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조건 제한 도달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1964년 출생 삭제함)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36번째 줄: 336번째 줄:
== 여담 ==  
== 여담 ==  
{{빈 문단}}
{{빈 문단}}
== 수상 및 후보 ==
== 수상 ==
{| class="wikitable sortable"
* 1993년 [[MBC 연기대상]] 신인상
|-
* 1997년 35회 [[대종상]] 영화제 남우 주연상
! 연도
* 1997년 18회 [[청룡영화상]] 남우 주연상
! 시상식
* 2000년 37회 대종상 영화제 인기상
! 부문
* 2011년 [[SBS 연기대상]] 대상
! 작품
! 결과
|-
| 1984 || [[MBC 강변가요제]] || 장려상 || ''길 잃은 친구에게'' || {{won}}
|-
| 1993 || rowspan="2"| [[MBC 연기대상]] || 남자 신인상 || ''[[파일럿 (드라마)|파일럿]]'', ''[[아들과 딸]]'' || {{won}}
|-
| rowspan="2" | 1994 || 남자 최우수연기상 || rowspan="2" | ''[[서울의 달]]'' || {{won}}
|-
|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 탤런트부문 우수상 || {{won}}
|-
| rowspan="2" | 1995 || 제6회 [[춘사대상영화제]] || 신인남우상 || rowspan="5" | ''[[닥터 봉]]'' || {{won}}
|-
| 제16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 {{nom}}
|-
| rowspan="5" | 1996 || 제1회 [[씨네21 영화상]] || 신인배우상 || {{won}}
|-
| 제32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won}}
|-
| rowspan="2" | 제34회 [[대종상]] || 신인남우상 || {{nom}}
|-
| rowspan="2"| 남우주연상 || rowspan="2" | ''[[은행나무 침대]]'' || {{nom}}
|-
| 제17회 [[청룡영화상]] || {{nom}}
|-
| rowspan="7" | 1997 || rowspan="2" | 제18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초록물고기]]'', ''[[접속 (영화)|접속]]'', ''[[넘버 3]]'' || {{won}}
|-
| 남우주연상 || [[초록물고기]] || {{won}}
|-
| rowspan="2" | 제35회 [[대종상]] || 남자인기상 || ''[[초록물고기]]'', ''[[접속 (영화)|접속]]'', ''[[넘버 3]]'' || {{won}}
|-
| 남우주연상 || rowspan="4" | ''[[초록물고기]]' || {{won}}
|-
| 제1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남우주연상 || {{won}}
|-
| 제20회 [[황금촬영상]] || 최우수 인기남우상 ||  {{won}}
|-
| 제33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won}}
|-
| rowspan="5" | 1998 || 제1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 올해의 남자연기자상 || rowspan="5" | ''[[8월의 크리스마스 (1998년 영화)|8월의 크리스마스]]'' || {{won}}
|-
| 제3회 [[여성관객영화상]] || 최고의 남자배우상 || {{won}}
|-
| [[씨네21 영화상]] || 올해의 남자배우 || {{won}}
|-
| rowspan="2" | 제19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won}}
|-
| 남우주연상 || {{nom}}
|-
| rowspan="6" | 1999 || 제7회 한국최고인기연예대상 || 영화배우부문 남자연기상 || rowspan="2" | ''[[쉬리 (영화)|쉬리]]'', ''[[텔 미 썸딩]]'' || {{won}}
|-
| rowspan="2" | 제20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won}}
|-
| 남우주연상 || ''[[텔 미 썸딩]]'' || {{nom}}
|-
| rowspan="2" | 제36회 [[대종상]] || 남자인기상 || ''[[8월의 크리스마스 (1998년 영화)|8월의 크리스마스]]'', ''[[쉬리 (영화)|쉬리]]'' || {{won}}
|-
| 남우주연상 || ''[[8월의 크리스마스 (1998년 영화)|8월의 크리스마스]]'' || {{nom}}
|-
| 제35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쉬리 (영화)|쉬리]]'' || {{nom}}
|-
| 2000 || 제37회 [[대종상]] || 남자인기상 || [[텔 미 썸딩]] || {{won}}
|-
| 2004 || 제25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 ''[[주홍글씨 (2004년 영화)|주홍글씨]]'' || {{nom}}
|-
| 2005 || 제41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그때 그사람들]]'' || {{nom}}
|-
