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 트롤리버스 ===
=== 트롤리버스 ===
{{참조|트롤리버스}}
{{참조|트롤리버스}}
[[전기철도]]처럼 [[가공전차선]]에서 급전하는 방식. 전차선이 없는 노선에는 다닐 수 없고 전차선을을 설치할 때 비용이 들고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전기철도]]처럼 [[가공전차선]]에서 급전하는 방식. 전차선이 없는 노선에는 다닐 수 없고 전차선을을 설치할 때 비용이 들고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전기자동차가 등장하기 훨씬 이전인 노면전차가 여기저기서 운행되던 시절에 세계 각지에서 노면전차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던 시대가 있었으나 이후 도시가 발달하면서 상당수 도시에서 사라지게 된 형태이다. 다만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같은 곳에서는 여전히 트롤리버스를 대중교통수단으로 잘 굴리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2018년에 평양에 신형 트롤리버스를 들여놓는 등 21세기에 들어서도 유효하게 굴려먹는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
 
=== 배터리 전기버스 ===
=== 배터리 전기버스 ===
배터리가 있어서 충전을 하면 전기 공급이 없는 동안에도 움직일 수 있는 전기버스. 전기버스 중에서 주류인 방식이다. 충전 방식은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
배터리가 있어서 충전을 하면 전기 공급이 없는 동안에도 움직일 수 있는 전기버스. 전기버스 중에서 주류인 방식이다. 충전 방식은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

2018년 6월 27일 (수) 15:30 판

토론 문서에서 문서를 기르는데 동참해 주세요. 토론과 관련된 내용을 무단 수정할 경우 제재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의 일종으로 전기로 움직이는 버스를 말한다.

종류

트롤리버스

전기철도처럼 가공전차선에서 급전하는 방식. 전차선이 없는 노선에는 다닐 수 없고 전차선을을 설치할 때 비용이 들고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전기자동차가 등장하기 훨씬 이전인 노면전차가 여기저기서 운행되던 시절에 세계 각지에서 노면전차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던 시대가 있었으나 이후 도시가 발달하면서 상당수 도시에서 사라지게 된 형태이다. 다만 미국샌프란시스코 같은 곳에서는 여전히 트롤리버스를 대중교통수단으로 잘 굴리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2018년에 평양에 신형 트롤리버스를 들여놓는 등 21세기에 들어서도 유효하게 굴려먹는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

배터리 전기버스

배터리가 있어서 충전을 하면 전기 공급이 없는 동안에도 움직일 수 있는 전기버스. 전기버스 중에서 주류인 방식이다. 충전 방식은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

  • 플러그인: 플러그를 꽂아 충전하는 방식. 충전 시설을 갖추는 건 간단한 편이지만 충전 시간이 긴 게 단점이다.
  • 무선 충전: 도로에 매설된 충전 장치로 충전하는 방식. 충전을 위해 따로 정차해야 하는 시간이 없다는 게 장점이지만 충전 시설을 갖추는 비용이 많이 드는 게 단점이다.
  • 배터리 교체: 배터리 자체를 미리 충전된 다른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 충전 시간이 짧은 게 장점이다. 하지만 배터리 교체하고 있는 도중에는 차내 조명과 냉난방 장치가 꺼지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 시설은 차고지, 기종점에 설치하는 게 바람직하다.

장점

단점

  •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비용이 든다. 하지만 천연가스 인프라 구축 비용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비용이다.
  • 차량 가격이 비싸다.

나라별 운용 현황

대한민국

대한민국 최초의 전기버스는 2010년에 남산순환 노선에 투입된 한국화이바 프리머스다. 세계 최초로 노선버스에 정식 운행된 대형 전기버스라고 한다.

2017년부터는 중국의 여러 업체들이 우리나라에 진출하고 현대자동차우진산전도 전기버스 사업에 진출하면서 전기버스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렸다.

중국

세계 최대의 전기버스 강국

중국의 전기버스는 전 세계의 전기버스 대수 중에서 99%를 차지하고 있고 중국 내의 버스 대수 중에서는 17%를 차지하고 있다.[1]

선전시의 모든 시내버스가 다 전기버스다. 대부분 비야디의 모델이라고 한다.

차종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