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양역: 두 판 사이의 차이

(Krzeus05 (토론)의 898889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Pika (토론)의 898902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21번째 줄: 21번째 줄:


== 역 구조 ==
== 역 구조 ==
=== 공항철도 ===
=== 인천교통공사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공항철도}}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인천교통}}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상단 =  
|상단 =  
|역명 = 공항철도 계양역  
|역명 = <div style="line-height: 120%;">인천교통공사 계양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A06|수도권|공항}}
|역번호 = {{역번호/한국|I110|수도권|인천1}}
|역코드 = 917(코레일)
|역코드 =
|주소 = [[인천광역시]] [[계양구]] [[다남로]] 24 (귤현동)  
|주소 = [[인천광역시]] [[계양구]] [[다남로]] 24 (귤현동)  
|개업일 = {{날짜/출력|2007-3-16}}
|개업일 = {{날짜/출력|2007-3-16}}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 (AREX)
|관할 = [[인천교통공사]]
|승강장 = 2면 4선
|승강장 = 2면 2선
|운임구역 =  
|운임구역 =  
|이용객 =  
|이용객 =
|노선 = [[인천국제공항선]] <small>27.0 km</small>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small>0.0 km</small>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부평지하상가와 연결되어 있다.


<div>
<div>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공항철도 ''' [[홍대입구역|<span style="color: white;">홍대입구</span>]] · [[공덕역|<span style="color: white;">공덕</span>]] · [[서울역|<span style="color: white;">서울역</span>]]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인천1}}|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1호선''' 당역종착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인천국제공항선]] [[홍대입구역|홍대입구]]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시종착}}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인천국제공항선]] [[김포공항역|김포공항]]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귤현역|귤현]]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왼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공항철도 ''' [[김포공항역|<span style="color: white;">김포공항</span>]] · [[검암역|<span style="color: white;">검암</span>]] · [[인천공항2터미널역|<span style="color: white;">인천공항2터미널</span>]]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인천1}}|왼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1호선''' [[계산역|<span style="color: white;">계산</span>]] · [[부평역|<span style="color: white;">부평</span>]] · [[국제업무지구역|<span style="color: white;">국제업무지구</span>]] 방면  
}}
}}
}}
}}
55번째 줄: 55번째 줄:
{{-}}
{{-}}


=== 인천교통공사 ===
=== 공항철도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인천교통}}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공항철도}}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상단 =  
|상단 =  
|역명 = <div style="line-height: 120%;">인천교통공사 계양역
|역명 = 공항철도 계양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I110|수도권|인천1}}
|역번호 = {{역번호/한국|A06|수도권|공항}}
|역코드 =
|역코드 = 917(코레일)
|주소 = [[인천광역시]] [[계양구]] [[다남로]] 24 (귤현동)  
|주소 = [[인천광역시]] [[계양구]] [[다남로]] 24 (귤현동)  
|개업일 = {{날짜/출력|2007-3-16}}
|개업일 = {{날짜/출력|2007-3-16}}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인천교통공사]]
|관할 = [[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 (AREX)
|승강장 = 2면 2선
|승강장 = 2면 4선
|운임구역 =  
|운임구역 =  
|이용객 =
|이용객 =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small>0.0 km</small>
|노선 = [[인천국제공항선]] <small>27.0 km</small>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부평지하상가와 연결되어 있다.
 


<div>
<div>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인천1}}|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인천1호선''' 당역종착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공항철도 ''' [[홍대입구역|<span style="color: white;">홍대입구</span>]] · [[공덕역|<span style="color: white;">공덕</span>]] · [[서울역|<span style="color: white;">서울역</span>]]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시종착}}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인천국제공항선]] [[홍대입구역|홍대입구]] 방면 →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귤현역|귤현]]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인천국제공항선]] [[김포공항역|김포공항]]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인천1}}|왼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인천1호선''' [[계산역|<span style="color: white;">계산</span>]] · [[부평역|<span style="color: white;">부평</span>]] · [[국제업무지구역|<span style="color: white;">국제업무지구</span>]]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왼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공항철도 ''' [[김포공항역|<span style="color: white;">김포공항</span>]] · [[검암역|<span style="color: white;">검암</span>]] · [[인천공항2터미널역|<span style="color: white;">인천공항2터미널</span>]] 방면
}}
}}
}}
}}

2020년 6월 12일 (금) 17:33 판

관할 공항철도 (AREX)[1]
인천교통공사[2]

桂陽驛 / Gyeyang Station

개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시종착역이며, 인천국제공항철도와 환승역이다. 환승 구조는 도봉산역과 흡사하다.

역사

원래 개통 초기에 계획에 없었다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의 환승역으로 만들어 놓은 역인데, 한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다. 왜냐하면 초기 인천국제공항철도에서는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았다. 그래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 이 역을 이용하여 김포공항역에서 다시 환승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을 이용하여 서울 도심으로 광속으로 갈려는 인천 지역 주민들이 기피했다. 이 바람에 2단계 개통 전 기준으로 2,000원 안팎의 추가요금이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손실을 보게 될 인천광역시 주민들은 결국 기존 경인선 루트를 고수하여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공기수송화에 한몫을 하게 된다.

공항철도 2단계가 개통되면서 (청라국제도시역 - 서울역 구간 한정) 드디어 수도권 통합 요금 적용. 아무래도 승강장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는 어려웠는지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방향과 공항철도 방향 개찰구 절반가량을 뜯어내고 철제난간을 박는 형태로 통로를 만들었다. 이후에 이용객이 대폭 늘었다. 계양구에서 서울특별시 도심으로 가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중인데(김포공항역에서 9호선 타고 강남 방면으로도 갈 수 있다), 출근시간에는 1호선 계양역에서 내리자마자 다들 냅다 뛰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인천광역시를 대표하는 삼화고속의 파업으로 인해 계양역으로 수요가 많이 몰렸다.

역 구조

인천교통공사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다남로 24 (귤현동)
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0.0 km
관할 인천교통공사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2면 2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부평지하상가와 연결되어 있다.

공항철도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다남로 24 (귤현동)
노선 인천국제공항선 27.0 km
관할 공항철도 (AREX)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2면 4선


역 주변

또한 역사는 작은 데 비해 상점이 입주해 있다. GS25&세븐일레븐, 뚜레쥬르, 쌀국수 음식점, 공정무역 카페, 구내 매점... 여기에 한달에 2번 격주로 월화 농산물 직거래 장터까지....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김포공항 6.6 km
계양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검암 5.5 km

경유 열차

수도권 전철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방면
 A05  김포공항
 A06  계양
일반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A07  검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시·종착)  I110  계양 국제업무지구 방면
 I111  귤현

각주

  1. 공항철도
  2. 인천 1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