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루언스급 구축함

스프루언스급 구축함
Spruance Class Destroyer
USS Ingersoll DD-990.jpg
DD-990 잉거솔
선박 정보
종류 대잠 구축함
건조 31척
운영 미국
취역 1975년
퇴역 2005년
제원
속도 순항속도 20노트, 최대 35노트
무장 Mk.45 54구경 5인치 함포
초기형: 시 스패로×8, ASROC 대잠로켓×8/ 후기형: Mk.41 수직발사대 61쉘(토마호크 순항미사일, ASROC 대잠로켓), 하푼 8연장 대함미사일, RIM-116
Mk.36 경어뢰
팰렁스
항공기 시 호크
전장 172m
선폭 16.8m
흘수 8.8m
배수량 8040톤 (만재)

스프루언스급 구축함(Spruance Class Destroyer)은 미국의 대잠 구축함이다.

소련 잠수함으로부터 함대와 해상 교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건조된 함급인 스프루언스급은 대전기 구축함을 대체해 냉전기 동안 미 해군의 주력 함종으로 활약하였으며 설계는 키드급 구축함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의 모태가 되기도 했다.

함명의 유래는 미드웨이 해전의 영웅, 스프루언스 제독이다.

건조 배경[편집 | 원본 편집]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은 미 해군이 처음 건조한 대형 구축함이기도 하다.

스프루언스급 이전 미 해군의 대잠구축함은 대전기 사용하던 기어링급과 포레스트 셔먼급 구축함 등 크기도 작고 구형인 구축함을 운용하고 있었다. 미 해군은 이들 구축함에다 소나와 아스록 발사기를 다는 등의 개량을 통해 현대화된 구축함 전력을 만들려고 했지만 태생이 대전기 구축함인 기존 함정들을 현대화 하여도 발전된 소련의 신형 잠수함과 원잠을 상대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았고 2000~4000톤의 작은 선체로는 악천우 속 작전 및 대양 작전에 제약이 있었다. 더욱이 노후화된 함선들이 많았기 때문에 현대화를 한다고 쳐도 과연 그만큼의 값을 할 것인지도 장담할 수 없었기 때문에 미 해군은 신형 대잠 플렛폼을 탑재할 신형 군함을 새로 개발하게 된다.

대양에서의 작전과 항공기 운용을 위하여 스프루언스급의 대형화는 필연이였으며 그 결과 스프루언스급은 대전기 구축함의 두배에 달하는 8000톤 급의 대형함이 된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은 순양함만 보유하였던 헬기 비행갑판, 격납고를 지닌 최초의 구축함이 되었고 배수량 역시 순양함에 근접하게 되었다.

비록 수량 확보를 위한 비용 때문에 8천톤 으로 타협을 보았지만 대형화된 선체, 항공기 운용능력 등 순양함만 가지고 있던 특성들이 구축함으로 합쳐지면서 현대 미 해군 표준 수상함의 기준을 만들었다는 평가도 있다.

설계와 성능[편집 | 원본 편집]

아스록 연장발사기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은 전형적인 대잠용 구축함으로 대부분의 능력이 대잠 임무에 치중되어 있다.

그 중 스프루언스급의 대잠 기능은 함대로 접근하는 잠수함을 차단하는 걸 넘어 능동적으로 잠수함을 찾아내 제거하는 방식을 지향하는데, 이러한 성향은 소련이 과거 나치 독일의 유보트 작전에 영향을 받아 통상파괴전 같은 전술을 전시에 사용할 것이였고 여기에 맞서는 미 해군은 소련이 교통로를 차단하기 전 이들을 제거함으로 사전에 위협을 차단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이같은 능동적인 대잠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프루언스급은 고전적인 구축함과 달리 새로 개발된 통합 대잠 체계와 원거리 대잠 유도무기인 아스록 체계를 올리기 위한 플렛폼으로 개발되었다.

이 중 AN/SQQ-89 대잠 체계는 선수의 능동/수동 소나와 예인 소나, 디핑 소나.자기탐지장비와 같은 복합적인 장비가 수집한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통합해 Mk.116 전투체계가 능동적으로 무장을 운용하게 하여 이전 세대에 비해 잠수함의 탐지와 추적 능력에 중점을 두었다.

직접 적 잠수함을 타격하는 대잠무장은 Mk.32 경어뢰와 대잠로켓을 발사하는 아스록 체계가 있다.

그 중 8연장 아스록 체계는 대잠로켓을 발사하는 시스템으로 원거리에서 적 잠수함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체계다.

원거리 투사체의 특성상 잠수함이 대항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스프루언스급은 일방적으로 적 잠수함을 향해 공세를 가할 수 있었다. 초기형의 경우, 아스록 연장 발사기에서 대잠로켓을 발사했기에 특정 방위의 목표만 공격할 수 있었으나 개장 후 Mk.41 수직발사대가 신설되어 전 방위에 대한 공격능력을 획득하였다.

