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Rhkdan122: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36번째 줄: 236번째 줄:
* 전량 동력객차다. 그 당시 기술로 그 속도를 내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하다.
* 전량 동력객차다. 그 당시 기술로 그 속도를 내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하다.
* 당초 210km/h 수준의 속도를 냈으나, 후속 차량이 등장하면서 운행의 효율성을 위해 220km/h로 소폭 증속했다.
* 당초 210km/h 수준의 속도를 냈으나, 후속 차량이 등장하면서 운행의 효율성을 위해 220km/h로 소폭 증속했다.
== 편성 구조 ==
{| class="wikitable"
|-
| colspan="10" style="text-align: left;" | ← 모토마치·츄카가이 ·요코하마
|- style="line-height: 125%; background: #eee; text-align: center;"
| 400XX<br />'''Tc'''
| 402XX<br />'''M'''
| 403XX<br />'''M''''
| 404XX<br />'''T'''
| 405XX<br />'''M''''
| 406XX<br />'''T'''
| 407XX<br />'''T'''
| 408XX<br />'''M''''
| 409XX<br />'''M'''
| 401XX<br />'''Tc''''
|-
| colspan="10" style="text-align: right;" | 세이부치치부 · 한노 →
|-
| colspan="10" | <nowiki />
* '''Tc''' /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c'''' /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집전기,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0년 6월 9일 (화) 11:41 판

이 문서는 리브레 위키의 사용자 문서이며, 일반 문서가 아닙니다. 본 문서는 상시 공개되며 자기소개 등의 목적을 위해 불필요한 개인정보를 게시하여 외부에 유포되었을 경우 리브레 위키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리브레 위키의 정책에 따라, 이 문서에는 블로그, 이메일 주소, SNS 계정 등의 개인정보 및 친목 관련 요소가 있는 외부 사이트의 언급과 링크 노출이 금지됩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다른 사용자를 언급해서는 안 됩니다.
이 문서의 내용은 중립적이지 않으며 특정 집단의 이해관계를 대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문서가 객관적으로 작성되지 않았다는 것에 주의하며 읽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에서 다루는 인물, 단체, 대상 또는 주제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근거 없는 서술이나 명예훼손은 논쟁의 소지가 될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선에서,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서술되어야 합니다.
  • 나무위키의 rhkdan122 / shinee965
  • 디시위키의 shinee965

개요

경기도 G시에 거주하는 평범한 시민입니다. 나무위키에서 리브레 위키로 넘어온 이주민이기도 하며, 한때 교통합성에 심취하여 질리도록 듣기도 하였습니다.

현재는 리브레 위키의 연표/한국사의 현대사 문단에 기여중입니다. 잘 부탁 드립니다.

편집 문서 정리

추후 편집 문서 정리

편집중인 문서 정리

  • 도쿄메트로 히비야선에서 틀이 갱신되지 않은 문서들
  •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에서 틀이 갱신되지 않은 문서들

임시 저장

{{{차량이름}}}
The_Bullet_Train_(4367848988).jpg
철도차량 정보
제작연도 1964~1986
생산량 3,216량
제원
전장 중간차: 25,000 mm
선두차: 25,150
전폭 3,383
전고 4,490
궤간 1,435

신칸센 0계 전동차(新幹線0系電車)는 도카이도 신칸센·산요 신칸센에서 운행했던 차량으로, 최초의 고속열차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개요

0계는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데뷔한 초도 차량으로, 개통 초기에는 6량으로 운행했다. 신칸센의 발전에 따라 객차를 계속 끼워넣어 16량 편성까지 늘렸으며, 무려 23년 동안 생산되었다.

최종 운행은 2008년으로, 산요 신칸센 코다마로 운행을 마쳤다. 도카이도 신칸센에서는 일찌감치 2000년에 전량 쫓겨났다.

아이러니하게도 일본 국철의 비효율을 상징하는 차량이기도 한데, 23년 동안이나 생산된 것 자체가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초도 차량이다 보니 예기치 못한 수명 단축이 생각보다 빠르게 찾아왔고, 초도 편성은 10년을 조금 넘기자마자 폐차 대상이 되었다. 빈자리를 채울 차량을 개발하지 못해 신조한 0계로 0계의 빈자리를 충당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졌고, 편성이 길어지면서 초도 객차와 나중에 들어온 객차 사이에 차령이 들쭉날쭉한 것도 차량 운용의 비효율을 불러왔다.

토호쿠 신칸센 계통에서 짝수 계통(200계 등)이 구르는 것도 여기서 기인하는 데, 0계 개발 당시 동일본·서일본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100계를 빨리 개발하여 후속으로 투입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토호쿠 전용 200계 개발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200계가 100계보다 빨리 개발되어 나왔으며 100계가 전국을 아우르지도 못했다.(...)

특징

  • 전량 동력객차다. 그 당시 기술로 그 속도를 내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하다.
  • 당초 210km/h 수준의 속도를 냈으나, 후속 차량이 등장하면서 운행의 효율성을 위해 220km/h로 소폭 증속했다.

편성 구조

← 모토마치·츄카가이 ·요코하마
400XX
Tc
402XX
M
403XX
M'
404XX
T
405XX
M'
406XX
T
407XX
T
408XX
M'
409XX
M
401XX
Tc'
세이부치치부 · 한노 →
  • Tc /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c' /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집전기,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