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RUS}} +{{국기|러시아}}))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마을 정보
{{마을 정보
|이름        = 부천시
| 마을이름 = 부천
|그림         = Bucheon cityhall.jpg
| 원어이름 =  
|그림1설명    = 부천시청
| 그림 =  
|면적        = 53.4
| 그림설명 =  
|인구        = 850,158
| 깃발 = Flag_of_Bucheon.svg
|인구년도    = <small>2016.10.31</small>
| 깃발설명 =  
|인구밀도    =
| 휘장 =  
|구        =  
| 휘장설명 =  
|하위 행정구역1 명칭=행정동
| 지도 = Gyeonggi-Bucheon.svg
|하위 행정구역1=36
| 지도설명 =  
|하위 행정구역2 명칭=법정동
| 표어 =  
|하위 행정구역2=24
| 노래 =  
|단체장    = [[김만수 (1964년)|김만수]]([[더불어민주당]])
| 종류 = [[시 (행정구역)|시]]
|지도자2 직함=국회의원
| 나라 = [[대한민국]]
|지도자2=부천시 갑:[[김경협]]([[더불어민주당]])<br />부천시 을:[[설훈]]([[더불어민주당]])<br />부천시 병:[[김상희 (1954년)|김상희]]([[더불어민주당]])<br />부천시 정:[[서영석]]([[더불어민주당]])
| 소속지역 = [[경기도]]
|관청명={{PAGENAME}}청
| 수도 =
|관청소재지=[[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210
| 단체장직책 = 시장
|홈페이지 = {{URL|http://www.bucheon.go.kr/}}
| 단체장 = [[조용익]]
|상징1 종류=시목
| 입법부 =  
|상징1=[[복숭아나무]]
| 국회의원 = [[김경협]] ([[더불어민주당]])<br />[[설훈]] ([[더불어민주당]])<br />[[김상희 (1954년)|김상희]] ([[더불어민주당]])<br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상징2 종류=시화
| 행정구역 = 36 행정동, 24 법정동
|상징2=[[복숭아꽃]]
| 인구 = 850,158
|시과    = [[복숭아]]
| 인구밀도 =  
|상징3 종류=시조
| 인구 연도 =
|상징3=[[보라매]]
| 면적 = 53.4
|상징동물  =
| 설립일 =  
|마스코트  =
| 해체일 =  
| 나라  = [[대한민국]]
| 시간대 =  
| 지역  = [[경기도]]
| ISO =  
|꼬리표    =
| 마스코트 =  
|꼬리표위치 =
| 상징 = [[복숭아나무]] (나무)<br />[[복숭아꽃]] (꽃)<br />[[보라매]] (새)<br />[[복숭아]] (과일)
| 웹사이트 = {{URL|http://www.bucheon.go.kr/}}
| 비고 =  
}}
}}
'''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 (행정구역)|시]]다. 동쪽과 북쪽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강서구]]가, 서쪽은 [[김포시]], [[인천광역시]] [[부평구]], 인천광역시 [[계양구]]가, 남쪽은 [[광명시]]와 [[시흥시]]에 접하고 있다.
'''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 (행정구역)|시]]다. 동쪽과 북쪽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서울 강서구|강서구]]가, 서쪽은 [[김포시]], [[인천광역시]] [[부평구]], 인천광역시 [[계양구]]가, 남쪽은 [[광명시]]와 [[시흥시]]에 접하고 있다.


== 특징 ==
== 특징 ==
39번째 줄: 41번째 줄:
부천은 예로부터 [[복숭아]]가 많이 재배되는 지역이라 예로부터 '복사골'이라는 별칭으로 불려 왔으며, 이 때문에 부천시는 [[복숭아]]나무를 시목(市木)으로 지정하였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228_0012755453&cID=10802&pID=10800 부천시 "'복숭아 마을' 옛 정취 살린다"], 뉴시스 인천, 2014.02.28</ref> 하지만 현재는 부천시 대부분 지역이 중동신도시를 비롯한 아파트촌 및 공장으로 개발되어 복숭아 밭을 찾는 게 거의 불가능해졌다.
부천은 예로부터 [[복숭아]]가 많이 재배되는 지역이라 예로부터 '복사골'이라는 별칭으로 불려 왔으며, 이 때문에 부천시는 [[복숭아]]나무를 시목(市木)으로 지정하였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228_0012755453&cID=10802&pID=10800 부천시 "'복숭아 마을' 옛 정취 살린다"], 뉴시스 인천, 2014.02.28</ref> 하지만 현재는 부천시 대부분 지역이 중동신도시를 비롯한 아파트촌 및 공장으로 개발되어 복숭아 밭을 찾는 게 거의 불가능해졌다.


