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DVD판)
81번째 줄: 81번째 줄:


== DVD판 ==
== DVD판 ==
원래 다른 애니메이션 DVD처럼 단권 발매를 하려고 했으나 상기한 문제점이 너무 큰 나머지 DVD 예약률이 한없이 낮아 단권 DVD 발매는 취소되었고 종영 뒤 작화들을 대거 수정 및 특전들을 넣은 DVD 박스를 발매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원래 다른 애니메이션 DVD처럼 단권 발매를 하려고 했으나 상기한 문제점이 너무 큰 나머지 DVD 예약률이 한없이 낮아 단권 DVD 발매는 취소되었고 종영 뒤 작화들을 대거 수정 및 특전들을 넣은 DVD 박스를 발매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커버 일러스트는 [[타타나 카나]]가 아닌 [[야마다 우이로우]]가 그렸다.


하지만 이 DVD 박스도 평가와 판매량이 좋지 못했는데 작화 수정은 클로즈업 샷만 수정했을 뿐 지적을 받은 동화와 몇몇 심각한 작화 붕괴는 수정되지도 않았으며 동봉된 책자는 중첩처리를 제대로 못해 낱장이 떨어지지 않나 스토리 보강또한 없었다. 웬만한 여성향 애니메이션들은 [[블루레이]] 열풍이 불자 블루레이 이식판이 나왔는데 토가이누 애니판은 DVD가 나온지 한참 오래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블루레이판이 나오지 않았으며 한국 수입사 [[애니플러스]]에서도 유튜브 공식 채널에 무료로 공개했지만 조회수와 덧글 조차 없었다.
하지만 이 DVD 박스도 평가와 판매량이 좋지 못했는데 작화 수정은 클로즈업 샷만 수정했을 뿐 지적을 받은 동화와 몇몇 심각한 작화 붕괴는 수정되지도 않았으며 동봉된 책자는 중첩처리를 제대로 못해 낱장이 떨어지지 않나 스토리 보강 또한 없었다. 웬만한 여성향 애니메이션들은 [[블루레이]] 열풍이 불자 블루레이 이식판이 나왔는데 토가이누 애니판은 DVD가 나온지 한참 오래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블루레이판이 나오지 않았으며 한국 수입사 [[애니플러스]]에서도 유튜브 공식 채널에 무료로 공개했지만 조회수와 덧글 조차 없었다. 즉 완전히 흑역사로 자리매김했다.


== 트리비아 ==
== 트리비아 ==

2017년 12월 1일 (금) 13:32 판

틀:애니메이션 니트로플러스 키랄BL 게임 토가이누의 피의 애니메이션판으로 니트로플러스 키랄 10주년 기념으로 제작되었다. PS2판이 아닌 PC판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PS2판 추가 캐릭터(유키히토, 토우야)는 등장하지 않지만 TV 애니메이션 특성상 PC판에 있던 성적 묘사들은 등장하지 않으며 니트로플러스도 3D 건으로 제작에 관여를 했다.

상세

주제가

에피소드 목록

논란 및 문제점

토가이누의 피 미디어 믹스 및 A-1 pictures, 2010년 4분기 방영 애니메이션 사상 최악의 흑역사
BL 게임 원작 및 여성향 애니메이션의 오점

안그래도 에로게 원작과 BL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은 인식문제와 예산문제로 퀄리티가 떨어지는 애니메이션들이 많았는데 토가이누의 피도 니트로플러스의 징크스와 BL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의 징크스를 그대로 계승해 원작 게임의 명성에 금이 갈 정도로 심각한 저퀄리티를 자랑했다. 또한 단순히 작화만 안좋은 것이 아니라 원작을 제대로 이해못해 스토리와 캐릭터를 원작파괴 수준으로 개악을 해 원성을 듣게 되었다. 오죽하면 제작진을 저주하는걸 넘어서서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없다면서 현실도피하는 팬들이 있었을 정도이다.

작화 붕괴

단순히 그림이 틀어지는 것만 아니라 캐릭터가 말하는데 입이 안움직이거나 색이 제대로 안칠해져있는건 일상이고 색감이 매우 지저분하다. 원작 게임도 분위기가 어두웠다보니 무채색, 채도 낮은 색을 중심으로 썼으나 시간대가 낮이거나 밝은 부분에서는 채도를 올리거나 밝은 색을 중심으로 썼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은 시간대가 낮이거나 조명이 들어간 내부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빛을 생각안하고 시종일관 채도 낮은 색만 쓰고 있으며 피또한 상황을 안보고 무조건 붉은 색으로만 처리했으면서 질감 묘사를 제대로 안해 페인트를 묻힌 느낌으로 작화, 시각 연출의 질이 매우 나쁘다. 그리고 분명히 원작도 애니메이션도 여성향 BL인데 특성상 비중이 낮을 수 밖에 없는 여성 캐릭터(에마, 유카리)들은 작붕이 하나도 없었다.

