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국제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3번째 줄: 63번째 줄:


==개요==
==개요==
[[2000년]]까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제[[공항]]이었으나, [[인천국제공항]]이 개항된 후로는 국내선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김포공항은 [[서울]]에 위치한 내륙공항으로서 인근에 인구가 밀집한 주거지가 많기 때문에 공항 확장과 24시간 운영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가하는 국제선 수요에 대응하여 [[인천광역시]]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의 바다를 메워서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었다. 인천국제공항 개항 직후에 김포공항은 국제선을 전부 인천국제공항에 넘기고 국내선만 취항하였으나, 운항 가능 용량에 비하여 취항수가 지나치게 적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김포 국제공항의 운영 기관인 [[한국공항공사]]는 [[건설교통부]]와 협의하여 2003년에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과의 셔틀형 국제선을 취항시키면서 국제선 기능이 다시 부활했으며, 2007년에 [[중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2008년에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2011년에 중국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에 취항하였다.
==역사==
==역사==
==규모==
==규모==

2015년 7월 5일 (일) 15:26 판

김포국제공항은 서울시에 있는 공항이다.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김포국제공항 항목을 참고하였습니다. 
{{{공항이름}}}
280px-RKSS Domestic.jpg
공항 정보
코드 IATA: GMP, ICAO: RKSS
위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38 (방화동) (국제선)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112 (공항동) (국내선)
웹사이트 http://www.airport.co.kr/mbs/gimpo

개요

2000년까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제공항이었으나, 인천국제공항이 개항된 후로는 국내선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김포공항은 서울에 위치한 내륙공항으로서 인근에 인구가 밀집한 주거지가 많기 때문에 공항 확장과 24시간 운영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가하는 국제선 수요에 대응하여 인천광역시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의 바다를 메워서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었다. 인천국제공항 개항 직후에 김포공항은 국제선을 전부 인천국제공항에 넘기고 국내선만 취항하였으나, 운항 가능 용량에 비하여 취항수가 지나치게 적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김포 국제공항의 운영 기관인 한국공항공사건설교통부와 협의하여 2003년에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과의 셔틀형 국제선을 취항시키면서 국제선 기능이 다시 부활했으며, 2007년에 중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2008년에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2011년에 중국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에 취항하였다.

역사

규모

운항노선

이용객

교통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