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 벤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스타크래프트 본편에 있는 애드온 캠페인 [[엔슬레이버즈]]의 후속작이며 정식 명칭은 Enslavers II : Dark Vengeance로 번역하면 '암흑의 복수'가 되겠다.  
스타크래프트 본편에 있는 애드온 캠페인 [[엔슬레이버즈]]의 후속작이며 정식 명칭은 Enslavers II : Dark Vengeance로 번역하면 '암흑의 복수'가 되겠다.  


== 특징 ==
엔슬레이버즈와 마찬가지로 임무 자체는 준 공식이지만 설정은 블리자드 공식 설정이며 이전작 엔슬레이버즈(5개)보다 2개 늘어난 (분기 포함해) 총 7개로 에필로그까지 넣으면 총 8개다.  
엔슬레이버즈와 마찬가지로 임무 자체는 준 공식이지만 설정은 블리자드 공식 설정이며 이전작 엔슬레이버즈(5개)보다 2개 늘어난 (분기 포함해) 총 7개로 에필로그까지 넣으면 총 8개다.  
다른 임무들이랑 비교해도 엄청나게 높은 난이도로 악명이 자자한데 이유를 몇 가지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자원 확보의 어려움
플레이어 종족이 유닛들 하나하나 생산 비용이 높은 프로토스인데다 중립 멀티가 1~2개로 적으며 적 기지도 대개 방어가 꽤 탄탄하거나 플레이에게 지형이 불리하다.
철저히 수비 위주로 간 다음에 유닛을 꾸준히 모아 적 기지를 밀고 거기에 있는 자원으로 다시 유닛을 모아 공격하는 전법이 기본이다.
* 2개 이상의 적 종족
세 번째 임무부터 테란+저그, 저그+프로토스, 테란+프로토스 등 분기에 따라 온갖 조합을 상대해야 되는데 세 번째 임무의 인공지능은 종족 전쟁 저그 캠페인에서 어렵다고 손꼽히는 8번째 임무의 인공지능이랑 두 개의 상급 인공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번째 임무에서 케이다린 수정 루트로 갈 경우 네 번째 임무는 유닛전이라 패스하더라도 다섯 번째 임무가 EMP 장치를 파괴하기 전까지 10분 간격으로 아군 전체의 보호막이 증발하는 와중에 테란 + 프로토스라는 매우 까다로운 조합을 상대해야 되는데 승리 조건(EMP 장치 파괴와 셰자르의 사살)을 만족하려면 방어가 삼엄한 적진 한복판으로 들어가야 한다. 세 번째 임무에서 셰자르의 사령부를 파괴하는 쪽을 택할 경우 테란+저그 혼합 방어선을 뚫으면 최상위 인공지능을 상대해야 하고 마지막 임무에서는 저그 영웅 유닛들을 상대해야 되는데 그나마 마지막 임무에서는 암흑 집정관을 사용할 수 있으니 정신 제어로 저그 영웅 유닛을 아군으로 전환시켜 여관광시킬 수 있다.
* 임무에 따른 유닛 제한
2번째 임무까지는 암흑 기사, A루트의 네 번째 임무랑 B루트의 다섯 번째 임무를 제외한 모든 임무에서는 암흑 집정관을 쓸 수 없다. 아마 정신 제어로 일꾼을 빼앗아 타 종족의 단계를 올릴 여지가 있기 때문인 것 같은데 특히 세 번째 임무에서 암흑 집정관을 쓸 수 있었다면 저그 테란 플토 3종족 전부 운영할 수 있게되고 A루트의 다섯 번째 임무일 때는 건설로봇을 빼앗아 적 세력처럼 플토랑 테란 2종족을 운영하는 등 난이도가 급격히 하락했을 것이다.


== 구조(The Rescue) ==  
== 구조(The Rescue) ==  

2020년 6월 28일 (일) 15:35 판

소개

Dark vengeance

블리자드에서 공개한 스타크래프트 종족 전쟁 전용 애드온 캠페인.

스타크래프트 본편에 있는 애드온 캠페인 엔슬레이버즈의 후속작이며 정식 명칭은 Enslavers II : Dark Vengeance로 번역하면 '암흑의 복수'가 되겠다.

