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23번째 줄: 23번째 줄:


== 나라별 운용 현황 ==
== 나라별 운용 현황 ==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대한민국 최초의 전기버스는 2010년에 [[남산]]순환 노선에 투입된 [[한국화이바 프리머스]]다.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012201304142880540 세계 최초로] [[노선버스]]에 정식 운행된 대형 전기버스라고 한다.
*: 대한민국 최초의 전기버스는 2010년에 [[남산]]순환 노선에 투입된 [[한국화이바 프리머스]]다.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012201304142880540 세계 최초로] [[노선버스]]에 정식 운행된 대형 전기버스라고 한다. 2017년부터는 중국의 여러 업체들이 우리나라에 진출하고 [[현대자동차]]와 [[우진산전]]도 전기버스 사업에 진출하면서 전기버스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렸다.  


2017년부터는 중국의 여러 업체들이 우리나라에 진출하고 [[현대자동차]][[우진산전]]도 전기버스 사업에 진출하면서 전기버스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렸다.  
* 중국
=== 중국 ===
*: [[중국]]의 전기버스는 전 세계의 전기버스 대수 중에서 99%를 차지하고 있고 중국 내의 버스 대수 중에서는 17%를 차지하고 있다.<ref>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8-04-23/electric-buses-are-hurting-the-oil-industry</ref> [[선전]]시의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7775 모든 시내버스가 다 전기버스다.] 대부분 [[비야디]]의 모델이라고 한다.
'''세계 최대의 전기버스 강국'''


[[중국]]의 전기버스는 전 세계의 전기버스 대수 중에서 99%를 차지하고 있고 중국 내의 버스 대수 중에서는 17%를 차지하고 있다.<ref>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8-04-23/electric-buses-are-hurting-the-oil-industry</ref>
[[선전]]시의 [http://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7775 모든 시내버스가 다 전기버스다.] 대부분 [[비야디]]의 모델이라고 한다.
== 차종 ==
== 차종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

2018년 7월 3일 (화) 00:05 판

하이거-하이퍼스-창원-마창여객-3735.png

전기자동차의 일종으로 전기로 움직이는 버스를 말한다.

종류

  • 트롤리버스
    전기철도처럼 가공전차선에서 급전하는 방식. 전차선이 없는 노선에는 다닐 수 없고 전차선을을 설치할 때 비용이 들고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전기자동차가 등장하기 훨씬 이전인 노면전차가 여기저기서 운행되던 시절에 세계 각지에서 노면전차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던 시대가 있었으나 이후 도시가 발달하면서 상당수 도시에서 사라지게 된 형태이다. 다만 미국샌프란시스코 같은 곳에서는 여전히 트롤리버스를 대중교통수단으로 잘 굴리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2018년에 평양에 신형 트롤리버스를 들여놓는 등 21세기에 들어서도 유효하게 굴려먹는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
  • 배터리 탑재형
    배터리를 연료 채우듯이 충전하고 그 배터리로 운행 나가는 방식. 전기버스 중에서 주류인 방식이다. 충전 방식은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
    • 플러그인: 플러그를 꽂아 충전하는 방식. 충전 시설을 갖추는 건 간단한 편이지만 충전 시간이 긴 게 단점이다.
    • 무선 충전: 도로에 매설된 유도 회로에서 전기 에너지를 받는 방식. 충전 스팟을 주행 구간에 분산해두어 정차 시간을 활용해 충전하여 회전율을 높일 수 있고, 잘 활용하면 무가선 트롤리버스 같은 걸 만들 수 있지만, 충전장치 가격이 가장 비싼 방법이다.
    • 배터리 교체: 배터리 자체를 미리 충전된 다른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 충전 때문에 잡혀있는 시간이 짧은 게 장점이다.

특징

  • 단점
    •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비용이 든다. 하지만 천연가스 인프라(고압가스시설) 구축 비용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비용이다.
    • 차량 가격이 비싸다.

나라별 운용 현황

차종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