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煉炭 석탄을 다져서 만든 고체연료의 일종. 한국, 중국에서 널리 사용된다. ==개요== 영어권에서 말하는 브리케트(briquette)의 일종이...)
 
잔글 ({{주석}}을 생활화합시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2~3개의 연탄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형태의 아궁이를 활용한다. 아궁이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 있어야 한다. 번개탄을 넣어 점화시킨 다음, 위에 연탄을 넣으면 불이 옮겨붙으면서 연소가 시작된다. 연소된 가스는 외부로 연결된 배기관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혹여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거나 할 경우 [[일산화 탄소]]가 발생하여 중독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환기가 잘 되는 곳에 아궁이가 설치되어야 하며, 종종 연소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2~3개의 연탄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형태의 아궁이를 활용한다. 아궁이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 있어야 한다. 번개탄을 넣어 점화시킨 다음, 위에 연탄을 넣으면 불이 옮겨붙으면서 연소가 시작된다. 연소된 가스는 외부로 연결된 배기관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혹여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거나 할 경우 [[일산화 탄소]]가 발생하여 중독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환기가 잘 되는 곳에 아궁이가 설치되어야 하며, 종종 연소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주석==
{{주석}}
<references/>
 
[[분류:석탄]]
[[분류:석탄]]

2015년 4월 27일 (월) 02:02 판

  • 煉炭

석탄을 다져서 만든 고체연료의 일종. 한국, 중국에서 널리 사용된다.

개요

영어권에서 말하는 브리케트(briquette)의 일종이다. 주로 점화성이 나쁘고 연소가 까다로운 무연탄을 가정용 연료로 쓰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과거에는 가정용 난방연료이자 취사연료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석유나 가스의 보급에 따라서 점차 도태되었다. 현재는 정책적으로 낮은 가격을 유지한 탓에, 저소득층의 난방용 연료나 시설농업 등지에서 난방용도로 쓰인다.

연탄을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번개탄이라 불리는 별도의 점화제가 필요하고, 종종 연탄재를 치우고 새로 연탄을 장입해야 하며, 또 일산화탄소 중독의 위험이 있는 등 불편한 점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료가격의 격차가 커지고 불경기가 장기화되면서 연탄소비가 2000년대 들어 다시 증가추세로 돌아섰으며[1] , 2008년 금융위기 때 다시 한번 소비량이 정점을 찍기도 하였다[2]

역사

옛 문헌에서 석탄에 진흙을 혼합하여 벽돌 형상으로 만들어 활용한다는 언급이 존재한다(석탄 문서의 역사 항목 참조).

현재의 연탄은 일본에서 고안되었다. 초기엔 무연탄을 해군용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두탄(豆炭)으로 가공하던 기술에서 파생되어 나왔으며, 곤로에 장입하여 쓰기 위해 현재의 연탄의 구조가 다이쇼 시대에 일본에서 개발되었다. 한국에서 쓰이는 연탄의 원형은 평양시 인근의 무연탄전 개발이 1910년대 진척되면서, 이를 가정용 연료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제조

연탄은 통상 무연탄을 주 재료로 하며, 보조적으로 석회, 점토 등의 재료를 사용한다.

제조공정은 분쇄, 선별, 혼합, 성형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적정 성분비의 석탄을 배합하여 잘게 부수고, 이후 이를 체를 통해 9mm 정도의 입도를 가지도록 선별한다. 이후 다시 재료를 배합하고 수분함량을 맞춰 혼합한 다음, 윤전기라 불리는 제조기계를 통해 22개 또는 25개의 구멍을 가진 원통형으로 성형한다.[3]

사용

2~3개의 연탄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형태의 아궁이를 활용한다. 아궁이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 있어야 한다. 번개탄을 넣어 점화시킨 다음, 위에 연탄을 넣으면 불이 옮겨붙으면서 연소가 시작된다. 연소된 가스는 외부로 연결된 배기관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혹여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거나 할 경우 일산화 탄소가 발생하여 중독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환기가 잘 되는 곳에 아궁이가 설치되어야 하며, 종종 연소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각주

  1. 오마이뉴스.'연탄소비 14년만에 증가'. 2000년 11월 17일.[1]
  2. 서울신문. 서민 연료' 연탄 소비 4년만에 증가'.2013년 3월 18일.[2].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