시의 면적은 53.4km²이고, 약 87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2016년 기준 인구밀도가 16,270명/km²로 전국 최상위권이다. 그래서 지나친 인구밀도로 인구가 많은 반면, 도로는 그렇게 넓은 편이 아니라서 교통 혼잡 문제가 심하며, 이 때문에 [[경인선]] 및 [[서울 지하철 7호선]]의 도시철도 노선과 이 지역의 향토 버스 회사인 [[소신여객]]과 [[부천버스]] 등이 부천시 시내를 운행하거나 부천시에서 서울특별시로 가는 출퇴근 수요를 책임지고 있다. {{ㅊ|[[뿌뿌뽕]]~!}} 시청 소재지는 [[중동 (부천시)|중1동]]이다.
시의 면적은 53.4km²이고, 약 87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2016년 기준 인구밀도가 16,270명/km²로 전국 최상위권이다. 그래서 지나친 인구밀도로 인구가 많은 반면, 도로는 그렇게 넓은 편이 아니라서 교통 혼잡 문제가 심하며, 이 때문에 [[경인선]] 및 [[서울 지하철 7호선]]의 도시철도 노선과 이 지역의 향토 버스 회사인 [[소신여객]]과 [[부천버스]] 등이 부천시 시내를 운행하거나 부천시에서 서울특별시로 가는 출퇴근 수요를 책임지고 있다. 시청 소재지는 [[부천 중동|중1동]]이다.


<del>악플러가 밀집되어 있다.</del><ref>[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85983 김가연 "악플러 대부분, 부천·강릉·대구에 밀집"]</ref>
<del>악플러가 밀집되어 있다.</del><ref>[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85983 김가연 "악플러 대부분, 부천·강릉·대구에 밀집"]</ref>
51번째 줄: 53번째 줄:


[[2016년]] [[7월 4일]] 3개의 구가 모두 폐지되고 10개의 책임동(행정복지센터)으로 개편되었다.
[[2016년]] [[7월 4일]] 3개의 구가 모두 폐지되고 10개의 책임동(행정복지센터)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2024년]] [[1월 2일]]자로부터 다시 예전 체제처럼 3개의 구로 개편되었으며 기존 구청이였다가 행정복지센터로 바뀐 곳의 이름은 다시 **구청으로 하고 대신 각 동마다 있던 주민센터를 행정복지센터로 만들었다.


