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치

트위치 패비콘.png트위치
Twitch
Twitch logo 2019.svg
트위치 그림.jpg
웹사이트 정보
URL twitch.tv
종류 동영상 스트리밍
운영 에맷 시어(Emmett Shear)
언어 한국어 외 28개 언어
시작일 2011년 6월 6일
회원가입 선택 (채팅 참여 시 가입 필요)

트위치(Twitch)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인터넷 방송 플랫폼으로, 아마존닷컴의 자회사이다. 2011년 6월 6일에 창립되었으며, 주로 게임 관련 방송을 위주로 하고 있는 플랫폼이다. 대한민국에선 이전까지는 그렇게 유명하지 않았으나 아프리카TV 갑질 논란으로 많은 스트리머들이 다른 플랫폼으로 옮기자 동시에 각광받기 시작한 플랫폼이다.

대한민국 서비스 종료[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 통신 3사의 과한 망 사용료로 인해 트위치가 결국 2024년 2월 27일에 한국 서비스를 종료했다. 이전에도 높은 망 사용료가 720p으로 화질 제한과 다시보기 저장 제한을 한 이유 중 하나였다고 한다. 트위치가 한국 서비스를 종료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아프리카TV 등의 한국 인터넷 방송 업계는 트위치 이용자를 받아낼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트위치 스트리머들은 아프리카TV의 좋지 않은 인식 때문에 섣불리 아프리카TV로 방송 터전을 옮기기는 힘든 상황이었다.[1]

이러한 도중에 네이버 측에서 치지직(CHZZK)이라는 새로운 스트리밍 플랫폼을 출시하게 되었고, 치지직은 출범 모토부터 트위치의 UI까지 대놓고 따라할 만큼 "트위치의 정신적 후속작"을 자처하고 출시한 플랫폼이다. 스트리머 입장에서도 이미 기존의 방송문화와 진입 장벽이 있는 아프리카TV와는 다르게 치지직은 트위치가 대한민국 사업 철수 시점에 막 생긴 신생 플랫폼이기 때문에 기존의 방송문화 등이 존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하는 치지직을 개척하는 것이 더욱 쉽다. 트위치의 서비스 종료 직전 스트리머들의 구독자 정보 등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2] 트위치 스트리머와 이용자의 70% 가량을 치지직이 흡수하게 되었고 다음으로 아프리카TV가 28~29%의 유저층을, 기타 소수 플랫폼이 1~2%의 유저층을 흡수하였다.

다만 완전히 마이그레이션이 이루어지지 않은 스트리머도 있다. 한국인 스트리머이지만 주로 해외 시청자를 겨냥한 스트리머는 타격을 받았다. 치지직과 아프리카TV는 한국 내수 시장만을 겨냥한 플랫폼이기 때문에 해외 시청자들에게 진입 장벽이 생겼으며, 이들의 자체 후원 시스템은 한국에서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인증을 해야 되서 해외 시청자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점을 인지한 스트리머는 해외 시청자를 위한 페이팔 후원계정을 열어 두고, 트위치-치지직 혹은 유튜브-치지직 동시 송출을 해주고 있다.[3] 이마저도 후자의 경우 치지직 파트너 스트리머가 되면 치지직의 정식 서비스 이후에는 사측 방침상 동시 송출을 할 수 없게 된다. 치지직과 아프리카TV를 시청하는 것은 해외에서도 인터넷 접속 환경만 느리지 않으면 별도의 제한은 없으나 위 두 개 회사의 브랜드 인지도가 해외에서는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수익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 스트리머들은 국내 스트리밍 플랫폼의 해외에서의 인지도 문제 때문에 트위치 혹은 유튜브와 동시 송출을 해주고 있다.

소수의 스트리머들은 트위치의 한국 사업 철수를 계기로 은퇴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국 사업 철수 이후, 한국 IP로 접속하면 구글 플레이 및 App Store에서 더 이상 AndroidiOS용 트위치 공식 앱을 신규로 다운로드받을 수 없게 되었다.

문서가 있는 스트리머[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상술한 아프리카TV 갑질 논란, 수위가 높은 일부 선정적인 방송을 하는 플랫폼이라는 음지의 이미지 등이 영향을 받았다. 게다가 치지직 출시를 앞두고 아프리카TV CBO인 서수길이 자신의 생방송에서 치지직에 대한 과격한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2. 이들은 트위치 구독을 그대로 이전할 수 있게 지원했다.
  3. 트위치는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였으나, 한국IP의 접속 자체를 차단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까지는 막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