| 2006 ||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rowspan="2"| 남우주연상 || ''[[음란서생]]'' || {{nom}}
|- 
| 2008 || 제17회 [[부일영화상]]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영화)|눈에는 눈 이에는 이]]'' || {{nom}}
|-
| rowspan="3" | 2011 || rowspan="3" | [[SBS 연기대상]] || 대상 || rowspan="6" |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won}}
|-
| 드라마스페셜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nom}}
|-
| 10대 스타상 || {{won}}
|-
| rowspan="4" | 2012 || 제48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nom}}
|-
| 제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 연기대상 || {{nom}}
|-
| 제1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에이판 스타 어워즈]] || 남자 최우수연기상 || {{nom}}
|-
| 제3회 대한민국대중문화예술상 || 대통령 표창 || {{빈칸}} || {{won}}
|-
| 2014 || [[SBS 연기대상]] ||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비밀의 문]]'' ||{{nom}}
|-
| rowspan="3" | 2016 || rowspan="3" | [[SBS 연기대상]] || 대상 || rowspan="5" | ''[[낭만닥터 김사부]]'' || {{won}}
|-
| 장르&판타지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nom}}
|-
| 10대 스타상 || {{won}}
|-
| rowspan="3" | 2017 || 제53회 [[백상예술대상]]<ref>{{웹 인용 |url=http://isplus.live.joins.com/100sang/Candidate/c_sub1.aspx?tp=1&nr=53&pidx=1808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7-11-1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729132201/http://isplus.live.joins.com/100sang/Candidate/c_sub1.aspx?tp=1&nr=53&pidx=1808 |보존날짜=2017-07-29 |url-status=dead }}</ref> ||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nom}}
|-
| 제10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연기대상 || {{nom}}
|-
| 제54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프리즌]]'' || {{nom}}
|-
| rowspan="4" | 2019 || 제23회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 || 남우주연상 {{small|([[설경구]]와 공동수상)}} || rowspan="4" | ''[[우상 (영화)|우상]]'' || {{won}}
|-
| rowspan="2" | 제28회 [[부일영화상]] || 남우주연상 || {{nom}}
|-
| 남자 인기스타상 || {{nom}}
|-
| 제19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 올해의 남자연기자상 || {{nom}}
|-
| rowspan="6"| 2020 || 제56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rowspan="4"|''[[천문: 하늘에 묻는다]]'' || {{nom}}
|-
| 제56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nom}}
|-
| 제25회 [[춘사영화제]] ||rowspan="2"| 남우주연상 || {{nom}}
|-
| 제29회 [[부일영화상]] || {{nom}}
|-
| rowspan="2"|[[SBS 연기대상]] || 대상 || rowspan="2"|''[[낭만닥터 김사부 2]]'' || {{nom}}
|-
| 장르‧액션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nom}}
|-
| 2023 || 제21회 [[디렉터스 컷 시상식]] || 시리즈부문 올해의 남자배우상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 {{nom}}
|-
|}
{{각주}}
{{각주}}
{{청룡영화상 남우주연}}
{{청룡영화상 남우주연}}
{{퍼온문서|한석규}}
{{퍼온문서|한석규}}
[[분류:전직 성우]][[분류:대한민국의 배우]]
[[분류:전직 성우]][[분류:대한민국의 배우]]
[[분류:성북구 출신]][[분류:1964년 출생]]
[[분류:성북구 출신]]
[[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1990년 데뷔]]
[[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1990년 데뷔]]
[[분류:1991년 데뷔]][[분류:청주 한씨]]
[[분류:1991년 데뷔]][[분류:청주 한씨]]
[[분류:서울 용문고등학교 동문]][[분류:무신론자]]
[[분류:서울 용문고등학교 동문]][[분류:무신론자]]

