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Sternradio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20일 (월) 23:28 판

政治學. Political Science.

인간은 본래 정치적 동물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개요

정치 및 정치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데이비드 이스턴은 "정치는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1]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정치학은 합리적인 개인 혹은 집단이 가치관과 권위에 따라 어떻게 자원과 가치를 배분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경제학, 사회학 등과 함께 사회과학의 대표주자로 그 역사는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동양에서는 춘추전국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깊은 학문이다. 정치학이라고하면 국회에서 치고박고 싸우는(...)국K-1 모습을 연상하기 쉬우나, 파고 들면 매우 깊이가 심오한 학문.

정치학의 분과학문으로는 정치철학/사상, 정치이론/제도, 정치방법론, 비교정치, 국제정치/국제관계 등이 있다

정치철학

"정치철학의 전통은 철학자가 처음엔 정치에 등을 돌리면서도 자신의 척도를 사람들에게 강요하러 다시 정치로 돌아왔을 때 시작되었다. 그리고 철학자가 그것을 정치를 통해 실현하려 철학에 등을 돌렸을 때 종언을 맞았다" -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정치철학은 인간의 본성과 인간이 이루고 사는 사회의 성격을 탐구하고, 정치의 이상과 정치공동체의 목표에 대한 규범을 설정하여 그 정당성에 대해 사변적으로 논의하는 분야. 전통적인 철학의 한 분과학문인 동시에 가장 오래된 정치학의 영역이며,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이 "정치학" 했을 때 떠올리는 수많은 학자들의 고전(classics) 저작이 여기에 속한다.

통계와 수학적 방법론이 많이 도입된 현대 정치학에서 아직까지도 고전적인 색채가 많이 남아있다.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문제의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 권력(권위)은 무엇인가?
  • 국가는 무엇인가? 국가의 존재이유는 무엇인가?
  • 자유란 무엇인가?
  • 평등이란 무엇인가?

등(...)

비교정치

국제정치

정부가 존재하는 중앙집권적 체제를 가정하는 여타 분과학문과는 달리, 국제정치는 중앙집권적 존재가 부재한 무정부적(anarchic) 상황에서 각 국가와 행위자들이 어떠한 행동을 하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다. 각 국가는 국익의 극대화와 자신의 생존을 지상과제로 삼고 있다고 가정한다. 학문적 시조는 주로 투키디데스마키아벨리, 홉스를 꼽으나, 근대 국제정치학은 미국 정치학자인 한스 모겐소(Hans J. Morgenthau)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주류이론

현재 국제정치학의 주류는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다.

홉스가 이 부분에서 가장 유명한 학자다. 그 외 모겐소(Morgenthau), 미어샤이머(Mearsheimer), 월츠(Waltz) 등이 대표적인 현실주의자. 역사적으로는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과 신현실주의(Neo-Realism)으로 나뉜다. 현대의 현실주의는 다시 방어적 현실주의(Defensive Realism)와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으로 양분된다.
한동안 국제정치를 현실주의와 양분하던 이론. 과거에는 이상주의(Idealism)이라고 불렸으며 현대에는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이 대세다.
비교적 새로운 영역으로, 90년대 들어 카첸슈타인(Katzenstein)가 구성주의의 선구자로 인정받는다. 사회학 이론을 차용한 이론이다.

대안이론

물론 위 주류이론 말고도 대안이론들이 존재한다.

인문사회과학이라면 어디나 존재하는 마르크스의 영향이다. 기본적으로 국제정치를 자본주의 열강이 시장확대를 위해 다른 국가를 착취하는 구도로 파악한다.
기존 국제정치와 국제정치학이 남성성에 대한 편향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하는 이론이다.
  1. 경제학의 정의가 "희소가치의 효율적 배분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정치학과 경제학의 관점이 어떻게 다른가 알 수있어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