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1\|([^}]+)\}\} +<big>\1</big>))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1|삼각선 / 三角線 / Wye, Curve}}
<big>삼각선 / 三角線 / Wye, Curve</big>


== 개요 ==
== 개요 ==
노선 분기지점에서 정방향(본선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로. 때문에 주로 통행량이 적은 방향에 설치되는 노선을 삼각선이라고 하며 때문에 평면교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ref>[[미전선]] 등은 예외이다.</ref>. 여객 열차는 동차면 아무런 문제가 없고, [[기관차]] 견인인 경우도 제어 객차 등을 통해 방향 전환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제어기능이 없는 [[객차]] 편성 열차나 화물 열차는 얘기가 다르기 때문에 보통 화물 열차의 직결 운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노선 분기지점에서 정방향(본선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로. 때문에 주로 통행량이 적은 방향에 설치되는 노선을 삼각선이라고 하며 때문에 평면교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ref>[[미전선]] 등은 예외이다.</ref>. 여객 열차는 동차면 아무런 문제가 없고, [[기관차]] 견인인 경우도 제어 객차 등을 통해 방향 전환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제어기능이 없는 [[객차]] 편성 열차나 화물 열차는 얘기가 다르기 때문에 보통 화물 열차의 직결 운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삼각선은 [[루프선]]과 함께 차량 편성의 방향을 바꾸거나, 기관차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편성 방향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객차의 경우는 큰 문제가 없으나, 기기나 차내 설비 배치의 표준화가 중요한 [[전동차]]나 고정편성 객차의 경우 편성의 방향에 따라 기기와 설비의 위치가 틀어지기 때문에 정비나 운용상의 필요에 따라서 편성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임시열차를 편성에 삼각선을 운행하기도 한다.  
삼각선은 [[루프선]]과 함께 차량 편성의 방향을 바꾸거나, 기관차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편성 방향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객차의 경우는 큰 문제가 없으나, 기기나 차내 설비 배치의 표준화가 중요한 [[전동차]]나 고정편성 객차의 경우 편성의 방향에 따라 기기와 설비의 위치가 틀어지기 때문에 정비나 운용상의 필요에 따라서 편성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임시열차를 편성에 삼각선을 운행하기도 한다.


== 예시 ==
== 예시 ==
{{참조|분류:삼각선}}
{{참고|분류:삼각선}}


=== 한국 ===
=== 한국 ===
* [[대전선]] - [[경부선]] [[부산역|부산]] 방면 ↔ [[호남선]] [[목포역|목포]] 방면
* [[대전선]]
** 가장 대표적인 삼각선이다. 원래는 호남선의 본선이었지만, 오정선(현재의 대전조차장 ~ 서대전간 호남선 본선)이 건설되면서 삼각선으로 격하되었다.
* [[미전선]]
* [[미전선]] - [[경부선]] [[서울역|서울]] 방면 ↔ [[경전선]] [[순천역|순천]] 방면
* [[오송선]]
** 특이한 케이스로, 경전선 본선은 삼랑진을 거쳐 부산역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서울 방향의 열차가 더 많이 드나들다보니 본선이 정작 평면교차를 하고, 삼각선이 입체교차를 하는 케이스다.
* [[망우선]]
* [[오송선]] - [[경부선]] [[서울역|서울]] 방면 ↔ [[충북선]] [[봉양역|봉양]] 방면
* [[부전선]]
**이쪽도 삼각선은 복선전철화가 되어 있고 본선인 조치원-오송 구간은 단선전철이다. 다만 경전선 삼랑진-낙동강 구간만큼 안습하지는 않다.
* [[구로삼각선]]
*[[망우선]] - [[중앙선]] [[망우역|망우]] ↔ [[경원선]] [[광운대역|광운대]]  
* [[용산삼각선]]
**원래 [[이문역]]의 석탄취급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노선으로 삼각선 기능은 부차적이었으나, 현재엔 사실상 화물운행용으로 쓰인다.
* [[태백삼각선]]
*[[부전선]] - [[가야선]] [[가야역|가야]]  ↔ [[동해선]] [[부전역|부전]]
* [[전경삼각선]]
**가야 조차장의 설치를 위해 설치되었으며, 일부 여객열차가 운행된다.
* [[영천삼각선]]
*[[구로삼각선]]
* [[금장삼각선]]
*[[용산삼각선]]
* [[북영주삼각선]]
*[[태백삼각선]]
* [[북송정삼각선]]
*[[전경삼각선]]
*[[영천삼각선]]
*[[나원삼각선]]
*[[북영주삼각선]]
*[[북송정삼각선]]


=== 일본 ===
=== 일본 ===

2024년 1월 20일 (토) 17:47 기준 최신판

삼각선 / 三角線 / Wye, Curve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노선 분기지점에서 정방향(본선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로. 때문에 주로 통행량이 적은 방향에 설치되는 노선을 삼각선이라고 하며 때문에 평면교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1]. 여객 열차는 동차면 아무런 문제가 없고, 기관차 견인인 경우도 제어 객차 등을 통해 방향 전환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제어기능이 없는 객차 편성 열차나 화물 열차는 얘기가 다르기 때문에 보통 화물 열차의 직결 운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삼각선은 루프선과 함께 차량 편성의 방향을 바꾸거나, 기관차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편성 방향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객차의 경우는 큰 문제가 없으나, 기기나 차내 설비 배치의 표준화가 중요한 전동차나 고정편성 객차의 경우 편성의 방향에 따라 기기와 설비의 위치가 틀어지기 때문에 정비나 운용상의 필요에 따라서 편성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임시열차를 편성에 삼각선을 운행하기도 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한국[편집 | 원본 편집]

일본[편집 | 원본 편집]

쇼난 신주쿠 라인 운행 경로 중 나오는 오사키 지선(헤비쿠보 신호장)이 바로 삼각선을 활용한 노선이다.

네덜란드[편집 | 원본 편집]

네덜란드는 널린게 삼각선이다. 심지어 입체 교차 삼각선도 많다. 열차 운용도 각 방향으로 15 ~ 30분 간격인 경우가 많고.

독일[편집 | 원본 편집]

많은 삼각선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사례를 꼽으라면 오스트리아 국내 이동 열차가 있다. 인스브루크 ~ 잘츠부르크 간 이동 시, 오스트리아 국내로 가려면 지형이 상당히 난잡한 탓에 선형이 안 좋은 노선 밖에 없어 독일을 경유해서 간다. 이 경우, 로젠하임-잘츠부르크선로젠하임-쿠프슈타인선 경로를 써서 이동하는데, 로젠하임역을 거치지 않고 로젠하임 삼각선을 경유해서 바로 빠져 나간다. 두 노선 다 정방향은 뮌헨-로젠하임선.

각주

  1. 미전선 등은 예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