이 외에도 근접한 잠수함은 장착된 Mk.32 경어뢰를 발사해 대응하지만 구축함이 목표로 접근해야 해서 대잠 호위망에 구멍이 나거나 역습을 받을 위험이 있다.

USS 파이프에서 발사되는 시 스패로
대잠헬기 운용을 위한 비행갑판

반면 강력한 대잠성능과 달리 대공 전투력은 자기방어 수준의 개함방공 능력만 지니고 있었다.

스프루언스급의 대공미사일은 사거리 20km 내외의 시 스패로 미사일로 스프루언스급이 장비한 시 스패로는 8연장 발사기에서 발사되는 방식이였다. 동시교전 능력은 전무한 상태였으며 터렛형 연장 발사기를 사용해,전방위에 대한 방공망 구축은 힘든 수준이라 대공은 스텐다드 미사일을 운용하던 페리급과 방공 순양함에게 의존하는 면이 컸다. 이 대공 문제는 개수 후에도 이어져 RIM-116 연장발사기가 추가된 거 빼곤 대공무장에서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애초에 대잠 작전에 중점을 둔 함정이라 대잠 무장을 떼면 대공 8발, 하푼 대함미사일 8발, 그외 몇몇 다른 무장들이 전부라 같은 시기 소련의 구축함들과 비교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선수에 VLS가 탑재된 브리스코

그래도 발전하는 소련의 대함 공격능력과 미사일의 위협 증대는 개량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했고 현대화에 나서며 SM-2 운용을 위한 NTU 개수로 중거리 이상 동시교전 능력과 수직발사대 탑재가 예정되었으나 NTU 개수는 이지스함인 타이콘데로가급이 함대 방공을 맡음으로 취소되었지만, 대신 Mk.41 수직발사대 61쉘이 신설되어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을 운용하는 등, 타격능력 면에선 어느 정도는 자유로워졌다. 그러나 중거리 방공용인 스텐더드 미사일은(SM-1,SM-2) 탑재되지 않았기에 대공 문제는 퇴역 때까지 유지되었다.

운용[편집 | 원본 편집]

페르시아만의 존 영

1975년 실전 배치되기 시작한 스프루언스급은 1970년대와 80년대 미 해군을 위해, 기존 2차 대전기 구축함들을 대체하는 함정으로 90년대 탈냉전 시대까지 주요 구축함 전력으로 함대를 구성하였고 2000년대 초반까지 현역에서 운용되었다.

대표적인 전쟁 참가 경험은 70년대 후반부터 있었던 해상 소요사태를 시작으로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 참가했으나 직접적인 해상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스프루언스급은 대형 선체로 인하여 현대화를 통해 성능 향상을 노려볼수도 있었지만[1] 90년대 중후반부터 배치되기 시작한 이지스함,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의 존재로 노령화된 함선들의 가치는 후순위로 밀렸고 결국 2005년 9월 DD-985 커싱의 퇴역으로 미 해군의 구축함은 알레이버크급으로 단일화 되었다.

퇴역 후 칠레 해군에서 3~4척의 도입을 고려하였고 진지한 논의도 이루어졌으나 주변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무산되었고 대만 역시 도입을 고려했으나 그 파생형인 키드급을 대신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얻어맞는 헤일리

그러나 스프루언스급의 운명은 아직 끝나진 않았다. 의례 스크랩을 피한 퇴역 함정들이 겪는 치장물자화인, 일명 좀약 함대가 된 스프루언스급들은 다양한 훈련과 실험에 참가하며 그 명줄을 이어가는데 문제는 그 대상이 표적함이었다는 거.

네임쉽 스프루언스를 시작으로 과반수를 넘는 퇴역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은 하푼 대함미사일과 함포, 어뢰 등등의 무장 실험과 피격 시 피해 실험, 단순 해상 사격 훈련의 표적으로 사용되며 소모되었다. 더욱 압권인 것은 고작 영화 촬영을 위해 왠만한 규모의 해군에겐 주력함급인 이 함정들을 폭파하기도 했다는 것으로 영화 진주만(2006)의 진주만 공습 촬영 때 소품으로 이용되었다.

자기 방어 실험함 폴 F. 포스터

그래도 2번함인 폴 F.포스터는 살아남아 자기 방어 실험함 SDTS(Self Defence Test Ship)의 실험함으로 해군에서 현역 생활을 이어나갔고 각종 방어 체계의 실험과 함께 레이저 무기같은 신형 무기체계의 실험 플렛폼으로도 운용되며 다른 자매함들의 비참한 최후를 피할수 있었다.

