릴 때에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준보다 더 강력하다}}
{{인용문|경제학자와 정치철학자들의 사상은 그것이 옳을 때에나 틀릴 때에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준보다 더 강력하다}}
[[파일:John-Maynard-Keynes.jpg|200px|섬네일]]
[[파일:John-Maynard-Keynes.jpg|200px|섬네일]]
존 메이너드 케인즈는 [[영국]]의 대표적인 경제학자 중 한 명이다. 그리고 사실상 '''[[거시경제학]]창시자'''이다. 기존의 학설을 바탕으로 ‘케인즈 경제학’이라는 독창적인 이론을 창시해, 경기후퇴와 불황에 대해서 재정정책을 사용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 생애 ==
==생애==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영국의 경제학자로, 20세기의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의 아버지는 존 네빌 케인스로, 그 역시 경제학자였다.
==학문==
 
==여담==
그는 이튼에 입학하고, 케임브리지의 킹스 칼리지로 가게 되었다. 1905년, 이 곳에서 그는 수학 학위를 받게 된다. 그 후, 인도청의 공무원이 되었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학 책 ''Indian Currency and Finance'' (1913)를 쓰게 된다.
==저서==
 
*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1908년, 케임브리지로 돌아와서, ''A Treatise on Probability''의 저술에 전념하게 된다. 이 책은 나중에 1922년 출판된다.
 
1차 세계 대전이 터진 이후, 케인스는 케임브리지를 떠나 전쟁과 관련된 공무를 보게 된다. 그리고 종전 후, 파리 강화 회의에 참여하게 된다. 그의 저작,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 (1919)에서, 그는 베르사유 조약을 공격하여, 유명 인사가 되었다. 그는 클레망소, 윌슨, 그리고 로이드조지를 공격하면서, 분노하고 조롱하는 문체로, 도덕적 분노가 크고도 명징하게 울렸다.
 
1925년 그는 리디아 로포코바와 결혼한다. 그는 그 후 1946년에 죽었다.
== 학문 ==
그는 확률론(''A Treatise on Probability''), 정치 분석(''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 화폐 경제학(''A Tract on Monetary Reform''), 거시경제학(''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지성사("Newton, The Man") 분야의 업적으로 알려져 있다.
 
==같이보기==
==같이보기==
*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학]]

2016년 1월 13일 (수) 17:48 판

장기적으로 볼 때, 우린 모두 죽는다.
자본주의는 인간의 가장 이기적인 특성이 전체 다수의 최대 이익을 위해 가장 이기적인 것들을 행하게 하리라는 놀라운 믿음이다.
경제학자와 정치철학자들의 사상은 그것이 옳을 때에나 틀릴 때에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준보다 더 강력하다
John-Maynard-Keynes.jpg

생애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영국의 경제학자로, 20세기의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의 아버지는 존 네빌 케인스로, 그 역시 경제학자였다.

그는 이튼에 입학하고, 케임브리지의 킹스 칼리지로 가게 되었다. 1905년, 이 곳에서 그는 수학 학위를 받게 된다. 그 후, 인도청의 공무원이 되었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학 책 Indian Currency and Finance (1913)를 쓰게 된다.

1908년, 케임브리지로 돌아와서, A Treatise on Probability의 저술에 전념하게 된다. 이 책은 나중에 1922년 출판된다.

1차 세계 대전이 터진 이후, 케인스는 케임브리지를 떠나 전쟁과 관련된 공무를 보게 된다. 그리고 종전 후, 파리 강화 회의에 참여하게 된다. 그의 저작,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 (1919)에서, 그는 베르사유 조약을 공격하여, 유명 인사가 되었다. 그는 클레망소, 윌슨, 그리고 로이드조지를 공격하면서, 분노하고 조롱하는 문체로, 도덕적 분노가 크고도 명징하게 울렸다.

1925년 그는 리디아 로포코바와 결혼한다. 그는 그 후 1946년에 죽었다.

학문

그는 확률론(A Treatise on Probability), 정치 분석(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 화폐 경제학(A Tract on Monetary Reform), 거시경제학(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지성사("Newton, The Man") 분야의 업적으로 알려져 있다.

같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