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M-84E SLAM: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는건」(을)를 「는 건」(으)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무기 정보
| 이름= AGM-84E SLAM
| 그림=
| 설명=
| 국가= {{국기|미국}}
| 종류= 공대지 순항미사일
<!-- 종류 -->
| 비행기= yes
<!-- 역사 -->
| 개발=
| 개발년도=
| 생산= 보잉
| 생산년도=
| 가격=
| 생산개수=
| 사용년도=
| 실전= 실전 문단 참고
<!-- 일반 제원 -->
| 제원_파생형=
| 중량=
| 길이=
| 폭=
| 높이=
| 승무원=
| 탑승인원=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 부무장=
| 엔진=
| 엔진출력=
| 출력비=
| 사거리=
| 최고속도=
| 항법_유도장치=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
| 상승속도=
| 탐지장비=
| 전자장비=
}}
'''AGM-84E SLAM''' 은 공대지 [[순항 미사일]]의 하나로, 미 [[해군]]과 [[대한민국 공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미사일이다. 공군에서 이 미사일을 운용하는 건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AGM-84E SLAM''' 은 공대지 [[순항 미사일]]의 하나로, 미 [[해군]]과 [[대한민국 공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미사일이다. 공군에서 이 미사일을 운용하는 건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하푼 대함미사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순항 미사일]] 이며, 하푼을 베이스로 다른 [[미사일]]들의 주요한 사항들도 적용되었다. 미 [[해군]]에서 운용하는 유일한 항공기 발사 공대지 순항미사일이며, [[JASSM]]으로 교체가 예정되어 있다.
[[하푼 대함미사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순항 미사일]] 이며, 하푼을 베이스로 다른 [[미사일]]들의 주요한 사항들도 적용되었다. 미 [[해군]]에서 운용하는 유일한 항공기 발사 공대지 순항미사일이며, [[JASSM]]으로 교체가 예정되어 있다.

2020년 5월 21일 (목) 18:49 판

{{{무기이름}}}
무기 정보
종류 공대지 순항미사일

AGM-84E SLAM 은 공대지 순항 미사일의 하나로, 미 해군대한민국 공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미사일이다. 공군에서 이 미사일을 운용하는 건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하푼 대함미사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순항 미사일 이며, 하푼을 베이스로 다른 미사일들의 주요한 사항들도 적용되었다. 미 해군에서 운용하는 유일한 항공기 발사 공대지 순항미사일이며, JASSM으로 교체가 예정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2006년 2차 차기전투기 도입사업에서, 라팔과의 옵션이였던, 스톰 섀도에 대응해 보잉 측에서 이 미사일을 옵션으로, F-15K 슬램이글과 같이 들여온다.

성능

유도 방식으로는 관성유도항법과 종말유도 시에 사용하는 적외선 이미지 방식으로 유도된다. 전투기에서 발사 후 목표물까지 10km이내로 접근하기 전까진, 입력된 좌표대로 비행하는데, 이는 하푼과 동일한 유도 방식이다. 그러나 하푼과 다른 건, 슬램은 레이더가 아닌 적외선 이미지 유도를 종말 유도방식으로 사용하며, 이는 미사일을 발사한 전투기나 표적 근처의 아군기로부터 표적에 대한 락온을 걸어주어야 이 미사일은 종말유도 방식으로 전환되어 목표물을 타격한다. 따라서 운용방식은 타우러스나 재즘, 스톰 섀도 같은 공대지 순항미사일들 보다 조금 까다로운 편이다.

미사일의 사거리는, 기본형이 100km이고, 사거리 연장형인 ER형은 최대 300km에 달한다. 덕분에 안전지역 에서 전투기는 미사일만 쏘면 되는 스텐드 오프 공격이 가능하다.

파생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