== 지리 ==
== 지리 ==
61번째 줄: 65번째 줄: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부천시의 행정구역은 36동 688통 4,943반로 나뉘어 있다. 면적은 경기도의 0.5%인 53.4km²이다. 개발제한구역은 16.686km²로 전체의 31.2%에 해당한다. 인구는 2016년 9월을 기준으로 330,050세대 849,475명이다. 인구의 50% 이상이 옛 원미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국회의원 선거구는 4개 (오정, 소사, 원미갑, 원미을)이다.<ref>[http://www.bucheon.go.kr/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001005003 부천시 행정구역], 2012년 4월 11일 확인</ref> 2016년 3월 말을 기준으로 행정, 인구, 면적은 각각 다음과 같다.<ref>부천시 통계연보, 2012년 4월 11일 확인</ref> 2016년 7월 4일부터 구제를 폐지하고 10개의 행정복지센터([[책임읍면동제|책임동]])로 전환운영한다.
부천시의 행정구역은 3일반구 36동 688통 4,943반로 나뉘어 있다. 면적은 경기도의 0.5%인 53.4km²이다. 개발제한구역은 16.686km²로 전체의 31.2%에 해당한다. 인구는 2016년 9월을 기준으로 330,050세대 849,475명이다. 인구의 50% 이상이 옛 원미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국회의원 선거구는 4개 (오정, 소사, 원미갑, 원미을)이다.<ref>[http://www.bucheon.go.kr/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001005003 부천시 행정구역], 2012년 4월 11일 확인</ref> 2016년 3월 말을 기준으로 행정, 인구, 면적은 각각 다음과 같다.<ref>부천시 통계연보, 2012년 4월 11일 확인</ref> 2016년 7월 4일부터 구제를 폐지하고 10개의 행정복지센터([[책임읍면동제|책임동]])로 전환운영한다. 2024년 1월 2일자로부터는 다시 예전 체제처럼 3개의 구로 개편되었다.
[[File:Bucheon-map1.png|thumb|부천시 행정구역도]]
[[파일:Bucheon-map.png|thumb|부천시 행정구역도|662x662픽셀]]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행정동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행정동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심곡동 (부천시)|심곡1동]]''' || 深谷一洞 || 0.5 || 14,638 || 6,310
|'''[[심곡동 (부천)|심곡1동]]''' || 深谷一洞 || 0.5 || 14,638 || 6,310
|-
|-
|'''[[심곡동 (부천시)|심곡2동]]''' || 深谷二洞 || 0.6 || 17,601 || 8,613
|'''[[심곡동 (부천)|심곡2동]]''' || 深谷二洞 || 0.6 || 17,601 || 8,613
|-
|-
|'''[[심곡동 (부천시)|심곡3동]]''' || 深谷三洞 || 0.4 || 15,512 || 6,467
|'''[[심곡동 (부천)|심곡3동]]''' || 深谷三洞 || 0.4 || 15,512 || 6,467
|-
|-
|'''[[원미동|원미1동]]''' || 遠美一洞 || 1.0 || 20,516 || 7,779
|'''[[원미동|원미1동]]''' || 遠美一洞 || 1.0 || 20,516 || 7,779
76번째 줄: 80번째 줄:
|'''[[원미동|원미2동]]''' || 遠美二洞 || 0.5 || 16,342 || 6,525
|'''[[원미동|원미2동]]''' || 遠美二洞 || 0.5 || 16,342 || 6,525
|-
|-
|'''[[소사동 (부천시)|소사동]]''' || 素砂洞 || 0.6 || 11,753 || 4,810
|'''[[소사동 (부천)|소사동]]''' || 素砂洞 || 0.6 || 11,753 || 4,810
|-
|-
|'''[[역곡동|역곡1동]]''' || 驛谷一洞 || 1.1 || 20,167 || 7,047
|'''[[역곡동|역곡1동]]''' || 驛谷一洞 || 1.1 || 20,167 || 7,047
88번째 줄: 92번째 줄:
|'''[[약대동]]''' || 若大洞 || 0.7 || 10,308 || 3,880
|'''[[약대동]]''' || 若大洞 || 0.7 || 10,308 || 3,880
|-
|-
|'''[[중동 (부천시)|중동]]''' || 中洞 || 0.9 || 27,561 || 10,103
|'''[[부천 중동|중동]]''' || 中洞 || 0.9 || 27,561 || 10,103
|-
|-
|'''[[중동 (부천시)|중1동]]''' || 中一洞 || 1.3 || 36,117 || 13,053
|'''[[부천 중동|중1동]]''' || 中一洞 || 1.3 || 36,117 || 13,053
|-
|-
|'''[[중동 (부천시)|중2동]]''' || 中二洞 || 1.2 || 33,120 || 10,629
|'''[[부천 중동|중2동]]''' || 中二洞 || 1.2 || 33,120 || 10,629
|-
|-
|'''[[중동 (부천시)|중3동]]''' || 中三洞 || 1 || 27,122 || 9,395
|'''[[부천 중동|중3동]]''' || 中三洞 || 1 || 27,122 || 9,395
|-
|-
|'''[[중동 (부천시)|중4동]]''' || 中四洞 || 0.3 || 23,422 || 8,452
|'''[[부천 중동|중4동]]''' || 中四洞 || 0.3 || 23,422 || 8,452
|-
|-
|'''[[상동 (부천시)|상동]]''' || 上洞 || 0.9 || 22,140 || 8,315
|'''[[상동 (부천)|상동]]''' || 上洞 || 0.9 || 22,140 || 8,315
|-
|-
|'''[[상동 (부천시)|상1동]]''' || 上一洞 || 0.7 || 27,807 || 9,753
|'''[[상동 (부천)|상1동]]''' || 上一洞 || 0.7 || 27,807 || 9,753
|-
|-
|'''[[상동 (부천시)|상2동]]''' || 上二洞 || 1.5 || 32,998 || 10,347
|'''[[상동 (부천)|상2동]]''' || 上二洞 || 1.5 || 32,998 || 10,347
|-
|-
|'''[[상동 (부천시)|상3동]]''' || 上三洞 || 1.4 || 34,396 || 10,235
|'''[[상동 (부천)|상3동]]''' || 上三洞 || 1.4 || 34,396 || 10,235
|-
|-
|'''[[심곡본동|심곡본1동]]''' || 深谷本一洞 || 0.8 || 20,147 || 9,073
|'''[[심곡본동|심곡본1동]]''' || 深谷本一洞 || 0.8 || 20,147 || 9,073
120번째 줄: 124번째 줄:
|'''[[역곡동|역곡3동]]''' || 驛谷三洞 || 1.79 || 26,273 || 10,816
|'''[[역곡동|역곡3동]]''' || 驛谷三洞 || 1.79 || 26,273 || 10,816
|-
|-
|'''[[송내동 (부천시)|송내1동]]''' || 松內一洞 || 1.1 || 24,997 || 9,097
|'''[[송내동 (부천)|송내1동]]''' || 松內一洞 || 1.1 || 24,997 || 9,097
|-
|-
|'''[[송내동 (부천시)|송내2동]]''' || 松內二洞 || 1.24 || 28,869 || 10,541
|'''[[송내동 (부천)|송내2동]]''' || 松內二洞 || 1.24 || 28,869 || 10,541
|-
|-
|'''[[성곡동 (부천시)|성곡동]]''' || 城谷洞 || 4.1 || 44,651 || 15,956
|'''[[성곡동 (부천)|성곡동]]''' || 城谷洞 || 4.1 || 44,651 || 15,956
|-
|-
|'''[[원종동|원종1동]]''' || 遠宗一洞 || 1.6 || 26,654 || 9,631
|'''[[원종동|원종1동]]''' || 遠宗一洞 || 1.6 || 26,654 || 9,631
134번째 줄: 138번째 줄:
|'''[[고강동|고강1동]]''' || 古康一洞 || 1.8 || 17,492 || 6,593
|'''[[고강동|고강1동]]''' || 古康一洞 || 1.8 || 17,492 || 6,593
|-
|-
|'''[[오정동 (부천시)|오정동]]''' || 梧亭洞 || 6.9 || 23,663 || 8,290
|'''[[오정동 (부천)|오정동]]''' || 梧亭洞 || 6.9 || 23,663 || 8,290
|-
|-
|'''[[신흥동 (부천시)|신흥동]]''' || 新興洞 || 3.1 || 23,497 || 8,972
|'''[[신흥동 (부천)|신흥동]]''' || 新興洞 || 3.1 || 23,497 || 8,972
|-
|-
!colspan="2"|'''합계'''
!colspan="2"|'''합계'''
|53.4 || 884,056 || 322,330
!53.4 !! 884,056 !! 322,330
|-
|-
|}
|}
== 교육 ==
== 교육 ==
{{대한민국 교육기관|지역=경기도
{{대한민국 교육기관|지역=경기도
260번째 줄: 265번째 줄:
* [[상동초등학교]]
* [[상동초등학교]]
* [[상미초등학교]]
* [[상미초등학교]]
* [[상원초등학교 (부천시)|상원초등학교]]
* [[상원초등학교 (부천)|상원초등학교]]
* [[상인초등학교]]
* [[상인초등학교]]
* [[상일초등학교]]
* [[상일초등학교]]
295번째 줄: 300번째 줄:
====버스====
====버스====
* 시외 및 고속버스
* 시외 및 고속버스
* 시내버스
* [[부천시 시내버스]]
{{참고|부천시의 시내버스}}
 
