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권

패권(覇權) 또는 헤게모니(영어: hegemony)는 한 국가가 국제체계에서 압도적 힘의 우위를 보유함로써 국제정치, 국제경제 규칙과 절차를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1] 그 압도적 힘을 가진 국가를 패권국(hegemon)이라고 한다.

패권국이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는데, 이는 초점을 어느 수준에 맞추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컨대 21세기 초 기준으로 전세계적인 패권국은 미국뿐이겠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기준으로 유럽에서는 독일,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지역패권국이라고 볼 수 있다.[2]

세력균형과도 밀접하게 연관된 개념이며, '힘'을 중시하는 현실주의에서도 당연히 즐겨 쓰는 개념이다.

사례[편집 | 원본 편집]

19세기 영국과 2차 대전 이후 미국이 대표적인 패권의 사례이다. 두 경우 모두 패권전쟁에서 라이벌 국가를 상대로 전쟁에서 승리한 뒤[3] 압도적인 해군력을 바탕으로 세계 무역을 지배했다.

패권의 쇠퇴와 패권전쟁[편집 | 원본 편집]

세상에 영원한 것 하나 없다고 했던가. 마찬가지로 패권 역시 언젠가는 쇠퇴한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그 중 하나로 새로운 패권 경쟁국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패권국과 경쟁국 사이에 필연적으로 충돌이 발생하여 이것이 대규모 전쟁, 즉 패권전쟁으로 이어진다는 이론이 있다.

길핀(Robert Gilpin)은 패권전쟁이론이라는 논문에서 투키디데스의 패권전쟁이론을 탐구한다[4]. 투키디데스에 따르면 패권전쟁은 다른 흔한 전쟁과 달리 정치, 전략, 경제 모두를 아우르는 폭넓은 변화에서 기인하며, 결과적으로 국제정치체계의 구조를 위협하며 변형시킨다. 또 패권전쟁은 정반합의 변증법적 접근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정(正, thesis)은 기존의 패권국, 반(反, antithesis)은 도전국, 합(合, synthesis)은 패권전쟁의 결과로 새로이 생겨난 국제체계라고 보는 것이다.

패권전쟁이론이 역사상의 대전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긴 하지만, 한계 또한 존재한다는 것이 길핀의 지적이다. 누가 언제 패권전쟁을 일으킬 것인지는 물론이고 패권전쟁이 어떤 결과를 불러올 것인지도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편집 | 원본 편집]

  • Goldstein, J. S. (2002). 《국제관계의 이해》 도서출판 인간사랑. 김연각, 김진국, 백창재 역. ISBN 89-7418-134-7
  • Jackson, R. & Sørensen, G. (2010).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 Approaches (4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4884-2

각주

  1. Rupert, Mark. Producing Hegemony: The Politics of Mass Production and American Global Powe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Brilmayer, Lea. American Hegemony: Political Morality in a One Superpower Worl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4. Rapkin, David P., ed. World Leadership and Hegemony. Boulder, CO: Lynne Rienner, 1990. 이상을 Goldstein, J. S. (2002). 《국제관계의 이해》 도서출판 인간사랑. 김연각, 김진국, 백창재 역. p. 117에서 재인용했다.
  2. Jackson, R. & Sørensen, G. (2010).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 Approaches (4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301
  3. 영국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프랑스를, 미국은 2차 대전에서 독일과 일본을 이겼다.
  4. Robert Gilpin, "The Theory of Hegemonic War," in Robert I. Rotberg and Theodore K. Rabb(eds.), The Origin and Prevention of Major Wa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ch.2 (김태현 옮김). 여기서 참고한 번역본은 한울아카데미의 『국제관계론강의 1』(1997) pp. 270-294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