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문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노선번호=\{\{경유 노선/번호\|경원선(.*)\|노선명=(.*)\|노선거리 +|노선명=305 \2|노선거리))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신이문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KORAIL
|역명    = 신이문역
|부역명  = 한국예술종합학교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121|수도권|1}}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개업일  = {{날짜/출력|1980-1-5}}
|번호    = {{역번호/한국|121|수도권|1}}
|폐지일  =
|노선    = [[경원선]] <small>15.7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br />수도권동부지역관리단 [[광운대역|광운대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 [[1980년]] [[1월 5일]]
|폐지일  =
|코드    =
|승강장  = 2면 2선
|승강장  = 2면 2선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경원선]] <small>15.7 km</small>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新里門驛 / Sinimun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한 전철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한 전철역.


28번째 줄: 30번째 줄:
이후 [[2007년]] [[4월 13일]] 기존 북부역사와 더불어 남부역사를 새로 신축했다.
이후 [[2007년]] [[4월 13일]] 기존 북부역사와 더불어 남부역사를 새로 신축했다.


== 역 구조 ==
== 시설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오른쪽 승강장=2번 승강장|승강장 정보='''1호선''' [[서울역|서울역]] · [[인천역|인천]] · [[서동탄역|서동탄]]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1호선''' [[서울역|서울역]] · [[인천역|인천]] · [[서동탄역|서동탄]]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원선]] [[외대앞역|외대앞]]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원선]] [[외대앞역|외대앞]] →
38번째 줄: 40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원선]] [[석계역|석계]]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원선]] [[석계역|석계]]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왼쪽 승강장=1번 승강장|승강장 정보='''1호선''' [[광운대역|광운대]] · [[의정부역|의정부]] · [[소요산역|소요산]]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1호선''' [[광운대역|광운대]] · [[의정부역|의정부]] · [[소요산역|소요산]] 방면  
}}
}}
}}
}}
50번째 줄: 52번째 줄: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5 [[경원선]]|노선거리=15.7 km
|노선명=305 [[경원선]]|노선거리=15.7 km
58번째 줄: 60번째 줄: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수도권 전철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69번째 줄: 71번째 줄:


[[분류:경원선]]
[[분류:경원선]]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서울 동대문구의 철도역]]
 
[[분류:광운대관리역]]
{{리브레 맵스 마커|37.601656187803115|127.06727027893066|14|신이문역}}

2023년 10월 31일 (화) 00:13 기준 최신판

신이문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번호  121 
노선 경원선 15.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1980년 1월 5일
승강장 2면 2선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에 위치한 전철역.

이문동에 있으니 이문역이 되어야 하겠으나, 개업 당시만 하더라도 망우선이문역이 있었기 때문에 앞에 (新)을 붙여 신이문역으로 확정되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이 개통될 당시에는 없었던 역이나, 1980년 1월 5일 새로 개업한 전철역이다.

이후 2007년 4월 13일 기존 북부역사와 더불어 남부역사를 새로 신축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인근에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있다. 이는 부역명이기도 하다. 다만 그쪽 방향으로 내려서 가는 길은 야간에 인적이 드물고 치안이 좋지 않은 편이다.

역 주변에 1초 역세권이 존재한다(...) 다만 지하철역(남태령역 같은 케이스)과는 달리 지상 전철역이다 보니 집값은 오히려 떨어진다고. 아무래도 역 주변에 석계동 방향으로 가는 고가도로가 있는 영향이 큰 듯.

역 규모나 지명도에 비해서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주변에 아파트들이 있기도 하고, 중랑구 신내동에 살면서 시내로 통학이나 출퇴근하는 사람들도 신이문역에서 내려서 서울 버스 1122 또는 서울 버스 2235를 타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아는 사람만 알지만, 그 아는 사람들은 매일 거쳐야 하는 지하철 역인 셈이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용산 방면
외대앞 0.8 km
신이문 백마고지 방면
석계 1.4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소요산 방면
 120  석계
 121  신이문 인천 · 신창 방면
 122  외대앞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