===철도===
===철도===
*[[경인선]]이 부천시의 한가운데를 동서로 관통한다. 물론 일반열차가 아닌 수도권 광역전철이 돌아다닌다. 아래는 역 목록(굵은 글씨는 급행정차역)이다.
*[[경인선]]이 부천시의 한가운데를 동서로 관통한다. 물론 일반열차가 아닌 수도권 광역전철이 돌아다닌다. 아래는 역 목록(굵은 글씨는 급행정차역)이다.
312번째 줄: 317번째 줄:
**[[상동역 (부천)|상동역]]
**[[상동역 (부천)|상동역]]
*[[서해선]]
*[[서해선]]
**[[원종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소사역]], [[소새울역]]
== 경제 ==
== 경제 ==
=== 상업 ===
=== 상업 ===
345번째 줄: 352번째 줄:
== 자매 도시 ==
== 자매 도시 ==
=== 대한민국 국내 ===
=== 대한민국 국내 ===
* {{KOR}} [[경기도]] [[화성시]]
* {{나라|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 {{KOR}} [[강원도]] [[강릉시]]
* {{나라|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
* {{KOR}} [[충청남도]] [[공주시]]
* {{나라|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 {{KOR}} [[충청북도]] [[옥천군]]
* {{나라|대한민국}} [[충청북도]] [[옥천군]]
* {{KOR}} [[전라남도]] [[진도군]]
* {{나라|대한민국}} [[전라남도]] [[진도군]]
* {{KOR}} [[전라북도]] [[무주군]]
* {{나라|대한민국}} [[전라북도]] [[무주군]]
* {{KOR}} [[경상북도]] [[봉화군]]
* {{나라|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군]]


