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71: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SR-71 (밴드)|미국의 군용기|미국의 록밴드}}
{{다른 뜻|SR-71 (밴드)|미국의 군용기|미국의 록밴드}}
{{무기 정보
| 이름= 록히드 SR-71 블랙버드
| 그림= [[File:Sr71 1.jpg]]
| 설명=
| 국가= {{국기|미국}}
| 종류= 전략 정찰기
<!-- 종류 -->
| 비행기= yes
<!-- 역사 -->
| 개발= 록히드(스컹크웤스)
| 개발년도=
| 생산=
| 생산년도=
| 가격=
| 생산개수= 32대
| 사용년도= 1966년~1999년
| 실전= [[#실전 참고]]
<!-- 일반 제원 -->
| 제원_파생형=
| 중량= 30.617kg(경하)/68,946kg(총중량)
| 길이= 32.74m
| 폭= 16.94m
| 높이= 5.64m
| 승무원= 2명
| 탑승인원=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 부무장=
| 엔진= JT-11D(P&W J51기반)
| 엔진출력= lbs
| 출력비=
| 작전반경= 5,400km (항속거리)
| 최고속도= 마하 3.3
| 항법_유도장치=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고도= 26,000m
| 상승속도= 60m/s
| 탐지장비= 고성능 광학 센서
| 전자장비=
}}
'''SR-71 블랙버드'''(SR-71 Blackbird)는 [[미국]]의 전략정찰기이자 인류 최초로 마하 3을 돌파한 기체이다.


'''SR-71 블랙버드'''(Blackbird)는 [[미국 공군]]이 운용했던 전략정찰기이자 인류 최초로 마하 3을 돌파한 기체이다. 검은색 외형에 최대 음속의 3.3배로 순항이 가능한 기체로 [[비행기]] 중에서 가장 빠른 비행기란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또한 가장 높은 고도를 비행한 비행기로도 이름 높은 기체다. [[소비에트 연방]]을 비롯한 [[중국]], [[북한]] 등의 4,000회가 넘는 요격 시도에도 요격되지 않은 기체로도 또 하나의 신화를 남기기도 하였다.
현존하는 가장 빠른 유인 항공기인 블랙버드는 초고공의 성층권을 마하 3의 속도로 순항해 동구권의 방공망을 뚫고 전략 정보들을 수집했던 정찰기다. 냉전 시기 수많은 요격 시도를 회피하며 단 한번도 격추되지 않은 신화같은 기록을 가지고 있다.
 
==개발==
==개발==
이 항공기의 개발은 [[베트남 전쟁]] 당시에 시작되어 [[1964년]]에 취역했다. 이 정찰기가 취역하기 전에는 [[U-2]] 고공정찰기가 정찰 임무를 맡았지만, 나날이 발전하는 소련의 방공 미사일과 방공망 구축에 26km 상공을 비행하던 U-2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았고 결국 두 번이나 U-2가 소련과 중국에서 격추되는 일이 벌어지자 새로운 정찰 수단을 물색하게 된다.
이 항공기의 개발은 [[베트남 전쟁]] 당시에 시작되어 [[1964년]]에 취역했다. 이 정찰기가 취역하기 전에는 [[U-2]] 고공정찰기가 정찰 임무를 맡았지만, 나날이 발전하는 소련의 방공 미사일과 방공망 구축에 26km 상공을 비행하던 U-2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았고 결국 두 번이나 U-2가 소련과 중국에서 격추되는 일이 벌어지자 새로운 정찰 수단을 물색하게 된다.
8번째 줄: 55번째 줄:
==성능==
==성능==
블랙버드의 가장 큰 강점은 그 미친 속도이다.
블랙버드의 가장 큰 강점은 그 미친 속도이다.
[[File:SR71 J58 Engine Airflow Patterns.svg|썸네일|280픽셀|엔진 구동 원리]]


