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허 전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장소=러허 성
|장소=러허 성
|결과=일본군의 승리
|결과=일본군의 승리
|교전국1={{국기|중화민국}}
|교전국1={{국기|중화민국 대륙시기}}
|교전국2=
|교전국2=
{{국기|일본제국}}
{{국기|일본제국}}
{{국기|만주국}}<br />{{국기그림|중화민국}} 중화민국 일제 부역자
{{국기|만주국}}<br />{{국기그림|중화민국 대륙시기}} 중화민국 일제 부역자
|지휘관1=
|지휘관1=
{{국기그림|중화민국}} 탕율린<br />{{국기그림|중화민국}} 순디아닝
{{국기그림|중화민국 대륙시기}} 탕율린<br />{{국기그림|중화민국 대륙시기}} 순디아닝
|지휘관2=
|지휘관2=
{{국기그림|일본제국}} 무토 노부요시<br />{{국기그림|만주국}} 창하이펭<br />{{국기그림|중화민국}} 리치천
{{국기그림|일본제국}} 무토 노부요시<br />{{국기그림|만주국}} 창하이펭<br />{{국기그림|중화민국 대륙시기}} 리치천
|병력1=20000
|병력1=20000
|병력2=48000
|병력2=48000
|사상자1=?
|사상자1=?
|사상자2=?}}
|사상자2=?}}
'''러허 전투'''(간체자 : 热河战役, 번체자 : 熱河戰役)는 [[일본 제국]]이 [[중화민국]] 소속의 군벌 [[장쉐랑]]으로부터 [[만리장성]] 이북 영토를 빼앗기 위해 일으킨 네카 작전<ref>일본 내에서의 명칭. 만리장성 방어전이나 제1 호페이 전투라고도 한다.</ref>의 두번째 파트로 러허 성을<ref>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의 일부</ref> 일본군이 빼앗아[[만주국]]에 편입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전투는 [[1933년]] [[2월 21일]]부터 [[3월 1일]]까지 지속되었다.
'''러허 전투'''(간체자 : 热河战役, 번체자 : 熱河戰役)는 [[일본 제국]]이 [[중화민국 대륙시기|중화민국]] 소속의 군벌 [[장쉐랑]]으로부터 [[만리장성]] 이북 영토를 빼앗기 위해 일으킨 네카 작전<ref>일본 내에서의 명칭. 만리장성 방어전이나 제1 호페이 전투라고도 한다.</ref>의 두번째 파트로 러허 성을<ref>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의 일부</ref> 일본군이 빼앗아[[만주국]]에 편입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전투는 [[1933년]] [[2월 21일]]부터 [[3월 1일]]까지 지속되었다.


==배경==
==배경==

2022년 3월 7일 (월) 03:18 판

{{{전쟁이름}}}
러허 전투.jpg
군사 충돌 정보
날짜 1933년 2월 21일~3월 1일
결과 일본군의 승리
교전단체
{{{단체1}}} {{{단체2}}}
중화민국 대륙시기 탕율린
중화민국 대륙시기 순디아닝
일본제국 무토 노부요시
만주국 창하이펭
중화민국 대륙시기 리치천
병력:
20000
병력:
48000

러허 전투(간체자 : 热河战役, 번체자 : 熱河戰役)는 일본 제국중화민국 소속의 군벌 장쉐랑으로부터 만리장성 이북 영토를 빼앗기 위해 일으킨 네카 작전[1]의 두번째 파트로 러허 성을[2] 일본군이 빼앗아만주국에 편입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전투는 1933년 2월 21일부터 3월 1일까지 지속되었다.

배경

만주국의 설립 이후, 관동군은 만주국의 남쩍 국경을 안정화 시키고자 만리장성의 산하이관을 정복하였고, 그 다음 목표는 만리장성 이북의 러허 성이었다. 작전 초기에 러허 성이 역사적으로 만주국의 일부임을 선포한 일본군은 탕율린 장군[3]이 항복해오기를 기대하였지만 그는 항복하지 않았고, 이에 관동군은 러허 성을 침공하기로 결정한다. 작전에 참가한 부대는 6사단, 8사단, 14혼성여단, 33혼성여단, 92식 중장갑차로 무장한 4기마여단, 제1특수기갑대였다.

한편 일본군 참모본부는 히로히토 덴노에게 러허 지방의 중국군에 대한 '전술적 작전'의 인가를 요청하였다. 히로히토는 이것이 중국 내의 마지막 군사작전이자 만주 문제를 해결하리라 믿고 이를 허가하였고, 동시에 만리장성을 넘어서 공격하지 말 것을 누누히 언급했다.그리고 4년 뒤 중일전쟁이 일어나게 되는데...

러허 전투

2월 23일, 일본군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2일 뒤엔 카이루차오양이 함락되었다. 3월 2일에 일본군 제 4 기마여단은 중국의 순디아닝이 이끄는 군대의 저항에 직면했고, 수일 간의 싸움 끝에 일본군은 츠펑을 점령하였다. 한 때 순디아닝이 이끄는 군대는 일본군 6사단을 공격하여 적 지휘부 인근까지 도달하기도 했다. 3월 4일에는 일본군 기병대와 89식 전차로 무징한 제1 특수기갑대가 러허 성의 성도 청더를 점령하였다.

이후

이후 러허 성은 만주국에 병합되었고, 장쉐량은 "건강 상의 이유"로 사임을 강요받았다. 중국군은 혼란 속에 만리장성 너머로 후퇴하였고, 이후 만리장성을 두고 공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그 뒤 일본군이 전략적 거점 몇몇을 추가적으로 점령하고 나서야 중화민국과 협상을 맺었다.(탕구 조약) 조약의 주요 내용은 만리장성과 베이징 사이에 비무장지대를 설정하자는 내용이었지만 이는 중일전쟁 발발에 약간의 유예를 주었을 뿐이었다.

각주

  1. 일본 내에서의 명칭. 만리장성 방어전이나 제1 호페이 전투라고도 한다.
  2.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의 일부
  3. 봉천파 군벌 중 한 명. 당시 러허 성의 성장이었다.
Wikipedia-ico-48px.png이 문서에는 영어판 위키백과의 Battle of Rehe 문서를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