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급 구축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2009년5월15일 해군 1함대훈련 (7193824738).jpg
함대훈련중인 광개토대왕함
선박 정보
종류 구축함(DDH)
운영 대한민국
취역 1996년
퇴역 운용 중
사용연도 1996년 ~
생산량 3척
제원
엔진 CODOG
속도 29~30노트(시속 55.50 킬로미터)
무장 127밀리 오토멜레라 함포
16쉘 Mk.48 수직발사대(+16발의 RIM-7P 시 스패로)
4연장 하푼 대함미사일 발사관 2기
30밀리 SGE-30 골키퍼 CIWS
327밀리 3연장 어뢰발사관 2기(청상어 경어뢰)
전장 135미터
선폭 14.2미터
흘수 4.2미터
배수량 3200톤/3900톤(만재)

한국형 구축함 시대의 시작

광개토대왕급 구축함대한민국 해군의 첫 현대식 구축함으로 첫번째 한국형 구축함이다. 함명이자 함급명의 유래는 고구려의 제 19대 국왕 광개토대왕으로, 해당 함급은 모두 고구려의 인물들에서 함명을 땄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2번함 을지문덕함의 모습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우리가 자체적으로 설계 및 건조한 첫 구축함이자 현대식 전투함으로 한국형 구축함 건조 사업인 KDX 사업에 의해 건조되었다.

KD-1이란 별칭처럼 광개토대왕급은 국산 구축함 건조의 효시가 되었으며 소규모 구형 함정을 주력으로 운용하던 우리 해군이 세계적 추세에 맞는 현대적 전력을 보유하게 되었다는 의의가 있다.

성능[편집 | 원본 편집]

광개토대왕급은 대잠과 대공, 그리고 수상 전투가 모두 가능한 구축함이자 유도탄을 주력 무장으로 사용하는 첫 현대식 구축함이란 의의를 갖는다.

비록 주변국과 비교하면 3천톤급의 비교적 작은 함정이나 현대 해상전에서 유효한 전투력을 발휘할수 있는 구축함의 보유는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 능력을 한차원 더 끌어올렸다.

광개토대왕급은 우리 해군이 보유한 함정 중 처음으로 대공 미사일을 탑재한 함정이며 선미 수직발사대에 시 스패로 함대공 미사일 16발을 탑재함에 따라 대함 미사일과 접근하는 항공기에 대한 개함 방공이 가능해졌다.

이전 울산급과 DD(기어링급 등)에선 함포를 이용한 대전기식 대공 전투 능력밖에 없어 대함 미사일을 막아내는 것은 불가능했고 항공기의 공습에도 근거리로 들어왔을 때에만 겨우 대응하는 수준이었던 반면 광개토대왕급은 Mk.48 수직발사대에서 발사되는 시 스패로 미사일로 전 방위 10~16 킬로미터 내외 접근하는 대함 미사일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격추시킬 수단이 생겼다.

또한 2문의 30밀리 골키퍼 CIWS가 근거리 접근 물체에 대응하도록 하여 미처 스패로가 막지 못해 종말 단계에 들어선 대함 미사일을 요격한다.

대신 광개토대왕급이 보유한 Mk.48 수직발사대엔 아스록 등 대잠 미사일이 들어가지 않아 원거리에서 잠수함을 제압하긴 힘들고 연장 어뢰발사관에서 발사하는 청상어 경어뢰로 적 잠수함을 격침시킬수 있다. 어뢰는 압축공기로 사출된 뒤 착수하면 자체 추진으로 적 잠수함을 공격하며 좌, 우 각 3발씩 도합 6발의 경어뢰를 탑재하여 심도 5,600까지, 12킬로미터 내외 잠수함과 교전하도록 되어 있다.

함포는 127밀리 오토멜레라 54구경 함포를 사용하며 체급 대비 대구경 함포를 사용하는 편인데 수랭식으로, 분당 40발의 빠른 속사 기능을 가진 해당 함포는 국내 면허생산된 사항이다. 보통 미제 Mk.45 함포보다 10톤이나 무거운 함포라 소형 구축함인 광개토대왕급에는 부담이 될수도 있는 부분이나 당시 해군의 기어링 계열 구축함들이 퇴역을 앞두고 있어 이에 상응하는 포 사격 수준을 갖춘 함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대수상의 경우 전함 4연장 하푼 대함미사일 발사관을 2기 탑재하여 최대 8발의 대함미사일을 달고 작전에 임하며 주변국의 구축함과 동등한 수준의 대수상 공격력을 지니고 있다. 한국형 구축함 중에선 함급 내 전 함정이 하푼을 사용하는 유일한 사례로[1]대잠 무장과 함께 이전 함급인 울산급과 동일한 수준이다.