스토리 논란

스토리는 다른 텍스트 어드벤처 연애 게임들의 애니판이 그러듯 토가이누도 각 캐릭터의 루트의 핵심만 따와 섞어 전개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문제는 특정 이벤트의 장면와 대사들만 따왔지 해당 캐릭터들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어떤 심리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부가설명은 하나도 없었으며 11화에서는 갑자기 원작 캐릭터들의 엔딩 일부를 그대로 가져와 아키라의 망상으로 떼워버렸다. 그리고 막판부터 오리지널 전개로 갔는데 PS2판의 시키와 라인 중독된 케이스케가 대결하는 이벤트와 아키라와 시키가 대결하는 이벤트(PS2 시키 루트 살인사랑 엔딩)을 어설프게 짜집기했다. 오히려 B's LOG 코믹스판이 재해석, 원작 보강도가 좋은 편이다.

장르에 대한 몰이해

감독 콘노 나오유키는 BL 요소를 대폭 줄이고 액션신을 늘릴 것이라고 발표해 키랄 팬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었다. 공중파에서 방영되는거다보니 나쁜 선택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측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오리지널리티를 훼손시켰다, 원작이 BL인데 뭔 소리냐라는 비판이 많았는데 그도 그럴 수 밖에 없는건 토가이누의 피는 하드보일드한 작풍과 무법지대 약육강식 세계관을 떠나 염연한 BL 작품이고 주 내용도 주인공 아키라가 특정 공략 캐릭터와 감정교류를 하면서 "피"를 통해 자신에 대한 진실을 알고 사랑하는 이와 같이 극복을 해 성장해나간다는 이야기가 중심이기 때문이다. 설령 공중파 방송 심의 문제가 있었다해도 다른 성인용 BL물 원작 애니메이션이 BL 요소들을 대거 잘라냈는가? 성애 묘사만 편집했지 연애 묘사 자체는 자르지 않았으며 무리수 편집으로 악평을 들었던 PS2판도 키스신과 브로맨스 수준의 연애 묘사로 대체했다.

결국 토가이누의 피의 스토리, 장르 붕괴 논란은 감독이 작품의 세계관과 설정만 보고 자기가 생각한 작품으로 만들려고 했을 뿐 원작과 BL 팬덤, 애니메이션을 통한 원작 홍보를 생각하지도,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그리고 감독의 호언장담과 다르게 액션신조차 그림 나열 수준으로 퀄리티가 낮았고 BL 요소가 많이 희석된 만큼 아키라와 주변 캐릭터들의 관계또한 흐뜨러져서 둘다 기대치를 충족못시켰다.

DVD판

원래 다른 애니메이션 DVD처럼 단권 발매를 하려고 했으나 상기한 문제점이 너무 큰 나머지 DVD 예약률이 한없이 낮아 단권 DVD 발매는 취소되었고 종영 뒤 작화들을 대거 수정 및 특전들을 넣은 DVD 박스를 발매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커버 일러스트는 타타나 카나가 아닌 야마다 우이로우가 그렸다.

하지만 이 DVD 박스도 평가와 판매량이 좋지 못했는데 작화 수정은 클로즈업 샷만 수정했을 뿐 지적을 받은 동화와 몇몇 심각한 작화 붕괴는 수정되지도 않았으며 동봉된 책자는 중첩처리를 제대로 못해 낱장이 떨어지지 않나 스토리 보강 또한 없었다. 웬만한 여성향 애니메이션들은 블루레이 열풍이 불자 블루레이 이식판이 나왔는데 토가이누 애니판은 DVD가 나온지 한참 오래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블루레이판이 나오지 않았으며 한국 수입사 애니플러스에서도 유튜브 공식 채널에 무료로 공개했지만 조회수와 덧글 조차 없었다. 즉 완전히 흑역사로 자리매김했다.

트리비아

  • 토가이누의 피 애니판이 종영된 뒤 후속 애니메이션으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가 방영되었다. 둘다 같은 니트로플러스 계통 작품인데도 불구하고 마마마는 대히트를 쳤고 토가이누 애니판은 흑역사로 묻히게 되었다.
  • 각본가 타카하시 나츠코는 후일 캡콤의 대표 게임 프랜차이즈 전국 바사라 시리즈의 애니판 전국 바사라 Judge End의 시리즈 구성을 담당했는데 해당 애니메이션도 도를 넘은 원작파괴와 캐릭터 붕괴로 악명을 떨쳐 전국 바사라 시리즈를 오와콘으로 만들었다.
  • 감독 콘노 나오유키는 토가이누의 피 이후 이렇다할 감독작없이 연출만 맡다가 2017년에 센토루의 고민의 애니메이션판 감독을 맡게 되었다.
  • 방영내내 팬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르다가 종영된 후 원작 게임과 비교하고 단점을 지적하는 위키가 개설되었다. 애니메이션 토가이누의 피 마토메 사이트

각주

  1. 실제로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만 보고 평범한 액션물인줄 알았다가 원작이 BL물이라는 것을 알고 충격먹은 남성 시청자와 BL을 안좋아하는 여성 시청자도 있었고 유입은 커녕 중도하차하는 역효과만 낳았다. 이렇듯 원작이 있는 애니메이션판은 장르와 주 소비층을 파악하고 만들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