2023년 8월 25일 (금) 03:33 기준 최신판

한석규
韓石圭, Han Suk-kyu
인물 정보
출생 1964년 11월 3일 (59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국적 대한민국
학력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 (학사)
직업 배우
종교 무종교
신체 178cm, 64kg, 270mm, AB형
배우자 임명주
활동기간 1990년 ~ 현재
소속사 클로버컴퍼니

한석규(1964년 1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배우 활동[편집 | 원본 편집]

한석규는 1990년 KBS 성우극회 제22기로 입사하여 성우로 활동하다가 이듬해인 1991년 MBC 탤런트 공채 제20기로 재입사, 1993년 《아들과 딸》을 통해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되고, 1994년 《서울의 달》의 출연을 통해 스타덤에 오르게 된다. 이후 활동 무대를 스크린으로 옮겨 충무로에서도 흥행 배우로 거듭나게 된다. 그 때부터 TV보다는 영화에 전념했다. 데뷔작인 《닥터봉》부터 《쉬리》까지의 연속적인 흥행 성공으로 1990년대 중·후반 대한민국 영화계의 부흥기를 이끌었지만 1999년 《텔 미 썸딩》이후 긴 휴식기에 들어간다. 3년 간의 공백을 깨고 고소영과 출연한 《이중간첩》의 흥행 성적이 기대에 못 미치면서 흥행 배우로서의 경력에 균열이 일기 시작했으며 2006년 이범수, 김민정과 같이 공연한 《음란서생》을 제외한 다른 영화들이 매우 저조한 흥행 실적을 기록하였다. 이후 2011년 10월 SBS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로 16년 만에 브라운관으로 복귀, 재기에 성공하며 데뷔 후 첫 연기대상을 수상했다. 3년 뒤인 2014년 9월 동사 드라마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에서 영조 임금 역할로 출연했으나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하였고, 2016년 11월 동사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를 통해 두번째 연기대상을 수상했다. 2017년 영화 《프리즌》에서 교도소의 절대 제왕 익호 역으로 데뷔 27년 만에 첫 악역을 연기했다.[1]

결혼[편집 | 원본 편집]

KBS 성우극회 시절부터 사귀게 된 KBS 21기 성우 임명주와 1998년에 결혼하여 2남 2녀를 두고 있다.

학력[편집 | 원본 편집]

출연 작품[편집 | 원본 편집]

드라마[편집 | 원본 편집]

영화[편집 | 원본 편집]

연도 제목 관객
1997 초록물고기 20만명
1997 넘버 3 29만명
1999 쉬리 582만명
2005 그때 그 사람들 108만명
2006 음란서생 257만명
2009 백야행- 하얀 어둠 속을 걷다 140만명
2013 파파로티 170만명
2013 베를린 710만명
2017 프리즌 293만명

광고(CF)[편집 | 원본 편집]

연도 광고명
1985년
1985년~1987년
  • 허쉬 초코릿
1985년~1988년
1988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1999년~2006년
2000년
2001년~2002년
2002년
  • 유진테크 - 비비에스케어 (마시지기)
  • 상무랜드피아 (오피스텔)
  • 윤선생영어교실 (with 박상원)
2004년
  • 한국도시개발 샤르망 (아파트)
2006년
2009년
2009년~2010년
2010년
2011년
2012년~2014년
  • 두리화장품 - 댕기머리 (한방샴푸)
2014년~2017년
  • 자이글 (웰빙가전)
2014년~
  • A.H.C 화장품
2015년
  • KFC 커넬샌더스코스, KFC 해피패밀리버켓 (치킨)
  • 유니세프 : 아름다운 여행의 마무리 편
2016년
  • 농협 목우촌 햄 (식품)
2017년
  • 윈체 (창호 브랜드)
  • 볼보자동차코리아 - THE NEW 볼보 CROSS COUNTRY
2018년
2019년
2020년
  • 프롬바이오 - 눈건강엔 빌베리플러스+/수면건강엔 락티움플러스+
2020년~2021년
  • 윌라 - 오디오북
2021년~2023년
  • 발란 - 명품 판매 플랫폼
2021년~2022년
  • 동국 - 닥터화인 건강기능식품
  • 누이누아 - 아이테라 마스크
2022년~2023년
  • 피알앤디컴퍼니 - 헤이딜러
  • 파커스 - 알록 패치 / UVC 쉴드박스
2022년~
  • 경동나비엔 - 나비엔 콘덴싱 ON AI
  • (주)소키씨앤티 - 씨드비 물염색
  • (주)매스프레소 - 콴다과외

여담[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수상[편집 | 원본 편집]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한석규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