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게임 등급 제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대한민국: 게등위는 항목이 생겨서 따로 통합시켰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세계의 게임 등급 심의 단체 ==
== 세계의 게임 등급 심의 단체 ==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
* [[게임물등급위원회]] : 줄여서 게등위라고 부르며, 상당히 악질적인 위원회이다. 게임물 내려면 준비해야 할 서류와 꽂아넣어야 할 금액이 상당하다! 이 때문에 종종 언론에서 '인디 게임사'들이 국내 시장에 잘 나오지 않으며, 출시 된다 할지라도 대한민국 게임이 아닌 해외 게임으로 등록되어 출시된다는 점을 비판한다! 실제로 한국 인디 게임사임에도 불구하고 영어권 국가로 출시한 다음 유저에 의해 한글패치가 이루어지는 인디 게임사가 종종 있다.<ref>그러나, 인디게임사라고 무조건 받아들이고 살려야 한다는 의견에서는 2018년 부터는 달라졌는 데 [[한남풍]]문서 및 [[나무위키]]의 소울워커 사건을 참고하자. 특히 마녀의 샘 메갈리아 사건은 "국내 기업이 참여하는 게임 시장은 모조리 죽어버린 것" 이라며 국내 게임사 딱지를 붙인 게임을 혐오하는 소비자층이 늘어나는 데 한 몫 했다.</ref>
* [[게임물관리위원회]] : 과거 이름은 게임물등급위원회. 인디 게임 심의 건으로 논란이 많은 기관으로 자세한건 항목을 참조바람.
*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
*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



2018년 6월 4일 (월) 13:03 판

비디오 게임 등급 제도비디오 게임을 적합한 등급으로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이다.그리고 세계에서 제일 무쓸모한 등급제도다[1][2]

특징

전 세계의 모든 비디오 게임 등급 심의 기구들은 비영리 단체라서 법적인 효력은 없으며 만일 등록 및 심의비를 내기 싫거나 심의 자체가 싫다면 안해도 된다. 그러나 심의를 받지 않으면 게임 유통 및 타 플랫폼 이식이 불가능해져서 소매점을 통해 게임을 판매하고 싶거나 콘솔 이식을 하고 싶다면 심의를 받아야한다.

세계의 게임 등급 심의 단체

대한민국

미국/캐나다

일본

유럽

전체
독일
영국
핀란드

기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각주

  1. 써든만 봐도 알 수 있다. 아니면 콜옵이라든가...
  2. 김상현 기자(2005년 6월 13일)"말뿐인 18세 이용가 성인등급 넷마블 게임 초등학생 점령