이후 역할을 다한 포스터는 2011년 퇴역하며 모든 임무를 종료하였고 스크랩 처리된다.

실전[편집 | 원본 편집]

1990년, 걸프 전쟁에서 '사막의 폭풍 작전'에 다국적군 함대의 일원으로 참가, 112발의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을 이라크에 발사하면서 전쟁의 신호탄을 쏘아보냈다.

파생형[편집 | 원본 편집]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편집 | 원본 편집]

US Navy 031109-N-9769P-076 Guided missile cruiser USS Lake Champlain (CG 57) steams in the Southern California operating area.jpg

본래 원자력 추진을 사용하는 대형 순양함에 적용될 이지스 시스템을, 개발 중 문제가 발생함으로서 이 새로운 방공 체계를 핵추진 순양함에 장착하지 못하였고, 이제 와서 군함 자체를 새롭게 설계할 여유도 없었던 미 해군은 궁여지핵으로 마땅한 플렛폼도 없는 차에 해군 내에서 많이 뽑아내어 굴리고 있던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함체를 기반으로 하여 그 거대한 초기의 이지스 체계 설비를 스프루언스 구축함의 함체에 쑤셔넣는 방식으로 선회하게 된다.

당연히 순양함급 장비를 구축함에다 때려박았으니 함체 형상도 불안정 해졌고 이 때문에 초기형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은 갖은 문제로 고생하였다. 지금은 대부분 개수가 완료된 상태다.

키드급 구축함[편집 | 원본 편집]

USS Kidd (DDG-993).jpg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의 설계에 버지니아급 순양함의 전투체계를 탑재한 방공구축함이다.

1980년대 초 왕정 이란에 수출될 예정으로 4척이 건조 되었지만 팔레비 왕조가 이슬람 혁명으로 무너지며 수출이 무산된다. 그 뒤 오갈데 없어진 이 함정들은 미 해군으로 이관되어 한동한 미군이 운용하게 된다. 원본인 스프루언스급과는 달리 대잠능력이 떨어지는 편이긴 했지만 대신 우수한 대공성능을 가진 함정이였고 90년대 NTU(New Threat Upgrade) 개수를 통해 이지스함에 준하는 방공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현재 중화민국 해군에 이관되어 중화민국 해군 지룽급 구축함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중화민국 해군에서 가장 큰 전투함이다.

함정 목록[편집 | 원본 편집]

함번 함명 취역 퇴역 현황
DD-963 스프루언스 1975 2005 격침(훈련용)
DD-964 폴 F. 포스터 1976 2003 테스트함
DD-965 킨케이드 1976 2003 격침(훈련용)
DD-966 휴잇 1976 2001 스크랩
DD-967 엘리엇 1977 2003 격침(훈련용)
DD-968 아서 W. 레드포드 1977 2002 격침(훈련용)
DD-969 피터슨 1977 2002 격침(훈련용)
DD-970 캐런 1977 2001 격침(훈련용)
DD-971 데이빗 R. 레이 1977 2002 격침(훈련용)
DD-972 올덴도프 1978 2003 격침(훈련용)
DD-973 존 영 1978 2002 격침(훈련용)
DD-974 꼼 드 그라스 1978 1998 격침(훈련용)
DD-975 오브라이언 1977 2004 격침(훈련용)
DD-976 머릴 1978 1998 격침(훈련용)
DD-977 브리스코 1978 2003 격침(훈련용)
DD-978 스텀프 1978 2004 격침(훈련용)
DD-979 커널리 1978 1998 격침(훈련용)
DD-980 무스브루거 1978 2001 스크랩
DD-981 존 핸콕 1979 2001 스크랩
DD-982 니컬슨 1979 2002 격침(훈련용)
DD-983 존 로저스 1979 1998 격침(훈련용)
DD-984 레프트 위치 1979 1998 격침(훈련용)
DD-985 커싱 1979 2005 스크랩
DD-986 해리 W. 힐 1979 1998 격침(훈련용)
DD-987 오베논 1979 2004 격침(훈련용)
DD-988 1980 2005 격침(훈련용)
DD-989 디요 1980 2003 격침(훈련용)
DD-990 잉거솔 1980 1998 격침(훈련용)
DD-991 파이프 1980 2003 격침(훈련용)
DD-992 플레처 1980 2004 격침(훈련용)
DD-997 헤일리 1983 2003 격침(훈련용)

각주

  1. 본래 NTU 개수로 방공 능력을 향상시켜 보려고도 했고 파생형인 키드급의 경우 초기형 이지스함에 버금가는 성능을 지녔다. 당장 스프루언스급의 선체를 기반으로 건조된 이지스 순양함 타이콘데로가급의 존재는 스프루언스급의 확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