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

Unter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7월 9일 (월) 01:11 판 (신사 역링크 수정)

간지(干支)는 동아시아한자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60진법 숫자 표기이자 율력 체계의 일종이다. 10개의 천간(天干, 십간이라고도 한다)과 12개의 지지(地支, 12지라고도 한다)를 조합한 것으로, 이를 합쳐 간지라고 이른다.

10개의 간과, 12개의 지를 조합하면 총 60개의 조합이 나오기 때문[1]육십갑자(六十甲子)라고도 부르며, 줄여서 육갑(六甲)이라고도 한다. 이 육갑이라는 약칭은 욕설로도 사용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10개의 천간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계약서에서 갑과 을이라는 말의 유래가 바로 이 천간의 글자들에서 유래한 것이다.

12개의 지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곳

  • 기년법에의 사용 : 매년 새해가 될 때 마다 "OO년 새해가 밝았습니다"는 인삿말 중 OO에 해당하는 부분의 단어가 바로 이 육십갑자이다. 이를 두고 세차(歲次)라고도 한다. 축문에서 유 세차... 이렇게 시작하는 것이 바로 이것.
  • 날짜 기록에의 사용 : 음력에서의 월과 일도 이 육십갑자가 붙여진다.[2] 이 경우를 두고 일진(日辰)이라고 한다. 오늘 일진이 좋다거나 사납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 시간 기록에의 사용 : 12지가 기본 시가 되지만, 각 시각을 육십갑자를 순환시키면서 이름을 붙인다. 이를 두고 시지(時支)라고 한다.

한마디로 말해 사주에 들어가는 것이라 보면 된다.

목록

갑자
(甲子)
을축
(乙丑)
병인
(丙寅)
정묘
(丁卯)
무진
(戊辰)
기사
(己巳)
경오
(庚午)
신미
(辛未)
임신
(壬申)
계유
(癸酉)
갑술
(甲戌)
을해
(乙亥)
병자
(丙子)
정축
(丁丑)
무인
(戊寅)
기묘
(己卯)
경진
(庚辰)
신사
(辛巳)
임오
(壬午)
계미
(癸未)
갑신
(甲申)
을유
(乙酉)
병술
(丙戌)
정해
(丁亥)
무자
(戊子)
기축
(己丑)
경인
(庚寅)
신묘
(辛卯)
임진
(壬辰)
계사
(癸巳)
갑오
(甲午)
을미
(乙未)
병신
(丙申)
정유
(丁酉)
무술
(戊戌)
기해
(己亥)
경자
(庚子)
신축
(辛丑)
임인
(壬寅)
계묘
(癸卯)
갑진
(甲辰)
을사
(乙巳)
병오
(丙午)
정미
(丁未)
무신
(戊申)
기유
(己酉)
경술
(庚戌)
신해
(辛亥)
임자
(壬子)
계축
(癸丑)
갑인
(甲寅)
을묘
(乙卯)
병진
(丙辰)
정사
(丁巳)
무오
(戊午)
기미
(己未)
경신
(庚申)
신유
(辛酉)
임술
(壬戌)
계해
(癸亥)

각주

  1. 10과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다
  2. 월에는 천간은 붙지 않고 간지만 붙는다 이를 두고 월건(月建)이라고 하며, 음력11월(동짓달 기준)이 시작이 된다. 단, 윤달에는 월건이 붙지 않는다. 덤으로 더 생긴 달이라는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