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네트워크 효과

분류:
  • 경제학

Network effect / 네트워크 효과

Network externality / 네트워크 외부성 / ネットワーク外部性


네트워크 효과, 혹은 네트워크 외부성이란 경제학이나 비즈니스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특정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개인의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 현상을 말한다. 다른 표현으로는 수요자 측의 규모의 경제 (Demand-side economies of scale) 라는 용어가 쓰이기도 한다.

목차

  • 1 개요
    • 1.1 기본 개념
  • 2 순기능
    • 2.1 순기능의 예시
  • 3 역기능
    • 3.1 역기능의 예시
  • 4 각주

1 개요[편집]

본디 전화 사업에 관련된 용어로, 벨 시스템 및 그 후신인 AT&T의 회장이었던 테오도르 베일 (Theodore Vail)이 1907년에 AT&T의 연차 보고서에서 언급한 개념이다.

1.1 기본 개념[편집]

전화의 경우, 사용하는 사람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전화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상대가 늘어나게 된다. 그렇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상대가 늘어나게 되면, 그로인해 전화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며, 그렇게 늘어난 수요자 중 일부가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그렇게 늘어난 이용자수로 인해 다시금 전화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상대가 늘어나게 되고... 이러한 선순환을 통해 전화라는 서비스의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가는 현상을 말한다. 무한 루프

2 순기능[편집]

나, 너, 우리들이 지금 보고 있는 이곳과 같은 위키처럼 수많은 위키니트 위키페어리 편집자들이 공동 기여하는 커뮤니티의 경우,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축적되는 지식의 양과 질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우리들을 더욱 즐겁게 만들어 주게 된다.

또한 기술의 라이프사이클 (Technology Life-cycle) 을 촉진시키는 촉매가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로, 얼리어답터 용의 고가 제품이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수요가 증가하면, 기업 측에서는 신규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코스트 리더십 (Cost Leadership) 및 차별화 (Differentiation)를 위한 치열한 기술 경쟁을 벌이게 된다. 이러한 기술 경쟁을 통해 보다 고기능화된, 혹은 보다 저렴한 기기들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다시금 이용자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2.1 순기능의 예시[편집]

  • 전화
  • 위키
  • SNS

3 역기능[편집]

반면 네트워크 효과는 이용자들이 록인 (Lock-in)[1]에 빠지게 되는 역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시는 이 위키가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계기가 된 이 항목을 참조할 것.

또한 앱등이나 삼엽충 같은 과도한 상호 비방 역시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 효과의 역기능이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3.1 역기능의 예시[편집]

  •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
  • 위키니트

4 각주

  1. ↑ 기존 시스템을 대체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증가함에 따라 기존 시스템에 대한 불만이 쌓인 상태에서도 새로운 시스템으로 넘어가지 못하는 현상
보기 • 편집
경제학
이론
  • 거시경제학
  • 게임 이론
  • 계량경제학
  • 미시경제학
  • 정보경제학
개념
  • 경제
  • 국내총생산(GDP)
  • 네트워크 효과
  • 다국적기업
  • 수요의 가격탄력성
  • 세금
  • 엥겔 계수
  • 자본
  • 자본주의
  • 자산
  • 자원의 저주
  • 재화
  • 파레토 최적
학자
  • 애덤 스미스
  • 존 메이너드 케인스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카를 마르크스
  • 밀턴 프리드먼
  • 조지프 슘페터
  • 머리 로스바드
단체
  • 국제통화기금(IMF)
문헌
  • 국부론
  • 자본론
  • 이 문서는 2020년 12월 12일 (토) 04: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