=== 해외 ===
=== 해외 ===
* {{CHN}} [[하얼빈시]]
* {{나라|중국}} [[하얼빈시]]
* {{국기|러시아}} [[하바로프스크]]
* {{나라|러시아}} [[하바로프스크]]
* {{USA}} [[베이커즈필드]]
* {{나라|미국}} [[베이커즈필드]]
* {{국기|필리핀}} [[발렌수엘라]]
* {{나라|필리핀}} [[발렌수엘라]]
* {{JPN}}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 {{나라|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 우호도시 ===
=== 우호도시 ===
* {{JPN}}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 {{나라|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 {{CHN}} [[산둥성]] [[웨이하이시]]
* {{나라|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379번째 줄: 386번째 줄: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퍼온문서|부천시||일부}}
{{퍼온문서|부천시||일부}}
[[분류:경기도의 행정구역]]
[[분류:부천시| ]]
[[분류:부천시| ]]


{{리브레 맵스 마커|37.50344471963448|126.76610112190247|10|부천시}}
{{리브레 맵스 마커|37.50344471963448|126.76610112190247|10|부천시}}

2024년 3월 10일 (일) 13:00 기준 최신판

부천
Flag of Bucheon.svg
깃발
Gyeonggi-Bucheon.svg
지역 정보
종류
나라 대한민국
지역 경기도
시장 조용익
국회의원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설훈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행정구역 36 행정동, 24 법정동
인구 850,158 명
면적 53.4 km2
기타 정보
상징 복숭아나무 (나무)
복숭아꽃 (꽃)
보라매 (새)
복숭아 (과일)
웹사이트 www.bucheon.go.kr

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다. 동쪽과 북쪽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강서구가, 서쪽은 김포시, 인천광역시 부평구, 인천광역시 계양구가, 남쪽은 광명시시흥시에 접하고 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 사이의 부평평야에 위치한 위성도시로,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사이에 끼어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각종 공장들이 이 곳에 밀집하면서 도시로서의 기능을 갖추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1990년대 초반에 중동신도시 개발로 중동·상동 일대에 아파트들이 개발되면서 서울특별시 및 인천광역시의 베드타운 기능도 맡고 있다.

부천은 예로부터 복숭아가 많이 재배되는 지역이라 예로부터 '복사골'이라는 별칭으로 불려 왔으며, 이 때문에 부천시는 복숭아나무를 시목(市木)으로 지정하였다.[1] 하지만 현재는 부천시 대부분 지역이 중동신도시를 비롯한 아파트촌 및 공장으로 개발되어 복숭아 밭을 찾는 게 거의 불가능해졌다.

시의 면적은 53.4km²이고, 약 87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2016년 기준 인구밀도가 16,270명/km²로 전국 최상위권이다. 그래서 지나친 인구밀도로 인구가 많은 반면, 도로는 그렇게 넓은 편이 아니라서 교통 혼잡 문제가 심하며, 이 때문에 경인선서울 지하철 7호선의 도시철도 노선과 이 지역의 향토 버스 회사인 소신여객부천버스 등이 부천시 시내를 운행하거나 부천시에서 서울특별시로 가는 출퇴근 수요를 책임지고 있다. 시청 소재지는 중1동이다.

