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중구 \(([^)]*)\) +[[\1 중구))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명동역 (안동)||[[경북선]]의 폐역}}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역이름  = 명동(정화예술대)
|이름    = 명동(정화예술대)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울 중구|중구]] [[퇴계로 (서울)|퇴계로]] 지하126
|주소    = [[서울특별시]] [[서울 중구|중구]] [[퇴계로 (서울)|퇴계로]] 지하126
|번호    = {{역번호/한국|424|수도권|4}}
|번호    = {{역번호/한국|424|수도권|4}}
27번째 줄: 27번째 줄:


낮에는 별도의 환승역이 아니어서인지 보다 한산한 편이나, 명동이라는 곳이 그렇듯(...), 밤이나, [[불금]], 주말에는 사람들이 와글와글하다. 특히 일본인 쇼핑객들이 특히 많은 곳이다. 여담이지만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주로 명동에 많이 살았다고 한다(...)  [[2010년]]대 들어서는 일본인 뿐만 아니라 [[중국인]], [[대만인]]을 비롯한 아시아 관광객들이 특히 많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늘어났는데, 이 주변에 [[중국]] [[대사관]]이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낮에는 별도의 환승역이 아니어서인지 보다 한산한 편이나, 명동이라는 곳이 그렇듯(...), 밤이나, [[불금]], 주말에는 사람들이 와글와글하다. 특히 일본인 쇼핑객들이 특히 많은 곳이다. 여담이지만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주로 명동에 많이 살았다고 한다(...)  [[2010년]]대 들어서는 일본인 뿐만 아니라 [[중국인]], [[대만인]]을 비롯한 아시아 관광객들이 특히 많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늘어났는데, 이 주변에 [[중국]] [[대사관]]이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 역사 ==
* 1983년 9월 13일: 역명을 '''명동'''으로 결정<ref>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f>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한성대입구역|삼선교]]~[[사당역|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2012년]] 역 전체적으로 {{ㅊ|우리 지하철 하얗게 하얗게}} [[리모델링]] 공사를 단행했다.


== 시설 ==
== 시설 ==
40번째 줄: 46번째 줄:
}}
}}
}}
}}
== 역사 ==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이 개통하면서 개업한 역이다.
[[2012년]] 역 전체적으로 {{ㅊ|우리 지하철 하얗게 하얗게}} [[리모델링]] 공사를 단행했다.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59번째 줄: 60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4호선]]
[[분류:서울 중구의 철도역]]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2024년 1월 18일 (목) 00:56 기준 최신판

명동(정화예술대)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지하126
번호  424 
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18.1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85년 10월 18일
승강장 1면 2선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가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명의 주소는 충무로2가지만, 근처에 명동이 위치해있다.

낮에는 별도의 환승역이 아니어서인지 보다 한산한 편이나, 명동이라는 곳이 그렇듯(...), 밤이나, 불금, 주말에는 사람들이 와글와글하다. 특히 일본인 쇼핑객들이 특히 많은 곳이다. 여담이지만 일제강점기일본인들이 주로 명동에 많이 살았다고 한다(...) 2010년대 들어서는 일본인 뿐만 아니라 중국인, 대만인을 비롯한 아시아 관광객들이 특히 많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늘어났는데, 이 주변에 중국 대사관이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83년 9월 13일: 역명을 명동으로 결정[1]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삼선교~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2012년 역 전체적으로 우리 지하철 하얗게 하얗게 리모델링 공사를 단행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역 주변에는 명동거리, 명동성당, 숭의여자대학교, 정화예술대학교, 가톨릭평화방송 등이 있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4호선
당고개 방면
 423  충무로
 424  명동 오이도 방면
 425  회현

각주

  1.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