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공주
Korea-Gongju-Gongsanseong-01.jpg
Flag of Gongju.svg
깃발
South Chungcheong-Gongju.svg
지역 정보
종류
시장 최원철 (국민의힘)
국회의원 정진석 (국민의힘) (공주·부여·청양)
행정구역 6 행정동, 27 법정동, 1 읍, 9 면
인구 105,611 명
면적 864.29 km2
기타 정보
상징 느티나무 (나무)
개나리 (꽃)
까치 (새)
(동물)
웹사이트 공주시청

공주시(公州市, Gongju City)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이다.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서쪽으로 예산군, 청양군, 남쪽으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북쪽으로 아산시, 천안시와 접한다. 시청은 봉황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이다.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공주의 공산성송산리 고분군백제역사유적지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매년 10월 부여군와 합동으로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감영이 있었고, 1932년까지 충청남도청 소재지였다.

시의 중앙으로 금강이 흐른다. 명소로는 공산성, 무령왕릉, 계룡산 국립공원, 금강의 나루터였던 곰나루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공주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국립대학교가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치료감호소가 있는 곳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공주는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538년 백제 성왕은 수도를 사비 (현재의 부여군)으로 옮겼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라고 불렸다. 고려 태조 23년 처음으로 공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고려 성종 2년에 12이 설치되었는데 충남지역에서 유일하게 목으로 승격되었다. 고려 현종거란의 침입을 피하여 나주로 피란할 때, 곰나루를 건너 공주에 이르러 수일을 머물렀다.

조선 전기에는 충주, 청주, 홍주와 함께 충청도 4대 목 중 하나가 되었다. 임진왜란공산성에 명나라 군의 지휘부가 있었고, 임진왜란 이후에 공주의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이 공주에 이전됨으로써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624년에는 인조이괄의 난으로 일시 몽진하였다. 이괄의 군이 개성으로 진격하자 인조는 서울을 버리고 공주로 피란을 왔다.

이와 같던 공주가 중소도시로 축소된 요인으로는 수운의 쇠퇴와 경부선의 미경유, 도청 이전을 이야기할 수 있다. 조선시대 때 바닷길을 활용한 수송은 해안 지역이 중심적이었고, 육로를 활용한 수송은 대량의 물자를 수송하기에 불리했기에 내륙 지역에서는 강을 활용한 수운이 발달했다.[1] 공주 역시 금강이 통과하는 지역인지라 금강 수운이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시대 때 강을 활용한 수송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각종 다리들이 건설되면서 금강을 활용한 수송은 축소되었다. 더군다나 경부선 철도는 공주가 아닌 대전을 거치면서 호서 지역의 교통 중심지는 공주가 아닌 대전이 되어버렸고, 도청 역시 대전으로 이전하며 이는 공주 지역의 쇠퇴를 유발했다.

약력[편집 | 원본 편집]

식문화[편집 | 원본 편집]

지리[편집 | 원본 편집]

구도심은 중학동, 옥룡동, 웅진동, 금학동에 위치해있고 금강을 건너면 신도심이 신관동월성동에 위치한다. 신도심은 특이하게도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도로가 배치되어있다. 유구읍에도 작게 시가지가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산이 넓게 펼쳐져 있고 또 많아서 굴곡이 많은 지형이 특징이다. 산이 많은 지형탓에 큰 도시로 성장하기 불리하다.

서산시처럼 면적이 꽤 큰 것도 특징이다.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공주시의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 245리, 131통, 1,92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64.29㎢로써 충청남도 15개 시,군 중 가장 넓다. 인구는 2020년 5월말 기준으로 50,512세대, 105,611명이다.

읍면동 한자 세대 인구 면적
유구읍 維鳩邑 3,862 7,565 101.55
이인면 利仁面 1,709 3,363 62.95
탄천면 灘川面 1,617 2,984 64.15
계룡면 鷄龍面 3,078 5,681 84.08
반포면 反浦面 2,114 4,278 78.04
의당면 儀堂面 2,314 4,705 65.69
정안면 正安面 2,466 4,714 108.96
우성면 牛城面 2,710 5,325 79.54
사곡면 寺谷面 1,512 2,984 80.13
신풍면 新豊面 1,551 3,264 80.47
중학동 中學洞 2,512 4,731 1.46
웅진동 熊津洞 3,931 8,296 6.61
금학동 金鶴洞 2,452 5,470 29.99
옥룡동 玉龍洞 4,113 8,084 20.41
신관동 新官洞 8,919 19,614 18.77
월송동 月松洞 5,652 14,553 23.65


교육 기관[편집 | 원본 편집]

대학교[편집 | 원본 편집]

고등학교[편집 | 원본 편집]

중학교[편집 | 원본 편집]

초등학교[편집 | 원본 편집]

교통[편집 | 원본 편집]

공주는 삼남대로의 중요한 길목으로 금강을 건너는 곳이었다. 백제 시대에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와 관련된 곰나루와 이어져 있는 공산성의 공북루 옆에는 '배다리'의 자취가 남아 있다. 강바닥에 박았던 나무 말뚝들과 섶다리를 받쳐 놓았던 돌무더기들이 있다. 1933년 세워진 공주철교 이전에는 이 배다리를 통하여 삼남대로가 이어졌다. 이 배다리의 이름은 산성교로 목선 25척을 연결하여 고정시켰다. 1920년대에는 자동차까지 통행할 정도로 넓고 견고하게 보수되었다. [4] 공주와 조치원간의 승합차 운행권을 가지고 있었던 김갑순이 사비를 들여 가설하였다.

현재에도 충청남도의 교통의 중심지로서, 국도 1호, 23호, 32호, 36호, 39호, 40호, 43호 등이 공주시와 충남 각 지역을 연결한다. 또한 논산천안고속도로를 통해 북으로는 수도권, 남으로는 호남 지역과도 쉽게 소통되며, 2009년 5월 28일 개통된 당진영덕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를 통해 동서 방향의 교통이 더욱 좋아졌다. 또한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KTX 전용 역인 공주역이 운영을 개시했다.

  • 고속버스:

1. 공주 > 서울(경부): 30~40분간격 / 금호고속

2. 공주 > 광주광역시(광천터미널): 1일6회 / 금호고속

3. 공주 > 함평: 1일2회, 광주경유 / 금호고속

출신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자매 도시[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그 덕분에 서울특별시 염창동은 바닷가가 아님에도 소금 창고라는 뜻의 이름이 붙을 수 있었으며 가흥창이 있던 충주시 가흥리와 나루터가 있던 목계 등도 지금과는 달리 상당히 발전한 동네였고, 논산시 강경읍은 내륙임에도 젓갈이 유명한 동네일 수 있었다.
  2.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 관제개정에 관한 안건 (《고종실록33년 8월 4일)
  3. 한일고등학교와 함께 공주시 명문고 양대 산맥으로 자리잡고 있는 학교로 전국단위로 학생들을 받으며 고입 내신이 상당히 높다
  4. 박태순, (우리 산하를 다시 걷다) 제2부-2. 공주 금강 휘끈 지나가기 경향신문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공주시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