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대중교통을(를) 삭제함)
8번째 줄: 8번째 줄:
수도권과 부산권의 사용을 기반으로 전국에 빠른 속도로 교통카드가 보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지역간 교통카드 시스템의 호환이 거의 정착되어 교통카드 한장으로 거의 모든 지역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수도권과 부산권의 사용을 기반으로 전국에 빠른 속도로 교통카드가 보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지역간 교통카드 시스템의 호환이 거의 정착되어 교통카드 한장으로 거의 모든 지역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주요 교통카드 ==
== 종류 ==
=== 선불 교통카드 ===
카드에 돈을 미리 충전해두고, 충전 잔액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전자화폐 방식이다.
* [[T-money]]
* [[T-money]]
* [[Cashbee]]
* [[Cashbee]]
* [[Onepass]]
* [[Onepass]]
=== 후불 교통카드 ===
[[신용카드]], [[체크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총액을 결제일에 결산하는 방식이다.
* 신용카드/체크카드 : 대부분 만 20세 이상부터 발급가능하다. 원래 신용한도가 주어지지 않는 [[체크카드]]도 소액 한도를 부여한다. 후불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되는 카드가 구분되어 있다. 사용 금액은 결제일{{ㅈ|통상 월 1회, [[KB국민카드]] 체크카드 월 2회}}에 몰아서 결제한다.
=== 모바일 교통카드 ===
[[티머니]]나 [[캐시비]] 기능이 탑재된 [[USIM]]을 삽입한 [[NFC]]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선불 교통카드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관리사에서 제공하는 어플을 설치하면 후불 교통카드로 전환하거나 자동 충전 등의 편의 기능을 쓸 수 있다.
{{각주}}
{{각주}}

2016년 11월 17일 (목) 12:28 판

개요

대중교통의 운임 지불 수단 중 하나.

역사

토큰회수권을 넘어 교통카드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96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였다. 당시 등장했던 버스카드는 선불식으로 버스에서만 사용가능했고, 지하철에서는 1997년 국민카드의 후불 패스카드가 도입되어 2000년이 될 때까지 2개 시스템이 따로 놀았다. 그 사이에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부산 지하철에서 최초의 통합형 교통카드인 하나로카드를 도입했다.

수도권과 부산권의 사용을 기반으로 전국에 빠른 속도로 교통카드가 보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지역간 교통카드 시스템의 호환이 거의 정착되어 교통카드 한장으로 거의 모든 지역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종류

선불 교통카드

카드에 돈을 미리 충전해두고, 충전 잔액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전자화폐 방식이다.

후불 교통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총액을 결제일에 결산하는 방식이다.

  • 신용카드/체크카드 : 대부분 만 20세 이상부터 발급가능하다. 원래 신용한도가 주어지지 않는 체크카드도 소액 한도를 부여한다. 후불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되는 카드가 구분되어 있다. 사용 금액은 결제일[1]에 몰아서 결제한다.

모바일 교통카드

티머니캐시비 기능이 탑재된 USIM을 삽입한 NFC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선불 교통카드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관리사에서 제공하는 어플을 설치하면 후불 교통카드로 전환하거나 자동 충전 등의 편의 기능을 쓸 수 있다.

각주

  1. 통상 월 1회, KB국민카드 체크카드 월 2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