그러나 본격적 한국형 구축함으로의 발전은 무장 수준의 향상 뿐만 아니라 발전된 전자장비 및 전투체계의 탑재에 있었다.

광개토대왕급의 전투 체계 중 대공 부분은 2차원 대공 레이더 AN/SPS-49(v)5와 3차원 대공 레이더인 MW-08을 동시에 탑재하여 대공 방어에 나서며 2차원 대공 레이더로 대공 초계를, MW-08을 이용하여 시 스패로를 유도하게 된다. 대잠의 경우 선수의 고정식 소나(DSQS-21BZ)와 예인식 소나(SQR-200K/개장 후 SQR-250K)를 모두 갖추고 있는 함정으로 이들 전투 체계는 독자 개발한 한국형 구축함 지휘체계(KDCOM)에 의해 총괄된다.

통신은 데이터 링크 링크11에서 KNTDS와 링크16으로 향상되었고 미 해군을 비롯한 우방국 해군과의 연계를 고려하였다. 특히 링크16을 탑재함에 따라 시대적 한계로 탑재하지 못했던 무장을 아군함과 연계하여 운용할수 있다는 부분은 큰 이점으로 같은 해역 함대에 배치되는 인천, 대구급 호위함, 그리고 충남급 호위함이 홍상어 대잠미사일과 해룡 같은 신형 무장을 운용하고 있어 이들 함정의 무장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

개량 사업[편집 | 원본 편집]

광개토대왕급의 개량은 크게 보면 전투체계의 교체, 신형 대잠 소나, 데이터링크 최신화, 기관 및 전기설비 등 함내 시설들 성능 연장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중 개량 사업에서 중점은 외산 전투체계를 국산 전투체계로 교체한 것을 꼽을 수 있다. 기존 체계보다 표적관리 능력이 3배 증가하고 정보 처리속도도 100여배 빨라진 전투체계의 개량으로 보다 신속한 대응이 용의해진 것이 특징으로, 통신 체계 역시 연합 작전을 위해 링크16(Link-16)으로 교체해 데이터 링크 정보 공유의 개량을 이뤘다.

또한 무엇보다도 취역한 지 10년이 훌쩍 넘은 광개토대왕급의 노후화된 선체 보수 역시 이번 개량사업의 핵심으로써 선체 보강과 기관부 및 내부 설비를 대대적으로 보수함에 따라 수명을 대폭 연장시켰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건조[편집 | 원본 편집]

울산급 호위함

과거 대한민국 해군은 대전형 구축함인 알렌 M. 섬너급과 기어링급 구축함을 미 해군으로부터 넘겨받으며 구축함 운용을 시작했으나, 2차대전기 사용된 구식 구축함들로 해상 전력을 유지하기엔 그 한계가 분명했다.

이에 해군은 울산급 호위함을 비롯하여 그동안 쌓아왔던 건함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식 구축함을 건조하고자 하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고 1982년 제2차 전력증강 사업에서 제기된 이 현대식 구축함 구상은 85년 한국형 구축함 사업(KDX Korean Destroyer eXperime ntal)으로 구체화 된다.

한국형 구축함 사업이 시작된 이후 사업단의 발족과 건조 주체로 대우조선해양이 선정되며 1986년부터 본격적인 국내 구축함 건조 계획이 진행되었는데 건조되는 구축함은 오늘날 구축함의 기본인 대공, 대잠, 대함이 모두 가능한 함정이며 주변국 주력 구축함들의 체급과 무장 및 항공기 운용능력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3천톤급 구축함으로 방향을 잡는 한편, 선체를 포함한 플랫폼, 즉 배는 자력으로 건조하되 여기 올려질 무장과 전투체계는 해외 도입으로 건조 시 함에 올리는 것으로 방향을 정한다.

그렇게 1996년 초도함 광개토대왕함의 진수와 함께 대한민국은 처음으로 현대화된 구축함을 보유하게 된데다 향후 원양 해군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광개토대왕급의 건조와 배치는 순조롭게 이루어짐에 따라 1996년 광개토대왕함이 배치된 그 해 2번함 을지문덕함이 기공에 들어가 97년에 진수되었고 1998년엔 마지막 함인 양만춘함이 진수하여 2000년 7월 1일 해군에 취역하며 첫 한국형 구축함 사업은 마무리된다.

