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는 한국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조선어'''(朝鮮語)가 주로 쓰여 왔으나, 최근에는 '''한국어'''로 부르는 경향이 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는 한국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조선어'''(朝鮮語)가 주로 쓰여 왔으나, 최근에는 '''한국어'''로 부르는 경향이 늘고 있다.


중국은 북한과의 밀접한 관계에 따라 한국어를 주로 ''''차오셴위'''({{zh|c=朝鲜语|p=Cháoxiǎnyǔ}}, 조선어)'라고 부른다. 중국 내 [[조선족]]의 언어는 ''''중궈차오셴위'''({{llang|zh|中国朝鲜语}}, [[중국조선말]])'이라고 부른다. [[1992년]] [[대한민국]]과의 수교 이후에 양국이 활발한 교류를 하게 되면서 '한궈위({{zh|c=韩国语|p=Hánguóyǔ}}, 한국어)' 또는 '한위'(韓語, 한어) 등의 명칭이 왕왕 쓰이기도 하지만, 학술상으로는 여전히 문화어 계열 어휘를 많이 사용한다.
중국은 북한과의 밀접한 관계에 따라 한국어를 주로 ''''차오셴위'''(朝鲜语, Cháoxiǎnyǔ, 조선어)'라고 부른다. 중국 내 [[조선족]]의 언어는 ''''중궈차오셴위'''(中国朝鲜语, [[중국조선말]])'이라고 부른다. [[1992년]] [[대한민국]]과의 수교 이후에 양국이 활발한 교류를 하게 되면서 '한궈위(韩国语, Hánguóyǔ}}, 한국어)' 또는 '한위'(韓語, 한어) 등의 명칭이 왕왕 쓰이기도 하지만, 학술상으로는 여전히 문화어 계열 어휘를 많이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한국어를 '조센고(조선어)'라고 불렀으나, 근래에는 '간코쿠고(한국어)'라고 부르는 경향이 강하다. 일본 내의 한인(韓人) 교포 사회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으로 갈라져 각각 [[표준어]]와 [[문화어]]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NHK]]는 한국어 회화 명칭을 '간코쿠고(한국어)', '조센고(조선어)' 대신 '한구루 고자'({{lang|ja|ハングル講座}}, 한글 강좌)라고 하였다. 그 밖에도 중립성을 고려하여 '고리아고'({{lang|ja|コリア語}}, 코리아어)나 '가라노쿠니노코토바'({{lang|ja|韓の国のことば}}, からのくにのことば, 한나라말) 등의 명칭을 쓰기도 한다. '고리아고(코리아어)'는 [[1977년]] [[조치 대학교]]가 처음으로 전공 학과를 개설한 이후 일부 대학교에서 쓴다.
[[일본]]에서는 한국어를 '조센고(조선어)'라고 불렀으나, 근래에는 '간코쿠고(한국어)'라고 부르는 경향이 강하다. 일본 내의 한인(韓人) 교포 사회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으로 갈라져 각각 [[표준어]]와 [[문화어]]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NHK]]는 한국어 회화 명칭을 '간코쿠고(한국어)', '조센고(조선어)' 대신 '한구루 [[고자]]'(ハングル講座, 한글 강좌)라고 하였다. 그 밖에도 중립성을 고려하여 '고리아고'(コリア語, 코리아어)나 '가라노쿠니노코토바'(韓の国のことば, からのくにのことば, 한나라말) 등의 명칭을 쓰기도 한다. '고리아고(코리아어)'는 [[1977년]] [[조치 대학교]]가 처음으로 전공 학과를 개설한 이후 일부 대학교에서 쓴다.


[[중화민국]]([[타이완]])은 1992년 전에는 대한민국의 우방국이었기 때문에 한국어를 '한궈위({{zh|c=韓國語|p=Hánguóyǔ}}, 한국어)'나 '한위({{zh|c=韓語|p=Hányǔ}}, 한어)'로 부른다.
[[중화민국]]([[타이완]])은 1992년 전에는 대한민국의 우방국이었기 때문에 한국어를 '한궈위(韓國語, Hánguóyǔ, 한국어)'나 '한위(韓語, Hányǔ, 한어)'로 부른다.


베트남에서의 용법은 중국과 거의 비슷하다. 현재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지만, 과거에 [[한자 문화권]]에 속했던 베트남은 한국을 '쩨우띠엔'({{llang|vi|Triều Tiên}}, 朝鮮)이라고 불렀고, 대한민국은 '남쩨우띠엔'({{llang|vi|Nam Triều Tiên}}, 南朝鮮), 한국어는 '띠엥쩨우띠엔'({{lang|vi|Tiếng Triều Tiên}}, 朝鮮語)으로 불렀다. 한국에 관련된 일반 어휘는 문화어 계열의 어휘가 더 많이 쓰인다. 대한민국의 표준어는 '띠엥한'({{lang|vi|Tiếng Hàn}}, 韓語)이라고 부른다.
베트남에서의 용법은 중국과 거의 비슷하다. 현재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지만, 과거에 [[한자 문화권]]에 속했던 베트남은 한국을 '쩨우띠엔'(Triều Tiên, 朝鮮)이라고 불렀고, 대한민국은 '남쩨우띠엔'(Nam Triều Tiên, 南朝鮮), 한국어는 '띠엥쩨우띠엔'(Tiếng Triều Tiên, 朝鮮語)으로 불렀다. 한국에 관련된 일반 어휘는 문화어 계열의 어휘가 더 많이 쓰인다. 대한민국의 표준어는 '띠엥한'(Tiếng Hàn, 韓語)이라고 부른다.


