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6 팰콘

ImpMK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30일 (목) 17:34 판
공중급유를 준비중인 포르투갈 공군의 F-16A
F-16의 프로토타입 YF-16과 F-18의 프로토타입 YF-17의 시험비행.
뉴욕 시 상공을 비행하는 미 공군 선더버드 곡예비행단의 F-16 편대. 뒤로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보인다.

개요

과거 제너럴 다이너믹스항공사업부가 개발하고 현 록히드 마틴사가 생산중인 멀티롤 전투기. 서방권에서 F-4다음으로 많이 생산된 전투기로, 전체 전투기중에서는 세번째로 많은 생산이 이루어졌다.

개발 배경

베트남전 당시 미사일 만능주의에 젖은 미국 공군미국 해군은 그 모토를 충실히 따르는 F-4팬텀을 투입하였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1] 여기에 더불어서 신예기인 F-15는 그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하였고, 그 때문에 실제 목표 수량으로 정수를 채우는 것이 불가능할뿐더러 NATO등의 동맹국들에게 제공할만한 전투기가 필요했다.

특히나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주력기종인 MiG-19, MiG-21은 염가형 전투기였고, 이들을 잡기 위해 F-15가 투입된다는 것은 극히 비효율적인 일이었기 때문에 이런 염가형 전투기를 잡기 위해서 시작된 프로젝트가 바로 LWF였고, 여기에는 제너럴 다이너믹스의 YF-16과 맥도널 더글러스의 YF-17 두개의 기종이 경쟁을 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미국 공군에 채택된것은 YF-16이고, YF-17은 이대로 묻히는가 싶었지만 미국 해군에서 확대버전을 채용, 현재의 F/A-18이 된다. 본래는 체계통합을 위해 하나로 하고자 하였지만, 미국 해군이 안전성을 이유로 하여 다른 기종을 선택하게 된다.[2]

특징

가장 큰 특징은, 목표로 하는 상대가 MiG-19, MiG-21이므로 최대한 가격상승을 억제하고, 근접전에서의 기동성을 우수하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결과적으로 F-15를 보조하는 전투기가 되었으며 이후 F-15가 하지 않는 임무들을 나누어 가짐에 따라 후기형으로 갈수록 수행하는 임무가 많아졌다. 초기에는 일부 F-4F-106을 대체하였으나, 이후에는 센추리 시리즈의 대부분을 교체하고, 전성기의 미국 공군에서는 가용 전투기의 3분의 2이상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현재는 노후화와 군축 문제로 그 수가 많이 줄어든 상황.

현재 후계기로 F-35가 나와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 실전배치는 되지 않고 있으며, 2015년 현재에도 이라크 공군용 등으로 계속해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초의 기체가 1973년에 만들어졌다는 점을 생각하면 꽤나 장수하고 있는 셈.

파생형

F-16 A/B

현재 오리지널 상태의 A/B형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부분이 개조되어서 기존의 형태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있다. 그나마도 상당수가 기령문제로 퇴역하였으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세력은 소수에 불과하다. 총 475대 생산.

  • Block 1은 최초의 양산형이다. 최초의 양산형 기체넘버는 #78-0001로, 1991년에 퇴역하여 버지니아주 랭글리 공군 기념 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엔진은 F100-PW-200을 장착.
  • Block 5에서는 흡기블레이드와 UHF안테나등의 개량이 이루졌다.
  • Block 10은 Block 5의 마이너 개량으로, 주로 내부 정비성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이들중 일부는 걸프 전쟁당시 CAS지원을 위하여 GPU-5건포드 장착이 가능하게 개량을 하였고, 미 공군 소속 항공기는 아래의 Block 15 OCU에 맞게 개량되었다.
  • Block 15는 하드포인트의 중량 강화와 AIM-7운영을 위한 UHF트랜스미터 탑재를 골자로 한 여러 개량조치가 이루어졌으며, 외관상 가장 큰 특징은 후방 꼬리날개의 면적이 커졌다는 것이다. 1988년이후 15 OCU개량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F100-PW-220터보팬 엔진으로의 교체, AGM-65및 AIM_120의 장착을 감안하고, AN/APX-101IFF, ALE-40 채프/플레어 디스펜서의 설치등이 중요 사항이다.
  • Block 20은 대만에 수출된 F-16이며, A/B형의 기체에 아래에 서술할 MLU수준의 개량과 더불어서 일부 블럭 50의 운영상 장점을 섞은 마개조 버전이다.

