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기: 두 판 사이의 차이

6번째 줄: 6번째 줄:
== 목적에 따라 ==
== 목적에 따라 ==
* 폐색 신호기: [[폐색]]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기.
* 폐색 신호기: [[폐색]]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기.
* 중계 신호기(원방 신호기): 전방의 신호기에 무슨 신호가 현시되어 있는지 중계하는 신호기.
* 중계 신호기(원방 신호기): 장내·출발·폐색·엄호 등 전방의 신호기에 무슨 신호가 현시되어 있는지 중계하는 신호기. [[자동폐색식]] 이외의 구간에서는 원방신호기(distance signal)라고 불리는데, 이는 주신호기와 색상·형상과 구분되는 종속 신호기인데다 정지 신호 현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엄호 신호기: 폐색 도중 평면교차 등의 이유로 열차 운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해당 지점에 설치하는 신호기.
* 엄호 신호기: 폐색 도중 평면교차 등의 이유로 열차 운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해당 지점에 설치하는 신호기.
* 장내 신호기: 정거장 내의 진입 여부를 전달하는 신호기.
* 장내 신호기: 정거장 내의 진입 여부를 전달하는 신호기.
* 출발 신호기: 정거장에 정차중인 열차의 출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기. 정지 외의 모든 신호가 출발을 의미하는 신호로, 진행 신호가 현시되면 출발신호기반응표지에 백색이 현시된다.
* 출발 신호기: 정거장에 정차중인 열차의 출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기. 정지 외의 모든 신호가 출발을 의미하는 신호로, 진행 신호가 현시되면 출발신호기반응표지에 백색이 현시된다.
*유도 신호기: 장내 신호기에 진행 신호를 현시할 수 없는 경우(열차가 이미 점유해 있거나, 과주 여유가 확보되지 않는 등), 해당 열차에 대해 유도를 받아 진입할 수 있게 허가하는 신호기이다. [[복합열차]]의 분리, 결합을 취급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신호이다.
* 입환 신호기: 구내에서 입환을 목적으로 현시하는 신호기. 주신호기 하단이나 지면에 설치되며 2현시로 되어 있다.
* 입환 신호기: 구내에서 입환을 목적으로 현시하는 신호기. 주신호기 하단이나 지면에 설치되며 2현시로 되어 있다.



2017년 10월 7일 (토) 11:05 판

파일:신호기.jpg
동대구역 1번선 신호기.
상단부터 출발, 식별표지, 입환, 진로표지.

개요

철도 관제에서 기관사에게 운전 방법을 전달하는 수단 중 하나. 신호기 자체는 운전 방법을 전달할 뿐이고, 신호보안장치(ATS 등등)가 신호기의 전달을 강제하는 수단이다.

목적에 따라

  • 폐색 신호기: 폐색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기.
  • 중계 신호기(원방 신호기): 장내·출발·폐색·엄호 등 전방의 신호기에 무슨 신호가 현시되어 있는지 중계하는 신호기. 자동폐색식 이외의 구간에서는 원방신호기(distance signal)라고 불리는데, 이는 주신호기와 색상·형상과 구분되는 종속 신호기인데다 정지 신호 현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엄호 신호기: 폐색 도중 평면교차 등의 이유로 열차 운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해당 지점에 설치하는 신호기.
  • 장내 신호기: 정거장 내의 진입 여부를 전달하는 신호기.
  • 출발 신호기: 정거장에 정차중인 열차의 출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기. 정지 외의 모든 신호가 출발을 의미하는 신호로, 진행 신호가 현시되면 출발신호기반응표지에 백색이 현시된다.
  • 유도 신호기: 장내 신호기에 진행 신호를 현시할 수 없는 경우(열차가 이미 점유해 있거나, 과주 여유가 확보되지 않는 등), 해당 열차에 대해 유도를 받아 진입할 수 있게 허가하는 신호기이다. 복합열차의 분리, 결합을 취급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신호이다.
  • 입환 신호기: 구내에서 입환을 목적으로 현시하는 신호기. 주신호기 하단이나 지면에 설치되며 2현시로 되어 있다.

형식에 따라

  • 완목식 : 기다란 널판이 지시하는 각도로 신호를 판별한다. 가로로 유지되고 있으면 '정지', 위아래로 45º 기울어져 있으면 '진행'을 의미한다. 야간에는 널판에 이어놓은 색유리에 빛을 투과시켜 신호를 알린다.
  • 색등식 : 특정 색등을 밝혀 신호를 판별한다. 현시할 수 있는 패턴 갯수에 따라 3현시, 4현시, 5현시 등으로 구별된다. 색등식은 등화 불량을 판정하여 불량이 인식되면 정상 등화로만 밝힐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한다.
    • 단등식 신호기 : 색등신호기의 초기에는 여러개의 등화를 쓰지 않고 1개의 백색등에 색유리(렌즈)를 교체해 현시 식으로 신호를 현시하였다. 렌즈 교체 메커니즘이 신뢰성이 떨어지는데다, 신호등의 고장을 검지하는게 불가능해서 현재는 표지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다등식 신호기 : 현재 쓰이는 신호기로, 색상 별로 여러개의 등화를 설치한 방식이다. 등화의 배치 등은 국가에 따라 달라진다.
  • 등열식 : 여러개의 등화를 배치해서, 등화의 배열 방식에 의해 신호를 판별한다. 한국 철도에서는 진로표시기나 중계신호기에 사용된다.
  • 차상식 : 지상자나 관제 시스템에서 전달하는 신호를 기관실 내부 장치에 현시한다. ATC 등에서 볼 수 있다.

부속품

  • 진로표시기 : 전방의 분기기가 어느 선로로 분기되어 있는지 현시한다. 등화 형식과 문자 형식이 있는 데, 대게 문자 형식을 채용한다.
  • 식별표지 : 표지의 일종으로 복수의 신호기가 병렬해 있을때 각각의 신호기명 및 선로명을 주기하는 표지이다. 검정 바탕에 숫자 및 글자가 새겨진 검정 사각형 모양으로 출발신호기에 보통 부착되며, 착오 방지를 위해 소등과 점등을 반복한다.
  • 반응등 : 승강장에 설치된 백색 표지로 출발신호기와 연동되어 점등된다. 열차 승무원(차장 등)에게 출발 신호 현시를 중계해 주어 출입문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승강장 성격에 따라 양면의 발광면에 방향별 출발 신호를 각각 할당하거나, 전체 반응등을 특정 방향 출발 신호에 할당할 수 있다.
  • RA & CD Indicator : 영국에서 볼 수 있다. 플랫폼 스태프가 조작하는 지시기로, RA는 "발차 준비 완료"이고 CD는 "출입문 닫아도 좋음"이다. 출발신호기와 별개로 역무원의 전호를 전달한다.

참고 문헌

  • 신호기(KR S-02020), 한국철도시설공단, 2017.07.26.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