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9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탄생)
잔글 (→‎사망)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월|4}}
{{월
{{정보상자
|= 4
|전체모양    = border: 2px solid #999999;
|탄생화 = 참제비고깔 <small>([[청명]])</small>
|항목모양    = background:#DDDDDD;text-align: center;
|탄생석 = [[다이아몬드]] / [[수정]]
 
|별자리 = [[양자리]]
|항목1 = '''탄생화 <small>(꽃말)</small>'''
|내용1 = 참제비고깔 <small>([[청명]])</small>
|항목2 = '''[[탄생석]]'''
|내용2 = [[다이아몬드]] / [[수정]]
|항목3 = '''[[황도 12궁|별자리]]'''
|내용3 = [[양자리]]
}}
}}


== 사건 ==
== 기념일 ==
* [[1960년]]: [[4·19 혁명]]이 발생했다.
* [[4.19 혁명기념일]] ({{나라|대한민국}})
* [[1991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이 [[제주도]]를 방문하여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 [[1995년]]: [[미국]] [[오클라호마시티]]의 [[앨프리드 P. 뮤러 연방정부청사]] 앞에서 [[티머시 맥베이]]가 트럭으로 [[오클라호마 폭탄 테러|폭탄 테러]]를 일으켜 168명의 희생자를 냈다.
* [[2016년]]: [[아프가니스탄]] 카불 시내 풀리 마흐모드 칸 지역의 국가안보국(NDS) 건물 앞에서 폭발물을 실은 트럭이 폭발하고 이어 무장괴한들이 건물 진입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들과 치안당국 간에 2시간 가량 총격전이 벌어졌다. 이 폭탄 테러와 총격전으로 최소 24명이 사망, 최소 208명이 부상당했다. [[탈레반]]이 이번 테러를 자기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344283 아프간 카불서 탈레반 폭탄테러…"24명 사망 200여명 부상"(종합)], 연합뉴스, 2016.04.19</ref>
* [[2018년]]: [[스와질란드]]가 국호를 [[에스와티니]]로 변경했다.


== 문화 ==
== 문화 ==
30번째 줄: 20번째 줄:


=== 방송 ===
=== 방송 ===
* [[2000년]]: 애니메이션 《[[러브히나/애니메이션|러브히나]]》가 방영을 시작했다.
* [[2000년]]: 애니메이션 《[[러브히나 (애니메이션)|러브히나]]》가 방영을 시작했다.
* [[2003년]]: 드라마 《[[인생 화보]]》가 종영했다.
* [[2003년]]: 드라마 《[[인생 화보]]》가 종영했다.
* [[2004년]]: 드라마 《[[아름다운 유혹]]》이 방영을 시작했다.
* [[2004년]]: 드라마 《[[아름다운 유혹]]》이 방영을 시작했다.
65번째 줄: 55번째 줄:
=== 게임 ===
=== 게임 ===
* [[2002년]]: 게임 《[[그녀의 기사단: 강행돌파]]》가 대한민국에서 발매됐다.
* [[2002년]]: 게임 《[[그녀의 기사단: 강행돌파]]》가 대한민국에서 발매됐다.
* [[2007년]]: 게임 《[[Fate/stay night Réalta Nua]]》의 PS2판이 발매됐다.
* [[2007년]]: 게임 《[[Fate/stay night [Réalta Nua]|Fate/stay night [Réalta Nua]]]》의 PS2판이 발매됐다.
* [[2012년]]: 게임 《[[파이어 엠블렘 각성]]》이 일본에서 발매됐다.
* [[2012년]]: 게임 《[[파이어 엠블렘 각성]]》이 일본에서 발매됐다.
* [[2016년]]
* [[2016년]]
88번째 줄: 78번째 줄:
* [[2005년]]: 게임회사 [[스마일게이트]]가 창립됐다.
* [[2005년]]: 게임회사 [[스마일게이트]]가 창립됐다.


== 탄생 ==
== 출생 ==
=== 실존인물 ===
=== 실존인물 ===
* [[1939년]]: 정치인 [[박찬종]]
* [[1939년]]: 정치인 [[박찬종]]
126번째 줄: 116번째 줄:
* [[1906년]]: 과학자 [[피에르 퀴리]]
* [[1906년]]: 과학자 [[피에르 퀴리]]
* [[1992년]]: 배우 [[베니 힐]]
* [[1992년]]: 배우 [[베니 힐]]
 
* [[2023년]]: [[아스트로]]의 [[문빈]]
== 기념일 ==
* [[4.19 혁명기념일]] ({{KOR}})


{{각주}}
{{각주}}
[[분류:날짜]]
[[분류:날짜]]

2023년 4월 20일 (목) 20:37 기준 최신판

4월 19일
탄생화 (꽃말) 참제비고깔 (청명)
탄생석 다이아몬드 / 수정
별자리 양자리
01 · 02 · 03 · 04 · 05 · 06 · 07
08 · 09 · 10 · 11 · 12 · 13 · 14
15 · 16 · 17 · 18 · 19 · 20 · 21
22 · 23 · 24 · 25 · 26 · 27 · 28
29 · 30
01월 · 02월 · 03월 · 04월 · 05월 · 06월
07월 · 08월 · 09월 · 10월 · 11월 · 12월

기념일[편집 | 원본 편집]

문화[편집 | 원본 편집]

영화[편집 | 원본 편집]

방송[편집 | 원본 편집]

음악[편집 | 원본 편집]

  • 2010년: 2PM의 싱글 3집 《Don't Stop Can't Stop》이 발매됐다.
  • 2011년: Apink의 미니 1집 《Seven Springs of Apink》가 발매됐다. 이 날이 공식적인 데뷔일이기 때문에 4월 19일 또는 비슷한 시기에 Apink의 팬송이 발매되곤 한다.
  • 2012년
    • 제리케이의 싱글 《연애담 Epilogue》가 발매됐다.
    • Apink의 디지털 싱글 《4월 19일》이 발매됐다.
  • 2015년: Apink의 디지털 싱글 《새끼손까락》이 발매됐다.
  • 2016년
    • 예성의 미니 1집 《Here I Am》이 발매됐다.
    • VIXX의 싱글 5집 《Zelos》가 발매됐다.
    • Apink의 디지털 싱글 《네가 손짓해주면》이 발매됐다.
  • 2017년
    • Apink의 디지털 싱글 《Always》가 발매됐다.
    • 다이아의 정규 2집 《YOLO》가 발매됐다.
  • 2018년
    • Apink의 스페셜 음반 《기적 같은 이야기》가 발매됐다.
    • 인투잇의 싱글 1집 《SnapShot》이 발매됐다.
    • 민서의 디지털 싱글 《알지도 못하면서》가 발매됐다.
  • 2019년
    • Apink의 디지털 싱글 《Everybody Ready?》가 발매됐다.
    • 홀리데이의 디지털 싱글 《판타지》가 발매됐다.
    • ENOi의 싱글 1집 《Bloom》이 발매됐다.

스포츠[편집 | 원본 편집]

게임[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출생[편집 | 원본 편집]

실존인물[편집 | 원본 편집]

가상인물[편집 | 원본 편집]

사망[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