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토 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분쟁지역의 명칭은 실효지배 중인 국가의 것을 우선으로 했던 겁니다. 다만 수정하신 의도를 일부 받아들여 명칭 병기로 수정했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현재 [[동아시아]]에 존재하는 영토분쟁은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사이의 센카쿠 열도(일본명)/댜오위다오(중국명) 분쟁, [[러시아]]와 일본 사이의 쿠릴열도(러시아명)/북방영토(일본명) 분쟁 등이 있다. 또한 일본은 [[한국]]의 영토인 [[독도]](일본 주장 '다케시마')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독도를 둘러싼 영토분쟁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ref>일본 정부의 입장은 [http://www.kr.emb-japan.go.jp/rel/r_land/focus_15_01.htm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s>고혈압 환자, 임산부, 노약자, 어린이는 클릭을 자제바람.</s></ref> 하지만 한국 정부에서는 '독도와 관련된 영토 분쟁은 존재하지 않으며, 분쟁의 여지조차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s>이거 뭐 죄다 일본이 관여되어 있다.</s>  
현재 [[동아시아]]에 존재하는 영토분쟁은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사이의 센카쿠 열도(일본명)/댜오위다오(중국명) 분쟁, [[러시아]]와 일본 사이의 쿠릴열도(러시아명)/북방영토(일본명) 분쟁 등이 있다. 또한 일본은 [[한국]]의 영토인 [[독도]](일본 주장 '다케시마')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독도를 둘러싼 영토분쟁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ref>일본 정부의 입장은 [http://www.kr.emb-japan.go.jp/rel/r_land/focus_15_01.htm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s>고혈압 환자, 임산부, 노약자, 어린이는 클릭을 자제바람.</s></ref> 하지만 한국 정부에서는 '독도와 관련된 영토 분쟁은 존재하지 않으며, 분쟁의 여지조차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s>이거 뭐 죄다 일본이 관여되어 있다.</s>  
또한 [[동남아시아]]에서는 남중국해의 스프래틀리 군도를 비롯한 오만가지 섬을 두고 중국과 동남아 각 국가들 사이에 영토분쟁이 존재한다.  
또한 [[동남아시아]]에서는 남중국해의 스프래틀리 군도(Spratly Islands)를 비롯한 오만가지 섬을 두고 중국과 동남아 각 국가들 사이에 영토분쟁이 존재한다.  


많은 영토분쟁이 [[민족주의]]나 [[제국주의]]에 의해 씨앗이 뿌려졌다. 수면 아래 있던 영토분쟁이 본격적으로 이슈화되는 것은 보통 경제적 유인(지하자원, 어장 등)에 의한 경우가 많다. 또 이렇게 이슈화된 영토분쟁은 민족주의에 의해 격화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것이 중일 간의 센카쿠/댜오위다오 분쟁.  
많은 영토분쟁이 [[민족주의]]나 [[제국주의]]에 의해 씨앗이 뿌려졌다. 수면 아래 있던 영토분쟁이 본격적으로 이슈화되는 것은 보통 경제적 유인(지하자원, 어장 등)에 의한 경우가 많다. 또 이렇게 이슈화된 영토분쟁은 민족주의에 의해 격화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것이 중일 간의 센카쿠/댜오위다오 분쟁.  

2015년 9월 24일 (목) 19:13 판

영토분쟁(領土紛爭, territorial dispute)은 영토의 관할을 두고 국가간에 다투는 것을 말한다.

국제영토분쟁

국제 영토분쟁은 한 영토를 두고 둘 이상의 국가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경우이다. 각종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토분쟁은 전쟁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쟁 중 하나이다.[1]

현재 동아시아에 존재하는 영토분쟁은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사이의 센카쿠 열도(일본명)/댜오위다오(중국명) 분쟁, 러시아와 일본 사이의 쿠릴열도(러시아명)/북방영토(일본명) 분쟁 등이 있다. 또한 일본은 한국의 영토인 독도(일본 주장 '다케시마')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독도를 둘러싼 영토분쟁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2] 하지만 한국 정부에서는 '독도와 관련된 영토 분쟁은 존재하지 않으며, 분쟁의 여지조차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거 뭐 죄다 일본이 관여되어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에서는 남중국해의 스프래틀리 군도(Spratly Islands)를 비롯한 오만가지 섬을 두고 중국과 동남아 각 국가들 사이에 영토분쟁이 존재한다.

많은 영토분쟁이 민족주의제국주의에 의해 씨앗이 뿌려졌다. 수면 아래 있던 영토분쟁이 본격적으로 이슈화되는 것은 보통 경제적 유인(지하자원, 어장 등)에 의한 경우가 많다. 또 이렇게 이슈화된 영토분쟁은 민족주의에 의해 격화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것이 중일 간의 센카쿠/댜오위다오 분쟁.

한편 영토분쟁에서 관계국 사이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을 경우는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실효지배 여부이다. 즉, 현상을 유지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 만에 하나 독도 문제가 국제사법재판소로 가게 된다면 한국 쪽에 유리한 부분이다. 물론 한국 정부는 국제사법재판소로 끌고갈 생각이 없음은 물론이고, 분쟁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럴 일은 없을 것이다.

국내영토분쟁

국내 영토분쟁은 한 국가 내의 행정구역이나 주, 자치단체, 자치정부 간에 작은 지역의 관할권을 놓고 다투는 경우를 말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새만금, 평택항등의 국내영토분쟁이 있다.

간혹 국내 영토분쟁을 겪던 지역이 서로 분리독립을 하면 국내영토분쟁이 국제영토분쟁으로 바뀌기도 한다. 우크라이나러시아간에 크림 반도와 러시아 본토 사이에 있는 섬을 놓고 다투던 분쟁, 세르비아크로아티아의 영토분쟁은 원래 국내영토분쟁이었다가 국가간의 영토분쟁이 되었다.

각주

  1. Fearson, James D. 1995. "Rationalist Explanations for War." International Organization 49, 3 (summer), pp. 379-414; Goemans, Hein. 2006. "Bounded Communities: Territoriality, Territorial Attachment, and Conflict." Territoriality and Conflict in an Era of Globalization. ed. by Kahler, Miles & Walter, Barbara F., pp. 25-61
  2. 일본 정부의 입장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고혈압 환자, 임산부, 노약자, 어린이는 클릭을 자제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