악플러가 밀집되어 있다.[2]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지금의 부천시 지역은 원래는 부평도호부의 일부(단, 옥길동과 계수동은 인천도호부의 일부였다)였으나 1914년에 있었던 일제 조선총독부부군면 통폐합 당시 인천부 외곽 지역 부평군이 부천군으로 통폐합되어 부천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부천이란 이름은 부평의 '부'와 인천의 '천'에서 따서 만들어졌다. 이후 1931년에 계남면이 소사면으로 개칭되었다.

1936년1940년에 부천군 일부가 인천으로 (재)편입되었고, 1941년에 소사면이 소사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63년에 소사읍 동부와 오정면 일부가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다(지금의 구로구 서부 및 강서구 오쇠동, 오곡동). 1973년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었으며, 잔여 지역은 도서지역은 옹진군에, 계양면과 오정면은 김포군에, 소래면은 시흥군에 편입되었다. 그러다가 1975년에 김포군으로 넘어갔던 오정면이 부천시로 재편입되면서 현재의 부천시 행정구역이 완성되었다. 1983년에 시흥군 소래읍 옥길리가 광명시와 부천시에 분할 편입되었고, 소래읍 계수리 일부 역시 부천시에 편입되었다.

1988년에 구제가 실시되어 북구와 남구가 설치되었고, 이들 구는 훗날에 소사구, 오정구, 원미구로 개편되었다.

2016년 7월 4일 3개의 구가 모두 폐지되고 10개의 책임동(행정복지센터)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2024년 1월 2일자로부터 다시 예전 체제처럼 3개의 구로 개편되었으며 기존 구청이였다가 행정복지센터로 바뀐 곳의 이름은 다시 **구청으로 하고 대신 각 동마다 있던 주민센터를 행정복지센터로 만들었다.

지리[편집 | 원본 편집]

지형[편집 | 원본 편집]

부천은 해발 고도 50m 미만이 시 전체의 80% 이상이고 경사도 5% 미만이 약 70%로, 대체로 낮고 완만한 지형이다.

하천[편집 | 원본 편집]

부천의 자연 하천으로는 소사동에서 발원하여 중동과 상동을 흐르는 심곡천과 여월동에서 발원하여 원종동과 오정동을 흐르는 베르네천이 있었다.

기후[편집 | 원본 편집]

부천은 냉대 동계 소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wa)에 속한다. 평균기온은 12°C이며 최한월 1월은 -2.4°C, 최난월 8월은 25.1°C이다. 강수량은 1206mm이며 2월에 가장 적은 19.9mm, 7월에 가장 많은 309.2mm를 기록한다. 2004년부터 2009년 자료에 따르면 강설일은 14~21일, 황사일은 9~13일, 서리일은 27~44일이다.[3] 지역의 대부분이 시가지인 영향으로 열섬현상이 나타나 봄철 벚꽃 개화일은 남쪽에 위치한 경기도 시흥시나 인천광역시 남동구보다 1~2주 빠른 편이다.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부천시의 행정구역은 3일반구 36동 688통 4,943반로 나뉘어 있다. 면적은 경기도의 0.5%인 53.4km²이다. 개발제한구역은 16.686km²로 전체의 31.2%에 해당한다. 인구는 2016년 9월을 기준으로 330,050세대 849,475명이다. 인구의 50% 이상이 옛 원미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국회의원 선거구는 4개 (오정, 소사, 원미갑, 원미을)이다.[4] 2016년 3월 말을 기준으로 행정, 인구, 면적은 각각 다음과 같다.[5] 2016년 7월 4일부터 구제를 폐지하고 10개의 행정복지센터(책임동)로 전환운영한다. 2024년 1월 2일자로부터는 다시 예전 체제처럼 3개의 구로 개편되었다.