운용[편집 | 원본 편집]

림팩에 참가한 을지문덕함(우)[2]

90년대 말부터 함대에 합류하였고 2000년 이후 배치가 완료된 광개토대왕급 구축함들은 각 해역함대의 기함이 되어 본격적인 전력화에 들어간다.

배치 직후 해군이 보유한 가장 강력한 전투함이었기에 주요 행사와 훈련에 핵심 전력으로 참가하였고 무엇보다 국제 훈련인 2000년 림팩(RIMPAC)에 을지문덕함이 참여하며 처음으로 구축함을 파견하게 되었다. 여기서 을지문덕함은 하푼을 처음 실사격 하였고 이후 2002년엔 양만춘함이, 2006년엔 광개토대왕함이 문무대왕함과 함께 출전하여 대외적으로 원양 해군으로의 발전을 알렸다.

그러나 천안함 격침 사건 이후 2함대의 대잠 방어망 확충을 위해 3함대의 양만춘함이 황해에 배치되며 해역 함대 전력의 변동이 생겼고 이에 따라 한때 2함대는 2척의 광개토대왕급을 운용하기도 하였다.

운용 13년차 이상 지난 2010년대 들어 개량에 대한 논의와 함께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고 2013년부터 6년간의 준비기간 끝에 2019년 1월 을지문덕함이, 7월엔 광개토대왕함이 개장에 들어갔고 2021년 양만춘함까지 개량을 완료하며 전 함정이 다시 해역으로 복귀하였다.

그 와중 광개토대왕함이 동해 대화퇴 일대에서 선박 구호 중 일본 해자대 P-2 초계기가 위협 비행을 가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는데, 2018년 4~8월 P-1 오라이언이 광개토대왕함을 초계한 것을 전초로 12월 20일 본 도발을 촉발하였다. 해자대는 광개토대왕함이 사격 레이더를 조사했다고 주장했지만 우리 해군은 해자대의 주장을 일축했고 광개토대왕급의 적대 행위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2010년 중후반 인천급, 대구급 호위함이 취역하고 주변국의 해상 위협 증대 및 함급의 노후화로 광개토대왕급의 한계점이 보임에 따라 2023년 청해부대 파병 함정이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대신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충무공 이순신함은 국가 전략기동부대인 제7기동전단에 소속된 주력함이라 파병으로 인한 전력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으며 해역 함대의 전력도 확충된 현 시점이 적기라 판단한 것으로 5월 3일 광개토대왕함이 제40진 청해부대 함정으로 출항함에 따라 호송전대 임무를 인계받았다.

사건 사고[편집 | 원본 편집]

2018년 12월 20일, 동해 원해상에서 구조 활동중이던 광개토대왕함에 일본 해자대 P-2 초계기가 접근하여 위협 비행을 한 사건이 발생한다.

동형함[편집 | 원본 편집]

함번 함명 진수일 취역일 제작
DDH-971 광개토대왕 1996년 10월 28일 1998년 7월 24일 대우조선해양
DDH-972 을지문덕 1997년 10월 26일 1999년 8월 30일 대우조선해양
DDH-973 양만춘 1998년 9월 30일 2000년 6월 30일 대우조선해양

여담[편집 | 원본 편집]

광개토대왕급을 시작으로 해군에선 구축함급 함정들엔 국민들에게 존경받는 위인들의 이름을 붙이는 명명 방식이 규정된다. 그래서 한국형 구축함들의 함명은 시대에 따라 붙게 되는데 삼국시대인 광개토대왕급과 충무공 이순신급의 문무대왕함[3]부터 남북국시대의 대조영함과 고려시대의 왕건, 강감찬, 최영함으로 이어지는 계보는 조선시대 세종대왕급 구축함과 (조선 초, 중기) 정조대왕급 구축함(조선 중, 후기)로 연결된다.

각주

  1. 충무공 이순신급은 충무공 이순신함과 문무대왕함 까지가 하푼을 사용하며 이후부턴 국산 해성 대함미사일을 탑재한다.
  2. 좌측은 충무공 이순신급 충무공 이순신함.
  3. 신라 30대 국왕 문무왕은 시기상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및 남북국시대에 걸쳐 있는데, 그가 바로 삼국시대를 마치고 삼한일통을 달성하였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