A/B형 개량 프로그램

F-16 A/B형의 추가적인 개량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미 공군을 중심으로 한 Block 15 OCU
  • ADF로 배속된 A/B형에 대한 요격성능 개량 프로그램(F-16 ADF) : 미공군, 이후 중고기가 요르단과 태국에 판매.
  • NATO의 요격성능 개량 프로그램(F-16 MLU) : 벨기에, 덴마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칼, 요르단, 파키스탄
  • 싱가포르의 Falcon One
  • 이스라엘의 Avionics Capabilities Enhancement (F-16 ACE)

F-16 C/D

F-16 C/D는 F-16 MSIPII 계획을 통해서 탄생하는데, 최초의 F-16 C/D는 Block 25형인 #83-0118이다. 현재 해당기체는 2010년 예비기체로 전환되어 AMARC에 보관되어 있다.

기존의 A/B형과 구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레이더의 교체 : 기존의 AN/APG-66에서 AN/APG-68로 교체
  • MIL-STD-1760인터페이스의 표준 장착
  • 칵핏의 개량
  • 화력통제/저장관리 컴퓨터의 개선
  • 라디오의 ECCM기능 강화

한때는 AN/ALQ-165 ASPJ의 장착이 검토가 되어, 장착공간을 만들어 두었으나 미공군 버전은 끝내 장착되지 않았다. F-16 C/D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가 된다.

  • Block 25 : 최초의 F-16 C/D
  • Block 30/32 : 미공군의 전투기 엔진 대체계획(AFE)와 F-16 MSIP III계획에 의해서 개량된 버전. Block32의 경우 F100-PW-220E, Block 30의 경우에는 F110-GE-100엔진을 사용. Block 30의 경우 공기흡입구와 노즐이 식별 포인트로, 공기흡입구의 경우 Block 32보다 크다. 생산할 때부터 AIM-120의 운영을 전제로 하였다.
  • F-16N : 미 해군의 가상적기용 항공기. 기존의 F-5를 대체한다. 총 26대가 배치되었고, 이후 1998년 후계기 없이 AMARC행. 현재는 파키스탄 공군이 일부 기체를 운영중이다.
  • Block 40/42 : 통칭 Night Falcon으로 명명되었으며, LANITRN운영을 위해 여러 부분이 개조되었다. 레이더의 신뢰도가 소폭 상승하였고, 본래 목적답게 주로 야간 공격을 위해서 사용되었으나, 초기형 F-16들이 상당수 퇴역한 현재에는 특정임무에만 투입되는 과거와는 다른 패턴으로 운영중. GBU-10/12/15/24등이 사용가능하다.
  • Block 50/52 : Wild Weasel III라고도 하며, HTS 포드를 탑재, SEAD임무를 수행하는데 주 목적을 둔 버전이다. 사실상 F-16의 최정점을 찍은 기종이며, 현재 이라크 공군용으로 생산중인 항공기 역시 이 버전이다. 엔진의 교체가 이루어져서 Block 50은 F110-GE-129, Block 52는 F100-PW-229를 사용한다. 최초의 항공기는 #90-0810이며, 이 기체는 2000년에 사고로 추락, 손실되었다.
  • Block 50/52+ : 이스라엘과 그리스가 도입한 변형으로, 외형상 가장 큰 특징은 기체 상부에 컨포멀 탱크가 탑재되었다는 것이다.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많은 국가가 도입할것으로 생각하였으나, 현재는 그 생산이 종료되었다.

F-16 E/F

Block 60으로 불리는 기체이며, 전체적인 외관은 Block 50/52+와 유사하다. 엔진은 F110-GE-132, 레이더가 AN/APG-80으로 교체되었으며 여러 전자장비가 바뀌었다. 대표적인 운영국은 UAE. 현재 신규 생산되는 기체는 없다.

그 외의 파생형

  • F-16/79 : 카터대통령 시절 계획된 우방국 수출용. 최종적으로 F-16의 해외수출 금지가 취소되면서 덩달아 취소.
  • F-16/101 : F101엔진탑재 시험기. 이후 이 계획은 F101의 변형인 F110엔진을 탑재함으로써 성공.
  • F-16XL : GD사의 주도하에 만들어진 공기역학 테스트용 기종. 델타익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후 NASA로 이관되어 연구용으로 사용중.
  • F-16 AFTI : 외관상 카나드를 장착한 AFTI프로그램용 기체.
  • F-2 : 록히드 마틴과의 기술협력으로 F-16의 확대생산형. 일본만 운영중.

운영 국가

현재 운영국가

미국 공군

대한민국 공군

과거 운영국가

기타

각주

  1. 이는 베트남전 당시 교전규칙이 미사일 만능주의와 상충되는 탓이 컸으며, 더불어서 실제 교환비도 1:4정도로 교환비 자체만 보면 압도적이었다. 문제는 한국전쟁당시 교환비는 1:10정도 되었다는거
  2. 이미 미 해군은 당시에 F-8등의 단발기를 잘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단발기의 위험성은 이유가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