=== [[인도유럽어족]] ===
=== [[인도유럽어족]] ===

2015년 5월 13일 (수) 21:13 판

  • 본 문서는 위키백과의 한국어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당신이 지금 읽고 있는 바로 그 언어

Korean language, 韓國語
한국어, 또는 조선말대한민국북한에서 사용하는 언어이다.

한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와 제주어를 주로 사용하는 지역.

개요

한국의 공용어이자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바로 이 언어이다. 사용하는 지역은 한반도 및 그 부속 도서와 한민족 거주 지역에서 쓰이는 언어로 사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한국말이라고 부르고, 북한과 중국에서는 조선어(朝鮮語), 조선말(朝鮮-)이라고 부르며,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등 구 소련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이라고 부른다.

19세기 중반 이후 한반도와 주변 정세의 혼란, 20세기 전반 일본 제국의 침략, 20세기 후반 대한민국의 해외 이민에 의해 중국 동북삼성, 일본, 러시아 연해주와 사할린, 우즈베키스탄,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베트남, 브라질 등 세계 곳곳에 한민족이 이주하면서 한국어가 쓰이고 있다.

언어유형학적으로 교착어인 한국어는 조사(후치사) 등으로 문법 구조를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동사, 형용사의 활용이 매우 다양하여 학습자들을 굉장히 혼란스럽게 한다. 언어계통학, 비교언어학적으로는 고립어, 즉 다른 언어와의 친족관계가 발견되지 않은 언어이다. 무려 1억 명이 사용하는 한국어는 전 세계에서 가장 화자 수가 많은 고립어이다.

일본어 항목보다 늦게 만들어졌다카더라

명칭

'한국어'(韓國語)는 대한민국에서 쓰는 명칭이고 북한에서는 조선어(朝鮮語) 혹은 조선말이라고 한다. 한국과 북한이 공동으로 만드는 사전의 이름은 겨레말 큰사전이다. 1994년부터 열리는 한국 · 북한 ·중국 간의 한글과 한국어 컴퓨터 처리를 표준화하려는 학회명은 '코리안 컴퓨터처리 국제학술대회'이다.

동아시아

중국, 일본, 베트남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는 한국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조선어(朝鮮語)가 주로 쓰여 왔으나, 최근에는 한국어로 부르는 경향이 늘고 있다.

중국은 북한과의 밀접한 관계에 따라 한국어를 주로 '차오셴위(朝鲜语, Cháoxiǎnyǔ, 조선어)'라고 부른다. 중국 내 조선족의 언어는 '중궈차오셴위(中国朝鲜语, 중국조선말)'이라고 부른다. 1992년 대한민국과의 수교 이후에 양국이 활발한 교류를 하게 되면서 '한궈위(韩国语, Hánguóyǔ}}, 한국어)' 또는 '한위'(韓語, 한어) 등의 명칭이 왕왕 쓰이기도 하지만, 학술상으로는 여전히 문화어 계열 어휘를 많이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한국어를 '조센고(조선어)'라고 불렀으나, 근래에는 '간코쿠고(한국어)'라고 부르는 경향이 강하다. 일본 내의 한인(韓人) 교포 사회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으로 갈라져 각각 표준어문화어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NHK는 한국어 회화 명칭을 '간코쿠고(한국어)', '조센고(조선어)' 대신 '한구루 고자'(ハングル講座, 한글 강좌)라고 하였다. 그 밖에도 중립성을 고려하여 '고리아고'(コリア語, 코리아어)나 '가라노쿠니노코토바'(韓の国のことば, からのくにのことば, 한나라말) 등의 명칭을 쓰기도 한다. '고리아고(코리아어)'는 1977년 조치 대학교가 처음으로 전공 학과를 개설한 이후 일부 대학교에서 쓴다.

중화민국(타이완)은 1992년 전에는 대한민국의 우방국이었기 때문에 한국어를 '한궈위(韓國語, Hánguóyǔ, 한국어)'나 '한위(韓語, Hányǔ, 한어)'로 부른다.

베트남에서의 용법은 중국과 거의 비슷하다. 현재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지만, 과거에 한자 문화권에 속했던 베트남은 한국을 '쩨우띠엔'(Triều Tiên, 朝鮮)이라고 불렀고, 대한민국은 '남쩨우띠엔'(Nam Triều Tiên, 南朝鮮), 한국어는 '띠엥쩨우띠엔'(Tiếng Triều Tiên, 朝鮮語)으로 불렀다. 한국에 관련된 일반 어휘는 문화어 계열의 어휘가 더 많이 쓰인다. 대한민국의 표준어는 '띠엥한'(Tiếng Hàn, 韓語)이라고 부른다.

인도유럽어족

한국어는 영어로 'Korean', 프랑스어로 'Coréen', 스페인어로 'Coreano'로 불린다.

일본이 알파벳순으로 국가의 이름을 정렬했을 때 의도적으로 Japan 아래에 식민지의 이름이 오도록 Corea라는 공식명칭을 Korea로 바꿨다는 말이 있지만 사실은 전혀 근거없는 소리이다. 이는 게르만어족과 라틴어족에 따른 알파벳 표기법 차이로 인한 것일 뿐이다.

역사

고대 국어

중세 국어

근대 국어

현대 국어

한글과의 혼동

한글과 헷갈리는 사람이 많은 듯하다.


한글문자고, 한국어는 언어로,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긴 하지만 엄연히 별개의 것이다.

예를 들면 "아이 엠 어 보이"는 한글로 쓰였지만 영어이고, "Annyeonghaseyo"는 로마자로 쓰였지만 한국어 문장이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자면 한글날에 한국어 맞춤법을 논하는 것은 핀트가 약간 어긋난 것이다.

문법

검정시험

한국어능력평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