특징

엔슬레이버즈와 마찬가지로 임무 자체는 준 공식이지만 설정은 블리자드 공식 설정이며 이전작 엔슬레이버즈(5개)보다 2개 늘어난 (분기 포함해) 총 7개로 에필로그까지 넣으면 총 8개다.

다른 임무들이랑 비교해도 엄청나게 높은 난이도로 악명이 자자한데 이유를 몇 가지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자원 확보의 어려움

플레이어 종족이 유닛들 하나하나 생산 비용이 높은 프로토스인데다 중립 멀티가 1~2개로 적으며 적 기지도 대개 방어가 꽤 탄탄하거나 플레이에게 지형이 불리하다. 철저히 수비 위주로 간 다음에 유닛을 꾸준히 모아 적 기지를 밀고 거기에 있는 자원으로 다시 유닛을 모아 공격하는 전법이 기본이다.

  • 2개 이상의 적 종족

세 번째 임무부터 테란+저그, 저그+프로토스, 테란+프로토스 등 분기에 따라 온갖 조합을 상대해야 되는데 세 번째 임무의 인공지능은 종족 전쟁 저그 캠페인에서 어렵다고 손꼽히는 8번째 임무의 인공지능이랑 두 개의 상급 인공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번째 임무에서 케이다린 수정 루트로 갈 경우 네 번째 임무는 유닛전이라 패스하더라도 다섯 번째 임무가 EMP 장치를 파괴하기 전까지 10분 간격으로 아군 전체의 보호막이 증발하는 와중에 테란 + 프로토스라는 매우 까다로운 조합을 상대해야 되는데 승리 조건(EMP 장치 파괴와 셰자르의 사살)을 만족하려면 방어가 삼엄한 적진 한복판으로 들어가야 한다. 세 번째 임무에서 셰자르의 사령부를 파괴하는 쪽을 택할 경우 테란+저그 혼합 방어선을 뚫으면 최상위 인공지능을 상대해야 하고 마지막 임무에서는 저그 영웅 유닛들을 상대해야 되는데 그나마 마지막 임무에서는 암흑 집정관을 사용할 수 있으니 정신 제어로 저그 영웅 유닛을 아군으로 전환시켜 여관광시킬 수 있다.

  • 임무에 따른 유닛 제한

2번째 임무까지는 암흑 기사, A루트의 네 번째 임무랑 B루트의 다섯 번째 임무를 제외한 모든 임무에서는 암흑 집정관을 쓸 수 없다. 아마 정신 제어로 일꾼을 빼앗아 타 종족의 단계를 올릴 여지가 있기 때문인 것 같은데 특히 세 번째 임무에서 암흑 집정관을 쓸 수 있었다면 저그 테란 플토 3종족 전부 운영할 수 있게되고 A루트의 다섯 번째 임무일 때는 건설로봇을 빼앗아 적 세력처럼 플토랑 테란 2종족을 운영하는 등 난이도가 급격히 하락했을 것이다.

구조(The Rescue)

  • 목표
● 모든 저그 구조물 파괴 

불일치 배심(Hung Jury)

  • 목표
● 모든 테란 구조물 파괴 

응징(Nemesis)

  • 목표
● 케이다린 수정 회수(A 루트 진행) 또는 
셰자르의 사령부 파괴(B 루트 진행) 

여기서는 둘 중에 어떤 목표를 완료하느냐에 따라 루트가 나뉜다.

일단 목표는 케이다린 수정을 회수하는 것, 또는 앨런 셰자르의 테란 사령부를 파괴하는 것인데 정식 루트는 케이다린 수정 회수로 확정되었다.

A 루트

응징 임무에서 케이다린 수정을 회수하면 이쪽으로 넘어간다.

필사적 조치(Desperate Measures)

  • 목표
● 1시간 안에 암흑 집정관을 5개의 신호소로 인도 
● 암흑 집정관 생존 

결전(Showdown)

  • 목표
● EMP 장치 파괴 
● 셰자르 제거 

B 루트

응징 임무에서 앨런 셰자르의 테란 사령부를 파괴하면 이쪽으로 넘어간다.

반전(Turnabout)

  • 목표
● 셰자르 제거 
  • 추가 목표
● 모든 저그 기지 파괴 

암흑의 복수(Dark Vengeance)

  • 목표
차원 관문 파괴 
● 가짜 케이다린 수정 파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