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문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4명의 중간 판 7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상위 항목: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새 철도역 정보
{{+1|新里門驛 / Sinimun Station}}
|이름    = 신이문
{{|[[백괴사전|New Two Door Station]]}}
|원어이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신이문 / 新里門 / Sinimun
|글자색  = white
|-
|그림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1호선|<span style="color: white;">수도권 전철 1호선</span>]]'''
|그림설명 =
|-
|그림alt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역번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 '''121'''
|번호    = {{역번호/한국|121|수도권|1}}
|-
|노선    = [[경원선]] <small>15.7 km</small>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주소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br />(舊 동대문구 이문동 7)
|개업일  = [[1980년]] [[1월 5일]]
|-
|폐지일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개업일
|코드    =  
|| [[1980년]] [[1월 5일]]
|승강장  = 2면 2선
|-
|관련역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운영기관
|참고    =
|| [[한국철도공사]]
|비고    =  
|-
|하위 틀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승강장
}}
|| [[상대식 승강장]]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위치한 전철역.
|-
| colspan="3" | [[경원선]]
|-
||←[[외대앞역|외대앞]]<br />0.8km
|| '''신이문'''
||[[석계역|석 계]]→<br />1.4km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1호선|<span style="color: white;">수도권 전철 1호선</span>]]([[경원선|<span style="color: white;">경원선</span>]])'''
|-
||←[[석계역|석 계]]<br />1.4km
|| '''신이문'''
||[[외대앞역|외대앞]]→<br />0.8km
|}
 
== 개요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한 전철역.


이문동에 있으니 이문역이 되어야 하겠으나, 개업 당시만 하더라도 [[망우선]]에 [[이문역]]이 있었기 때문에 앞에 '''신'''(新)을 붙여 신이문역으로 확정되었다.
이문동에 있으니 이문역이 되어야 하겠으나, 개업 당시만 하더라도 [[망우선]]에 [[이문역]]이 있었기 때문에 앞에 '''신'''(新)을 붙여 신이문역으로 확정되었다.


다만 [[2004년]] 이문역이 폐역된 이후 이 신이문역을 이문역으로 바꿀 법도 한데, {{ㅊ|망할 절도공단}} [[한국철도시설공단|철도공단]]의 [[귀차니즘]]으로 이루어지 않고 있다(...)
== 역사 ==
== 연혁 ==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이 개통될 당시에는 없었던 역이나, [[1980년]] [[1월 5일]] 새로 개업한 전철역이다.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이 개통될 당시에는 없었던 역이나, [[1980년]] [[1월 5일]] 새로 개업한 전철역이다.


이후 [[2007년]] [[4월 13일]] 기존 북부역사와 더불어 남부역사를 새로 신축했다.
이후 [[2007년]] [[4월 13일]] 기존 북부역사와 더불어 남부역사를 새로 신축했다.


== 특징 ==
== 시설 ==
* 1초 [[역세권]]이 존재하는 역이다(...) 다만 지하철역([[남태령역]] 같은 케이스)과는 달리 지상 전철역이다 보니 집값은 오히려 떨어진다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참조 ==
 
<references/>
{{철도승강장|구조=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경원선]]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1호선''' [[서울역|서울역]] · [[인천역|인천]] · [[서동탄역|서동탄]]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원선]] [[외대앞역|외대앞]]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원선]] [[석계역|석계]]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1호선''' [[광운대역|광운대]] · [[의정부역|의정부]] · [[소요산역|소요산]] 방면
}}
}}
 
== 주변 정보 ==
인근에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있다. 이는 부역명이기도 하다. 다만 그쪽 방향으로 내려서 가는 길은 야간에 인적이 드물고 치안이 좋지 않은 편이다.
 
역 주변에 1초 [[역세권]]이 존재한다(...) 다만 지하철역([[남태령역]] 같은 케이스)과는 달리 지상 전철역이다 보니 집값은 오히려 떨어진다고. 아무래도 역 주변에 [[석계동]] 방향으로 가는 고가도로가 있는 영향이 큰 듯.
 
역 규모나 지명도에 비해서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주변에 아파트들이 있기도 하고, [[중랑구]] [[신내동]]에 살면서 시내로 통학이나 출퇴근하는 사람들도 신이문역에서 내려서 [[서울 버스 1122]] 또는 [[서울 버스 2235]]를 타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아는 사람만 알지만, 그 아는 사람들은 매일 거쳐야 하는 지하철 역인 셈이다.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5 [[경원선]]|노선거리=15.7 km
|전방면=[[용산역|용산]] 방면|전역=[[외대앞역|외대앞]]|전거리=0.8 km
|당역='''신이문'''
|후방면=[[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후역=[[석계역|석계]]|후거리=1.4 km}}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소요산역|소요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120|수도권|1}} [[석계역|석계]]|전거리=1.4 km
|당역={{역번호/한국|121|수도권|1}} '''신이문'''|등급=
|후방면=[[인천역|인천]] · [[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122|수도권|1}} [[외대앞역|외대앞]]|후거리=0.8 km}}
{{경유 계통/닫기}}
 
{{각주}}
 
[[분류:경원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리브레 맵스 마커|37.601656187803115|127.06727027893066|14|신이문역}}

2023년 10월 31일 (화) 00:13 기준 최신판

신이문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번호  121 
노선 경원선 15.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1980년 1월 5일
승강장 2면 2선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한 전철역.

이문동에 있으니 이문역이 되어야 하겠으나, 개업 당시만 하더라도 망우선이문역이 있었기 때문에 앞에 (新)을 붙여 신이문역으로 확정되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이 개통될 당시에는 없었던 역이나, 1980년 1월 5일 새로 개업한 전철역이다.

이후 2007년 4월 13일 기존 북부역사와 더불어 남부역사를 새로 신축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인근에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있다. 이는 부역명이기도 하다. 다만 그쪽 방향으로 내려서 가는 길은 야간에 인적이 드물고 치안이 좋지 않은 편이다.

역 주변에 1초 역세권이 존재한다(...) 다만 지하철역(남태령역 같은 케이스)과는 달리 지상 전철역이다 보니 집값은 오히려 떨어진다고. 아무래도 역 주변에 석계동 방향으로 가는 고가도로가 있는 영향이 큰 듯.

역 규모나 지명도에 비해서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주변에 아파트들이 있기도 하고, 중랑구 신내동에 살면서 시내로 통학이나 출퇴근하는 사람들도 신이문역에서 내려서 서울 버스 1122 또는 서울 버스 2235를 타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아는 사람만 알지만, 그 아는 사람들은 매일 거쳐야 하는 지하철 역인 셈이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용산 방면
외대앞 0.8 km
신이문 백마고지 방면
석계 1.4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소요산 방면
 120  석계
 121  신이문 인천 · 신창 방면
 122  외대앞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