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삼각선의 정렬 키를 바꿈: " ")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1\|([^}]+)\}\} +<big>\1</big>))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big>삼각선 / 三角線 / Wye, Curve</big>
노선을 쉽게 건너가기 위해 만드는 노선.


노선이 분기할 경우 특정 방향으로만 진행이 가능한데, 다른 방향으로 가려면 역에서 많은 시간을 써가면서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설되는 것이 삼각선.
== 개요 ==
노선 분기지점에서 정방향(본선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로. 때문에 주로 통행량이 적은 방향에 설치되는 노선을 삼각선이라고 하며 때문에 평면교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ref>[[미전선]] 등은 예외이다.</ref>. 여객 열차는 동차면 아무런 문제가 없고, [[기관차]] 견인인 경우도 제어 객차 등을 통해 방향 전환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제어기능이 없는 [[객차]] 편성 열차나 화물 열차는 얘기가 다르기 때문에 보통 화물 열차의 직결 운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경부선]]-[[경전선]]의 경우 [[삼랑진역]]에서 부산→목포 방면으로 분기하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마산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삼랑진역에 정차해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하지만 [[미전선]]이 서울 방면에서 분기해서 경전선으로 합류하기 때문에 손쉽게 경전선으로 진출할 있게 된다.
삼각선은 [[루프선]]과 함께 차량 편성의 방향을 바꾸거나, 기관차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편성 방향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객차의 경우는 큰 문제가 없으나, 기기나 차내 설비 배치의 표준화가 중요한 [[전동차]]나 고정편성 객차의 경우 편성의 방향에 따라 기기와 설비의 위치가 틀어지기 때문에 정비나 운용상의 필요에 따라서 편성방향을 전환할 있는 설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임시열차를 편성에 삼각선을 운행하기도 한다.


==국내 삼각선 목록==
== 예시 ==
* [[건천연결선]]
{{참고|분류:삼각선}}
* [[구로삼각선]]
 
* [[금장삼각선]]
=== 한국 ===
* [[대전선]]
* [[대전선]]
* [[미전선]]
* [[오송선]]
* [[망우선]]
* [[망우선]]
* [[미전선]]
* [[부전선]]
* [[부전선]]
* [[북송정삼각선]]
* [[구로삼각선]]
* [[북영주삼각선]]
* [[북영천삼각선]]
* [[오송선]]
* [[용산삼각선]]
* [[용산삼각선]]
* [[태백삼각선]]
* [[전경삼각선]]
* [[전경삼각선]]
* [[태백삼각선]]
* [[영천삼각선]]
* [[평택삼각선]]
* [[금장삼각선]]
* [[북영주삼각선]]
* [[북송정삼각선]]
 
=== 일본 ===
[[쇼난 신주쿠 라인]] 운행 경로 중 나오는 [[오사키 지선]]([[헤비쿠보 신호장]])이 바로 삼각선을 활용한 노선이다.
 
=== 네덜란드 ===
네덜란드는 널린게 삼각선이다. 심지어 입체 교차 삼각선도 많다. 열차 운용도 각 방향으로 15 ~ 30분 간격인 경우가 많고.


* [[폐선]]된 삼각선
=== 독일 ===
** [[오정선]]
많은 삼각선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사례를 꼽으라면 오스트리아 국내 이동 열차가 있다. [[인스브루크 중앙역|인스브루크]] ~ [[잘츠부르크 중앙역|잘츠부르크]] 간 이동 시, 오스트리아 국내로 가려면 지형이 상당히 난잡한 탓에 선형이 안 좋은 노선 밖에 없어 독일을 경유해서 간다. 이 경우, [[로젠하임-잘츠부르크선]] ↔ [[로젠하임-쿠프슈타인선]] 경로를 써서 이동하는데, [[로젠하임역]]을 거치지 않고 로젠하임 삼각선을 경유해서 바로 빠져 나간다. 두 노선 다 정방향은 [[뮌헨-로젠하임선]].
** [[옥서삼각선]]


[[분류:철도]]
[[분류:철도]]
[[분류:삼각선| ]]
[[분류:철도 배선]]
{{각주}}

2024년 1월 20일 (토) 17:47 기준 최신판

삼각선 / 三角線 / Wye, Curve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노선 분기지점에서 정방향(본선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로. 때문에 주로 통행량이 적은 방향에 설치되는 노선을 삼각선이라고 하며 때문에 평면교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1]. 여객 열차는 동차면 아무런 문제가 없고, 기관차 견인인 경우도 제어 객차 등을 통해 방향 전환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제어기능이 없는 객차 편성 열차나 화물 열차는 얘기가 다르기 때문에 보통 화물 열차의 직결 운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삼각선은 루프선과 함께 차량 편성의 방향을 바꾸거나, 기관차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편성 방향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객차의 경우는 큰 문제가 없으나, 기기나 차내 설비 배치의 표준화가 중요한 전동차나 고정편성 객차의 경우 편성의 방향에 따라 기기와 설비의 위치가 틀어지기 때문에 정비나 운용상의 필요에 따라서 편성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임시열차를 편성에 삼각선을 운행하기도 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한국[편집 | 원본 편집]

일본[편집 | 원본 편집]

쇼난 신주쿠 라인 운행 경로 중 나오는 오사키 지선(헤비쿠보 신호장)이 바로 삼각선을 활용한 노선이다.

네덜란드[편집 | 원본 편집]

네덜란드는 널린게 삼각선이다. 심지어 입체 교차 삼각선도 많다. 열차 운용도 각 방향으로 15 ~ 30분 간격인 경우가 많고.

독일[편집 | 원본 편집]

많은 삼각선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사례를 꼽으라면 오스트리아 국내 이동 열차가 있다. 인스브루크 ~ 잘츠부르크 간 이동 시, 오스트리아 국내로 가려면 지형이 상당히 난잡한 탓에 선형이 안 좋은 노선 밖에 없어 독일을 경유해서 간다. 이 경우, 로젠하임-잘츠부르크선로젠하임-쿠프슈타인선 경로를 써서 이동하는데, 로젠하임역을 거치지 않고 로젠하임 삼각선을 경유해서 바로 빠져 나간다. 두 노선 다 정방향은 뮌헨-로젠하임선.

각주

  1. 미전선 등은 예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