무려 마하 3.3이라는 엄청난 속도로 순항 가능한 기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 속도를 초고공에서 내는 건 블랙버드가 유일하다(초고공이라 공기 밀도가 희박해 속도 내기엔 좋다). [[F-15]]와 [[F-22]] 랩터도 최대로 가속하면 마하 3에 겨우 도달할 수 있으나 몇 초에 불과하고, [[MiG-25]] 폭스배트도 마하 3.3에 도달했으며 순항도 가능하지만 정상 기동이 아닌 위험한 순간에 사용하는 히든카드 수준으로 이 속도로 비행하는 건 추락을 각오한 행위다. 이 속도로 비행하면 폭스배트의 엔진을 교체하고 정비를 받아야 할 정도로 무리하는 것이다.
무려 마하 3.3이라는 엄청난 속도로 순항 가능한 기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 속도를 초고공에서 내는 건 블랙버드가 유일하다(초고공이라 공기 밀도가 희박해 속도 내기엔 좋다). [[F-15]]와 [[F-22]] 랩터도 최대로 가속하면 마하 3에 겨우 도달할 수 있으나 몇 초에 불과하고, [[MiG-25]] 폭스배트도 마하 3.3에 도달했으며 순항도 가능하지만 정상 기동이 아닌 위험한 순간에 사용하는 히든카드 수준으로 이 속도로 비행하는 건 추락을 각오한 행위다. 이 속도로 비행하면 폭스배트의 엔진을 교체하고 정비를 받아야 할 정도로 무리하는 것이다.
14번째 줄: 63번째 줄:


램제트 엔진을 사용하는 미사일인 [[SSN-20]] 선번이나 [[P-800]] 바잘트 같은 [[미사일]]들은 부착된 로켓 모터를 통해 가속하지만 비행기인 블랙버드를 그런 방식으로 이륙과 가속을 시키기 위한 부스터를 제작하는 것 자체도 불가능했다.
램제트 엔진을 사용하는 미사일인 [[SSN-20]] 선번이나 [[P-800]] 바잘트 같은 [[미사일]]들은 부착된 로켓 모터를 통해 가속하지만 비행기인 블랙버드를 그런 방식으로 이륙과 가속을 시키기 위한 부스터를 제작하는 것 자체도 불가능했다.
 
==실전==
==퇴역==
===활약===
{{빈 문단}}
===퇴역===
 
==비화==
이런 SR-71도 격추당할 뻔한 일이 있다.
이런 SR-71도 격추당할 뻔한 일이 있다.


바로 이러한 기체들을 요격하기 위해 [[MiG-25]]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자매기 [[MiG-31]]이 2.2킬로미터 내 가시거리까지 접근하며 추적한 적이 있다. 조종사가 마음만 먹으면 격추시킬 수 있는 거리였고, 블랙버드의 운명이 소련 조종사의 손에 달린 순간이었으나 소련 방공군은 블랙버드를 격추시키지 않았다. 더 이상 이 속도로도 안전을 보장하기 힘들다는 사실을 인지한 [[미국]]은 소련 영공 외부에서 정찰을 하는 등 정찰 활동이 위축되었다.
바로 이러한 기체들을 요격하기 위해 [[MiG-25]]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자매기 [[MiG-31]]이 2.2킬로미터 내 가시거리까지 접근하며 추적한 적이 있다. 조종사가 마음만 먹으면 격추시킬 수 있는 거리였고, 블랙버드의 운명이 소련 조종사의 손에 달린 순간이었으나 소련 방공군은 블랙버드를 격추시키지 않았다. 더 이상 이 속도로도 안전을 보장하기 힘들다는 사실을 인지한 [[미국]]은 소련 영공 외부에서 정찰을 하는 등 정찰 활동이 위축되었다.
 