부천시 행정구역도
행정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심곡1동 深谷一洞 0.5 14,638 6,310
심곡2동 深谷二洞 0.6 17,601 8,613
심곡3동 深谷三洞 0.4 15,512 6,467
원미1동 遠美一洞 1.0 20,516 7,779
원미2동 遠美二洞 0.5 16,342 6,525
소사동 素砂洞 0.6 11,753 4,810
역곡1동 驛谷一洞 1.1 20,167 7,047
역곡2동 驛谷二洞 1.1 18,723 6,907
춘의동 春衣洞 2.9 16,989 6,591
도당동 陶唐洞 2 27,264 9,909
약대동 若大洞 0.7 10,308 3,880
중동 中洞 0.9 27,561 10,103
중1동 中一洞 1.3 36,117 13,053
중2동 中二洞 1.2 33,120 10,629
중3동 中三洞 1 27,122 9,395
중4동 中四洞 0.3 23,422 8,452
상동 上洞 0.9 22,140 8,315
상1동 上一洞 0.7 27,807 9,753
상2동 上二洞 1.5 32,998 10,347
상3동 上三洞 1.4 34,396 10,235
심곡본1동 深谷本一洞 0.8 20,147 9,073
심곡본동 深谷本洞 0.95 18,968 8,357
소사본동 素砂本洞 2.02 25,833 10,744
소사본3동 素砂本三洞 1.05 34,985 12,137
범박동 範朴洞 2.92 24,137 6,951
괴안동 槐安洞 1.02 22,735 8,385
역곡3동 驛谷三洞 1.79 26,273 10,816
송내1동 松內一洞 1.1 24,997 9,097
송내2동 松內二洞 1.24 28,869 10,541
성곡동 城谷洞 4.1 44,651 15,956
원종1동 遠宗一洞 1.6 26,654 9,631
원종2동 遠宗二洞 0.8 25,130 9,314
고강본동 古康洞 1.7 35,123 13,149
고강1동 古康一洞 1.8 17,492 6,593
오정동 梧亭洞 6.9 23,663 8,290
신흥동 新興洞 3.1 23,497 8,972
합계 53.4 884,056 322,330

교육[편집 | 원본 편집]

  
  
  
  
  
  • 특수학교
  

교통[편집 | 원본 편집]

도로[편집 | 원본 편집]

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경인고속도로 구간이 부천시를 지나간다. 문제는 두 도로 구간 모두 헬게이트 구간이라는 것으로, 특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송내 IC~중동 IC 구간은 1년 중 가장 많은 시간동안 정체를 겪는 도로이다.

버스[편집 | 원본 편집]

철도[편집 | 원본 편집]

경제[편집 | 원본 편집]

상업[편집 | 원본 편집]

백화점·대형아울렛[편집 | 원본 편집]

대형마트[편집 | 원본 편집]

문화·관광[편집 | 원본 편집]

만화도시로 유명하다. 이러한 계기가 된 것은 2003년에 만화 《아기공룡 둘리》의 주인공 둘리를 명예시민으로 선정해 명예주민등록증을 발급하고 나서부터이다. 그리고 둘리 홍보를 위해 송내역 인근에 "둘리의 거리"를 조성하면서 본격적인 만화의 도시 홍보 사업을 시작하였다.[6]

그 외에도 매년마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국제만화축제(BICOF),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 등의 각종 만화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외곽 지역에는 한국만화박물관(구 부천만화박물관),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 있다. 진흥원에는 웹툰 작가를 포함한 다양한 만화가들이 입주하여 활동하고 있다.

또한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를 운영하고 있다.

스포츠[편집 | 원본 편집]

부천시를 연고로 하는 스포츠 팀으로는 남자축구에는 부천 FC 1995가, 여자농구에는 부천 KEB하나은행 여자 농구단이 있다.

인천광역시와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부천시는 인천광역시의 영향을 많이 받은 도시로, 시외 전화번호경기도의 031이 아닌 인천광역시와 동일한 032를 사용한다는 점, 검찰·사법 관할이 인천지방검찰청·인천지방법원이라는 점, 군사적으로 제17보병사단 위수지역이라는 점 등이 있다.

출신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자매 도시[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 국내[편집 | 원본 편집]

해외[편집 | 원본 편집]

우호도시[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부천시 "'복숭아 마을' 옛 정취 살린다", 뉴시스 인천, 2014.02.28
  2. 김가연 "악플러 대부분, 부천·강릉·대구에 밀집"
  3. 부천시청. 2010년 부천시 기본통계 (한국어) (PDF) 26. 2012.03.23에 확인.
  4. 부천시 행정구역, 2012년 4월 11일 확인
  5. 부천시 통계연보, 2012년 4월 11일 확인
  6. 부천시-도봉구 “둘리는 우리 주민”, 서울신문, 2011.02.18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부천시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