==변형==
==관련 문서==
{{각주}}
{{각주}}
[[분류:정찰기]]
[[분류:정찰기]]
[[분류:미국의 군용기]]
[[분류:미국의 군용기]]

2021년 10월 3일 (일) 18:09 판

{{{무기이름}}}
Sr71 1.jpg
무기 정보
종류 전략 정찰기
길이 32.74m
16.94m
높이 5.64m

SR-71 블랙버드(SR-71 Blackbird)는 미국의 전략정찰기이자 인류 최초로 마하 3을 돌파한 기체이다.

현존하는 가장 빠른 유인 항공기인 블랙버드는 초고공의 성층권을 마하 3의 속도로 순항해 동구권의 방공망을 뚫고 전략 정보들을 수집했던 정찰기다. 냉전 시기 수많은 요격 시도를 회피하며 단 한번도 격추되지 않은 신화같은 기록을 가지고 있다.

개발

이 항공기의 개발은 베트남 전쟁 당시에 시작되어 1964년에 취역했다. 이 정찰기가 취역하기 전에는 U-2 고공정찰기가 정찰 임무를 맡았지만, 나날이 발전하는 소련의 방공 미사일과 방공망 구축에 26km 상공을 비행하던 U-2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았고 결국 두 번이나 U-2가 소련과 중국에서 격추되는 일이 벌어지자 새로운 정찰 수단을 물색하게 된다.

성능

블랙버드의 가장 큰 강점은 그 미친 속도이다.

엔진 구동 원리

무려 마하 3.3이라는 엄청난 속도로 순항 가능한 기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 속도를 초고공에서 내는 건 블랙버드가 유일하다(초고공이라 공기 밀도가 희박해 속도 내기엔 좋다). F-15F-22 랩터도 최대로 가속하면 마하 3에 겨우 도달할 수 있으나 몇 초에 불과하고, MiG-25 폭스배트도 마하 3.3에 도달했으며 순항도 가능하지만 정상 기동이 아닌 위험한 순간에 사용하는 히든카드 수준으로 이 속도로 비행하는 건 추락을 각오한 행위다. 이 속도로 비행하면 폭스배트의 엔진을 교체하고 정비를 받아야 할 정도로 무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괴랄한 속도를 낼 수 있는 이유는 블랙버드만의 특별한 엔진 덕분인데, 일반적인 전투기나 초음속기가 사용하는 엔진은 터보팬 혹은 터보제트 엔진으로 팬을 돌려 가속하는 엔진이다 이 터보제트 엔진으로도 마하 3에 도달할 수 있고 그 대표적 예가 폭스배트다. 그러나 이 속도를 계속 유지하기도 불가능하고 엔진에 어마어마한 손상을 입히며 무엇보다도 효율이 떨어진다. 그렇기에 이런 극초음속에 가까운 비행을 위해 특수한 엔진인 램제트라는 엔진을 사용하는데, 이 램제트는 자체적으로 공기를 흡입해 연소할 수 없으며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음속이 넘는 상황이어야 했다.

램제트 엔진을 사용하는 미사일인 SSN-20 선번이나 P-800 바잘트 같은 미사일들은 부착된 로켓 모터를 통해 가속하지만 비행기인 블랙버드를 그런 방식으로 이륙과 가속을 시키기 위한 부스터를 제작하는 것 자체도 불가능했다.

실전

활약

퇴역

이런 SR-71도 격추당할 뻔한 일이 있다.

바로 이러한 기체들을 요격하기 위해 MiG-25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자매기 MiG-31이 2.2킬로미터 내 가시거리까지 접근하며 추적한 적이 있다. 조종사가 마음만 먹으면 격추시킬 수 있는 거리였고, 블랙버드의 운명이 소련 조종사의 손에 달린 순간이었으나 소련 방공군은 블랙버드를 격추시키지 않았다. 더 이상 이 속도로도 안전을 보장하기 힘들다는 사실을 인지한 미국은 소련 영공 외부에서 정찰을 하는 등 정찰 활동이 위축되었다.

변형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